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 빡빡하게 들어선 작은 내 서재에는 아직도 몇 권의 동화책이 꽂혀 있다. 전문서적들과 함께 꽂혀 있는 동화책이라니, 역시 정서가 언밸런스야, 하던 누군가의 지적이 기억난다. 아마도 동화가 주는 단순한 행복과 비현실적 순수가, 내게는 아직도 위안이 될 때가 있어서 인가 보다.
그중에도 제일 좋아하는 이야기는 무지개를 소재로 한 동화이다. 그런 동화를 읽는 데는 단 한 번도, 이걸 읽어야 하나? 라는 갈등을 겪어본 적이 없고, 처음 나온 졸서의 표지에도 무지개를 그려 달라고 했을 정도이니, 무지개를 좋아하는 수위가 보통을 넘었음은 충분히 가늠된다.
그래서일까. 사실은, 비밀인데(?), 박사학위 최종 시험을 보는 날 아침에도 활짝 웃고 있는 무지개를 보았다. 꿈이 아니라 실제로…. 아침기도를 마치고 옥상에 올라갔을 때였는데, 어떻게 무지개가 뜬 그 짧은 시간에 거기 올라가게 되었는지, 혼자서 감탄에 감탄을 연발하며 간직하고 있는 흐뭇한 우연 중의 하나이다. 물론 여름이었고, 지중해성 기후인 로마의 기후를 참작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긴 했다.
지난번에도 친구 수녀님과 서점에 갔다가 은근히 동화책 코너에서 어슬렁거리는 나를 보고, 웬 동화책? 이냐며 의아해 하길래, 으응- 조카 주려구, 했다. 하지만 우리 집 가족사를 훤히 뚫고 있는 그녀인지라, 조카 아직 돌도 안됐잖아, 하며 즉시 태클을 걸어 왔고 나는, 으응-, 고모가 누구니, 날 닮아서(?) 머리가 좋아. 한글 금방 깨칠거야…. 하고 또 얼버무렸다. 그냥 내가 보려고, 하면 쉬웠을 걸, 둘러치는 나를 안됐다는 눈으로 쳐다보는 그녀에게 왠지 창피하고 조금은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권력과 힘을 잡으려고 혈안이 되어 폭풍우 속을 걷고 있는 사람들은 그 폭풍우 이면에 있는 무지개를 보지 못한다. 그러나 어쩌면 그게 우리 삶일 지도 모른다. 권력을 잡기 위해서는 권력 잡은 이들의 폭력을 견뎌야만 하고, 다스리기 위해 다스림 받는 위치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지개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노동의 시간들이 삶이 아니라, 무지개와 함께 사는 아름다운 시간이 삶임을 깨달을 때, 비로소 진정한 삶은 시작된다. 각자의 삶 안에 떠있는 무지개를 보지 못하고 평생을 사는 것은 너무 불쌍하고 잔인한 일이다. 그러니 여유를 내어 하늘을 볼 일이다. 하늘나라는 지금, 여기에, 우리 안에 이미 와있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가 무지개를 보지 못하듯, 하느님 나라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을 뿐.
느부갓네살. 신생 바빌론을 신흥 대제국으로 탄생시켰던 장본인이었던 그 역시 하느님 없이 자신의 힘만으로 혁혁한 성공을 이루었다고 생각해왔던 인물이었다. 이제 우리가 살펴보게 될 다니 4장은 하느님 없이 성공하고 출세하며 꽤 인생을 잘 꾸려왔다고 생각하던 그가 인생 유전 끝에 어떻게 해서 하느님을 만나고 신앙을 고백하게 되는지, 그 파란만장한 과정을 소개해준다. 무서운 고통의 끝에서 만나게 된 하느님은, 그가 마침내 발견한 인생의 무지개가 아니었을까.
전반적 특징
다니 3, 31~4, 34은 바빌론왕 느부갓네살이 그의 백성에게 보내는 일종의 공식서한(Epistle)으로 되어 있다. 그 시작이 왕의 서한에 의례적으로 등장하는 고정적인 틀, 즉 발신자의 이름을 밝히고 이어서 수신자가 등장하는 고유 어법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이 부분이 가지는 또 다른 특징은, 복잡한 텍스트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인데, 마소라 텍스트의 절수 표기와 그리스 텍스트의 표기가 서로 일치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가톨릭측 번역들은 모두 히브리 본문인 마소라 텍스트(MT)의 절수 표기를 따르고 있고, 개신교측 번역은 그리스어 본문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가 3, 31~4, 34로 표기하는 내용을 개신교에서는 4, 1~37로 표기한다.
마지막 특징은 「1인칭 시점」을 통한 고백문(confession) 성격이라 하겠다. 이러한 1인칭 시점은 다니엘서의 전반부(1~6장)에서 유독 이 부분에만 발견되는 것이기에 좀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16절과 25~30절에는 3인칭 관점이 삽입되어 있다).
구성
이상의 특성을 배경으로 서술되어 있는 3, 31~4, 34은 사실상 매우 체계적인 구조를 띄고 있다. 그런데 이 중 가장 시선을 끄는 부분은 이야기의 처음과 끝을 함께 조응하도록 구성한 「인클루시오」(inclusio) 기법이다.
처음 등장하는 세 절(3, 31~33)과 마지막 네 절(4, 31~34)이 모두 하느님의 왕권을 칭송하고 찬양 드리는 「송영」(doxology)을 포함하고 있으며, 느부갓네살의 1인칭 고백 양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이야기는 하느님께 대한 느부갓네살의 찬양으로 시작하고 끝나게 되어있으며, 그 사이에 자신의 회개 여정을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