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예언자적 힘이 넘치는 설교로 금(金)으로 된 입(口, Goldmund), 「크리소스토모(Chrysostomus)」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는 요한 크리소스토모(344/354?∼407)는 동방교회 4대 교부 중 하나이며 안티오키아 학파중 가장 뛰어난 교부로 꼽힌다. 「금구」 라는 말처럼 설교자들의 수호성인 이기도 하다.
안티오키아는 4세기 당시 교회적으로는 다소 복잡한 상황을 보이고 있었다. 비신자들이 숫적으로 우세하였고 이들은 행정과 학원들을 거의 다 차지하고 있었다. 또 주교들 대다수는 아리우스 이단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고 가톨릭교회는 바울리노 주교와 멜레시오 주교가 주도하는 두 세력으로 갈라져 있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출생한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안투사의 교육을 받고 자랐다.
일반인들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세속적 출세를 위해 공부하고 향락적 생활을 했던 요한은 그러한 생활에 염증을 느끼고 후에 다르소 주교가 된 테오도르와 함께 성서연구와 수덕생활에 관심을 가졌다.
371년 멜레시오 주교로부터 독서직을 받은 그는 평소 갈망하던 수도 생활을 위해 4년간 광야에서 은수 생활을 하다가 아예 2년동안은 동굴에 들어가서 고행과 성독으로 일관하는 시간을 보냈다. 건강 악화와 어머니 안투사의 간곡한 요청으로 안티오키아에 돌아온 그는 381년 부제품을 받았으며 386년에는 사제로 서품됐다. 398년 테오필로로부터 주교품을 받고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로 임명된 후에는 부패한 성직자 수도자들의 화려한 생활을 질타하며 개혁을 시도했으며 신자들에게는 윤리적 쇄신을 강조했다.
또 황실의 허례허식을 비난하고 가난한 이들을 위해 여러 구호 사업을 시작하였다. 성직 매매를 한 6명의 주교를 면직시키기도 했다.
그러한 일들은 결국 황실과 반대파의 불만을 불러일으켰고 요한은 여러 차례 유배를 떠나야 했다. 결국 407년 흑해 극동쪽 피티우수로 유배를 가던 중 숨을 거두게 되는데 죽으면서 남긴 말은 『모든 것을 통하여 하느님께서는 영광 받으소서』였다.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그 자신의 삶과 가르침을 통해 활동적인 삶과 관상생활을 하나로 일치시키려 노력한 인물이었다. 평신도들도 복음에 따라 살아갈 것을 권유했고, 성서읽기에 몰두할 것을 요청했다.
거의 700여편에 이를 만큼 신약 과 구약에 관한 설교를 남겼던 그는 특히 바오로 서간집을 애독했다. 바오로 서간집은 그의 성서 인용에서 항상 단골로 등장하는 내용이었는데 실제로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바오로 서간집을 주해한 유일한 사람이다.
▲ 사도 바오로의 편지를 설명하는 요한 크리소스토모. 거의 700여편에 이를 만큼 신약과 구약에 관한 설교를 남겼던 그는 특히 바오로 서간집을 애독했다.
『누구든지 집에 들어가면 성서를 손에 드시오. 지속적인 도움을 성서에서 얻고자 한다면 들은 것을 되새기시오. 다른 스승을 찾지 마시오. 여러분은 하느님의 말씀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누구도 그분처럼 여러분을 교육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그가 남긴 저서는 안티오키아 학파에 속한 학자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그중 총 6권으로 된 「사제직」(De sacerdotio)은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대표적 저서로 꼽히는데 우아한 문장과 숭고한 신학적 사상 내용으로 오늘날까지 고전으로 읽히고 있다. 그외 수도생활에 관한 「테오도로에게 권고」 「진정한 참회」 등이 있으며 236편의 서간도 전해진다.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저서 대부분은 미뉴(J.P.Migne)의 교부 전집에 18권 분량으로 전해오고 있는데 이는 개인적 명성 때문이 아니라 신학적 높은 가치가 인정됐기 때문이다. 당시 교회 정치 사회 문화에 대한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는 저서들은 서방 교회의 아우구스티노와 비교될만 하다고 학자들은 밝히고 있다.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신자들의 실생활에 관심을 두었던 사목자였다. 자신의 수행(修行)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소외된 사람들의 비참한 삶에 함께 할 줄 알았으며, 그들 편에 서서 성찬의 의미를 사회정의와 사랑의 근본으로 해석한 교부였다.
연설가로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던 그는 그러한 수사학적인 재능을 복음화와 하느님 백성에 대한 봉사에 사용했으며 또 인생의 다양한 상황에 알맞게 맞추어 말할 줄 하는 능력을 지녀 신자들을 신앙으로 감동시켰던 믿음의 교육자였다.
교육자들 부모들에게는 그들 역할의 존귀함을 설명하면서 「교육이란 인간 존재를 다듬어내는 예술중의 예술」이라고 했고 현재 교회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그리스도인의 가정이 작은 교회」라는 말을 남겼다.
「성체성사의 박사」라는 칭호를 얻기도 한 그는 마리아의 영원한 동정성을 강조한 학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