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6년 중 영간에 연대조약 체결에 의해 무호(蕪湖)가 통상 항구가 되었으며 영사와 영국군이 주둔하게 되었다. 선교사들이 들어와 교회를 세우는데 각지에서 반제반교(反帝反敎) 투쟁이 일어나고 있었다. 1891년 양자강 유역일대에 서양선교사들이 어린이들의 안구를 빼내어 약품을 만든다는 유언비어가 퍼졌으며 1891년 5월에 이런 유언비어가 무호에도 들어왔다. 주민들은 무호가 영국인의 통상항구가 되어 서양인에 대한 불만을 갖고 있는데다가 이런 소문이 들어오므로 매우 분개하고 있었다.
1891년 5월 10일 수녀 2명이 전염병을 앓고 있는 환자 방문을 했는데 그집에 7세, 5세된 두 어린이가 있었다. 수녀들은 어린이에게 전염병이 감염되는 것을 우려하여 어린이 2명을 성당으로 데리고 가는 도중에 어린이의 친척을 만났다. 친척은 수녀들이 어린이들의 안구를 빼려고 데리고 가는 것으로 오해하고 길에서 큰 소리로 야단을 쳤다. 길에 가던 사람들이 모여들어 수녀 2명을 유괴범으로 몰아 구속시켰다. 프랑스 신부가 이 소식을 듣고 관청에 가서 해명을 하여 수녀들은 곧 석방되었다.
5월 12일 군중 5000여명이 모여 선교사 추방을 요구하고 성당, 사제관, 고아원에 방화하였다. 7개국이 연합하여 청정부에 항의하고 배상금으로 은전 30만냥을 청구하였다. 청정부는 30만냥을 주민들에게 부담시켰으며 구교운동은 더 격렬하게 일어났다.
호북성 무혈(武穴)에서 1891년 서양선교사가 어린이를 죽이고 안구를 빼어 약으로 쓴다는 유언비어가 들어와 흥분한 민중들이 무혈 성당에 방화하였다.
천주교가 무석현(無錫縣)에 들어간 것은 비교적 오래되었다. 1859년 프랑스 선교사들이 삼리교, 언교, 서장, 양항, 신당리, 옥기, 진팔방 등에 성당을 세웠으며 삼리교 성당이 제일 규모가 컸다. 삼리교에 고아원을 세웠는데 교당 부근에 주민들이 어린이를 잃어 버리는 일이 종종 있었는데 성당에서 어린이를 죽여 안구를 뺀다는 유언비어가 퍼져 있었다. 1891년 음력 5월 2일 수백명의 주민들이 삼리교 성당으로 몰려가 성당 정원에 어린이 묘가 있었는데 주민들은 어린이 시신 200여구를 파헤치고 삼리교 성당에 방화하였으며, 이 사건은 언교, 서장, 양항에 파급되었다. 이 교난으로 민중 21명이 도형(徒刑)을 받고 지방관이 처벌을 받았으며 배상금으로 은전 1163냥을 청정부에 청구하였다.
천주교의 서양선교사가 어린이를 살해하고 안구를 빼낸다는 말은 이미 18세기에 나온 말이다. 이런 유언비어가 나게 된 원인은 1, 천주교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사교로 알았기 때문이고 2, 선교사들이 종부성사를 줄 때 헝겊에 성유를 묻혀 눈에 발라주는 것을 보고 터무니 없는 유언비어가 퍼졌다. 3, 천주교에서 자선사업으로 고아원을 많이 하였는데 안구를 취하기 위한 것으로 오해하였다. 4, 민중을 선동하여 구교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이런 끔찍한 유언비어를 이용했던 것이다. 무엇보다 서양인에 대한 증오심에서 나온 말이 아닌가 한다.
양자강 유역의 교난
황하와 양자강은 중국민족의 요람으로 티벳트고원에서 시작하여 사천분지를 거쳐 중국 평원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며 전장이 약 6300㎞의 수계로서 관계와 수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양자강유역은 옥야천리(沃野千里)로 이 지역은 아열대에 속하며 기온이 온난하고 습윤(濕潤)하여 농작물이 1년내 자랄 수 있고 경지가 3억 7천만 무(畝)로 전국 경지의 4분의 1에 해당된다. 생산량은 전국의 10분의 4 이상의 곡물이 생산되며 벼농사는 전국의 10분의 7 이상에 해당된다. 유채(油菜), 지마(芝痲), 양잠, 사(絲), 마류(痲類), 차 , 담배, 과일 등이 생산되고 있다. 제2차 아편전쟁 후 중국이 개방한 통상 항구는 갈수록 많아져서 남방에서 북방까지 연해로부터 내지까지 문호가 모두 개방되었다. 1869년 수에즈운하가 정식으로 개통되어 중겳?사이의 항로가 4분의 1로 단축되었다. 1871년 상해로부터 영국 런던과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사이의 전보선이 연결되어 서방 부르조아 계급이 신속하게 동방 시장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리하여 열강의 중국에 대한 경제적 침략은 매우 편리하게 되었다. 중국의 수입품 중에는 아편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면방직 모직품 금속제품 및 석유 설탕 염료 등이 소비 제품이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