‘(가칭)김제준 이냐시오 성인 묘 찾기 위원회’(이하 김제준 성인 위원회) 회의가 3월 3일 용인대리구청 회의실에서 열렸다.
용인대리구장 김학렬 신부를 비롯한 용인대리구 사제단 6명과 김제준 성인 위원회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열린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회의(2009년 2월 11일)에서 논의된 대로 성인의 묘가 있을만한 곳을 팀별로 추적한 결과를 발표하고, 김학렬 신부가 발췌한 사료를 토대로 성인 묘 위치를 추측한 내용을 설명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회의를 주관한 김학렬 신부는 향후 탐사지역 설명을 위해 펼쳐놓았던 지도를 다시 접으며 “희망을 갖고 계속 찾자”는 의지의 말을 남겼다. 위원회는 사순시기 동안 꼭 실묘를 찾아, 부활 때 함께 기쁨을 나눴으면 하는 바람으로 또다시 묘 찾기에 나설 예정이다. 위원회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팀을 이루어 탐사와 발굴 작업을 병행해 나가기로 했다.
김제준 성인의 실묘를 찾기 시작한 것은 1996년. 성 김대건 신부 가족 족보에 의해 묘 소재지가 양지 서면에 있다는 기록 ‘묘양지서면 자좌(墓陽智西面 子坐)’를 자료삼아 1996년 11월 미리내경당 앞에서 첫 탐사작업을 시작해 2003년까지 김제준 성인의 옛 거주지 주변 지역과 주요 활동 범위였던 지역, 무명 순교자들의 묘를 발굴했던 지역에서 성직자와 수도자, 평신도들이 참여해 15회 가량 탐색해 왔으나 아직까지 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실묘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성인에 관한 유일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족보에 기록된 묘 소재지가 양지 ‘서면’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양지에는 서면이라는 지역이 예전이나 현재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10년 넘게 실묘 찾기에 열정을 바쳐온 위원회 회장이며 한국순교자현양회 시복분과장 김진용(마티아)씨는 ‘성 김제준 이냐시오 묘 소재지에 관한 연구’라는 글에서 ‘성 김제준 이냐시오의 묘는 1839년 순교한 이래 170년이 경과됐다. 박해 시대에 순교한 분의 유해를 남의 눈을 피해가며 몰래 썼으며, 장례에 참석한 인원이라야 불과 극소수의 인원으로 일을 치렀을 것인 즉, 결국 묘의 규모가 대단히 초라했을 것이고, 그나마 170년 동안 제대로 돌보지 않은 상태이니 오죽하랴? 묘의 형태조차 제대로 남아 있을까 걱정된다. 그러나 정남향 묘라는 것만은 잊지 말아야 한다(1998.2)’고 밝히고 있다.
103위 성인 중 한 명인 성 김제준 이냐시오(1795-1839)는, 성 김대건 신부의 부친으로 기해박해 때에 체포돼 1839년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순교했다. 1814년 해미에서 순교한 김진후의 손자로 1795년에 태어나 충남 솔뫼에서 살다가 1827년경 정해박해를 피해 온가족이 서울 청파동을 잠시 거쳐 용인 한덕동과 묵리 굴암, 골배마실 등지에서 살았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