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음성군 맹동면 꽃동네 인근 지역 광산(금광)개발(본보 1월 14일자 11면 참조)에 따른 사태가 갈수록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더욱 악화되자 충북지역 29개 시민사회단체가 공동으로 개발저지에 나섰다.
청주교구 정의평화위원회를 비롯 충북지역 29개 시민사회단체는 4월 10일 오후2시 충북환경운동연합 교육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맹동지역 광산개발은 명백한 환경파괴행위이며 지역민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몰지각한 행위라며 즉시 광산개발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광산개발 현황 및 대응과정 △광산개발로 예측되는 피해상황 △개발업체 및 행정절차상 문제점과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 공동의견서와 입장을 발표했다.
29개 시민사회단체는 △지역주민들과 꽃동네의 생존을 위한 투쟁을 지지하고 △일본인 투자자와 이익에만 집착한 금광개발의 즉각 중단 △관계기관의 각성과 광산개발의 즉각 취소를 촉구하면서 금광개발 취소를 위해 지역주민들과 끝까지 연대투쟁할 것을 밝혔다.
현재 광산개발은 지난 1월 11일부터 지역주민들이 태극광산 입구에 콘테이너를 설치하고 24시간 감시로 일시 중단된 상태이지만 태극광산 측에서 콘테이너를 뒤집어 엎는 등 상당한 마찰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지역주민과 꽃동네 수도자 등 800여명이 충북도청에서 개발 저지 시위를 하는 한편 이의신청서와 조업중지명령 촉구 등 각종 문서와 진정서를 관계기관에 보내고 있지만 농사만 알고 살아오던 농민들의 힘으로는 역부족이다.
그러나 태극광산 측은 지역주민들에게 자신들의 광산개발은 일부 극소수 지역이고 꽃동네가 대규모 시설 확장을 위해 광산개발을 반대하고 나서고 있다는 허위사실을 유포, 지역민과 꽃동네를 이간질시키고 있다. 또한 태극광산 대표가 특정지역 출신임을 강조하면서 권력을 앞세워 광산개발을 강행하고 있다.
「광산개발은 곧 생존권 박탈」이라는 절박한 상황에서 주민들은 개발저지를 위한 24시간 감시를 위해 오는 9월까지 순번을 정해 놓은 상황이며 『태극광산이 물러갈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결의했다.
현재 맹동지역은 수박농사와 식수를 위해 지하 30m에서 1300여개의 관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꽃동네도 20여개의 관정으로 식수·생활용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 80m에서 광산개발이 강행될 경우 지하수가 고갈돼 더 이상 살 수 없으며 광산폐수·중금속 등으로 인해 치명적인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가 있다.
광산개발저지투쟁위원회 사무국장 윤시몬 수녀(예수의꽃동네자매회)는 『태극광산은 주만들에게 사죄하고 스스로 물러가야 하며, 주거 및 농업밀집지역에 설정된 광업권허가·채광인가는 마땅히 취소돼야 한다』면서 『자연파괴 및 환경오염의 주범인 모순된 광업법은 현실에 맞게 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