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 전례는 예물봉헌 예식부터 시작하는 성찬 전례와 더불어 미사의 골격을 이루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말씀 전례의 중심부분은 성서에서 취한 독서들과 그 사이에 오는 노래로 구성되며 이어지는 강론, 신앙고백 및 보편지향기도(신자들의 기도)는 중심부분을 발전시키고 끝맺는다(미사 전례서 총지침 55항). 즉 말씀 전례의 중심은 하느님 말씀이기에 성서 봉독이 중심이 되는 것이다.
모든 말씀 전례, 특히 미사에서의 말씀 전례는 그리스도 생애의 사건, 그 장면의 신비, 그 때 그 장소를 상기시킴으로써 기념하는 것인데, 그것은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드리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말씀 전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복음이다.
수많은 교부들이 미사 중의 말씀 전례가 갖는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아를르의 체사리오는 성 아우구스티노의 영향을 받아 『그리스도의 말씀은 그리스도의 몸보다 덜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고 했으며, 성 암브로시오는 『우리가 성찬의 잔으로부터 성혈을 마시듯이 성서라는 잔으로부터 그리스도의 피를 마신다』고 하였다. 또한 보다 전형적인 교부들의 충고는 손으로 성체를 받았을 때 축성된 빵의 한 조각이라도 땅에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듯이 전례 중에 들은 하느님 말씀을 헛되이 흘리지 말라는 것이었다.
이렇듯 교부들의 사상 안에서 나타나는 말씀 전례는 성찬 전례를 위한 서언 내지는 서곡이 아니라 영성체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지니는 것이며, 그러한 만큼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씀의 영성체 즉 신앙과 사랑 안에서 말씀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오리게네스는 우리가 말씀을 먹음으로써 즉 말씀을 들음으로써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온전히 먹을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많은 교부들이 말씀 전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만 해도 말씀 전례 부분은 예비 미사라 불렸을 정도로 제대로 그 의미가 이해되지 못하였다. 말씀 전례 본래의 의미가 강조되어 성찬 전례와 같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부터이다.
현행 말씀 전례의 구조는 하느님께서 말씀하시고(독서, 복음, 강론), 인간이 이에 화답하는(화답송, 복음전 환호성, 신앙고백, 보편지향기도) 대화적인 특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도식화하면 위 도표와 같다.
따라서 말씀 전례는 여러 면에서 대단히 잘 준비되어야 한다. 즉 선포할 때는 기술적으로도 명확히 발음하고 띄어 읽기를 잘함으로써 신자들이 말씀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하여 그리스도께서 직접 당신 백성에게 말씀하신다는 확신을 갖고 온 회중이 말씀을 심도 있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기 위해서 하느님 말씀을 선포하는 봉사를 맡은 이는 미사에 오기 전에 성서를 읽고 묵상해야 하고, 그 말씀을 듣는 공동체는 하느님께서 말씀하시는 그 순간 듣는 자세를 취하여야 한다. 듣는다는 것은 말씀하시는 이의 권위를 인정하고, 그분의 뜻을 따르며, 그분 말씀을 내 생명의 양식으로 삼겠다는 마음의 자세를 갖는 것이라 하겠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