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편, 2부, 3장
제3장 성령을 믿나이다
성령을 믿는다는 것은 성령께서 삼위일체의 한 위격이시며, 성부와 성자와 한 본체로서,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같은 흠숭과 영광을 받으시는 분이심을 고백하는 것이다. 그래서 교리서에서는 성령의 존재와 본체에 대해서는 삼위일체 신학에서 다루고(교리서 제 1편 제2부 제1장 제1절 제2단락), 여기서는 하느님 구원경륜 안에서의 성령의 역사(役事)하심에 대하여 논한다(683~686).
신경 제8절 『성령을 믿으며』
『하느님의 생각은 하느님의 성령만이 아실 수 있다』(1고린 2, 11). 이렇게 하느님을 계시해 주시는 성령께서는 하느님의 「말씀」이신 그리스도를 우리에게 알려주시지만, 성령 자신에 대해서는 그분의 활동을 통해서만 알려진다. 실제로는 성령께서 살리시고 이끄시는 교회의 성서, 성전, 예언직과 사제직과 왕직의 수행에서 성령의 존재와 활동이 인식된다(687~788).
Ⅰ. 성자와 성령의 공동 파견 (689~690)
성부께서 당신의 말씀(성자)을 보내실 때 언제나 당신의 성령도 보내신다. 성자 예수님께서 성령으로 충만하시기에 「기름부음을 받으신 분」 곧 그리스도이시다. 그리스도는 부활 승천으로 하느님의 오른편에 계시므로 당신을 믿고 고백하는 이들에게 성령을 보내주신다. 이렇게 교회는 성령의 은총으로 교회답게 유지되고 활동한다.
Ⅱ. 성령의 이름과 칭호와 상징(691~701)
우리가 성령이라고 번역한 원어는 히브리어 루아(Ruah)인데, 본래 숨결, 공기, 바람 등을 의미하는 말이다. 그리스어에서는 영(Pneuma)으로 표현하고, 라틴어에서도 영(Spiritus)으로 표현한다. 성령은 「하느님의 기(氣)」를 위격화(位格化)한 명칭이다.
예수님께서는 성령을 약속하시면서 「파라클리토」(Paracletos) 즉 변호자, 위로자라 하시기도 하고, 「진리의 영」이라고 부르셨다(요한 16, 13).
성서는 성령의 활동을 여러 가지 상징적 표현으로 묘사하고 있다. 물, 기름부음, 불, 구름과 빛, 비둘기 모양 등은 성령께서 임하심을 상징하고, 손가락은 성령께서 하느님의 능력이심을 상징하고, 안수(按手)는 성령을 누구에게 준다는 뜻이고, 인호(印號)는 성령께서 어떤 것을 확인 날인하신다는 뜻이다.
Ⅲ. 구약에서의 성령(702~716)
구약시대에는 성자와 성령은 아직 명시적으로 계시되지 않았으나, 예언자들은 성령의 영감으로 구세사를 기록하고 있다. 창조에서는 말씀(성자)과 숨결(성령)은 모든 피조물의 생명의 기원이었고, 아브라함에게 성령과 신앙의 결실인 이사악을 주시어 구세사의 주역인 이스라엘 백성을 형성하셨다. 모세를 통하여 주신 율법은 구원의 약속과 계약을 포함하는데, 이스라엘 백성은 계약에 충실하지 못해서 유배의 고난을 겪고서야 회개하였다.
유배시대 전후의 예언자들은 메시아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고 그 메시아가 받을 주님의 영에 대하여 좀더 분명하게 가르치고 있다(이사 11, 1~2). 그리고 백성들도 구원의 영을 받게 된다(에제 39, 29).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