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천주교인이오, 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고자 할 따름이오.’(옥중 성인의 말씀)
세례명은 안토니오. 축일은 9월 20일. 이름은 우집(禹集)이고, 성우는 그의 자이다. 1795년 경기도 광주 구산(龜山, 현 경기도 광주군 동부면 망월리)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성품이 강직하고 도량이 넓어 주위 사람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
성인은 만집(萬集), 문집(文集) 등 두 동생과 함께 신앙을 받아들였고 삼형제가 함께 신앙생활을 하면서 이웃과 친척들에게 선교했다. 성인 형제들의 노력으로 구산 마을은 교우촌으로 변모할 수 있었다. 성인은 1833년 유방제 신부가 입국하자 그의 가르침을 받기 위해 서울 느리골(현 효제동)과 마장안(현 마장동) 등으로 옮겨 생활하였다. 그 후 다시 구산으로 돌아온 성인은 자신의 집에 강당을 마련했으며 1836년 모방 신부가 입국하자 자기 집에 모시고 우리말과 조선의 풍습을 가르치기도 했다.
1839년 일어난 기해박해의 여파는 구산에 미쳐 공소 회장이던 성인은 사학의 괴수로 지목돼 한양 포도청으로 압송됐다. 그는 옥에 갇혀 있으면서도 자신의 집에 온 것처럼 행동했고 죄수들에게 교리를 전하여 그 중 2명을 입교시키기까지 했다. 또 온갖 형벌을 받아내면서 석방될 희망을 전혀 갖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옥중에서 생애를 다하려고 다짐했다. 배교하라는 재판관의 강요에 성인은 아무런 굽힘없이 ‘나는 천주교인이요. 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을 따름이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그의 마음을 돌이킬 수 없음을 안 관장은 결국 1841년 윤 3월 9일(4월 29일) 성인을 교수형에 처했다. 그 때 나이 47세였으며 옥에 갇힌 지 2년이 지난 시기였다. 성인의 유해는 후손들에 의하여 비밀리에 거두어져 구산성지에 모셔졌다. 로마 교황청의 시복조사를 거쳐 1925년 7월 25일 복자품에 올랐으며 1984년 5월 6일 한국 천주교 창설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한국을 방문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됐다.
■ 구산성지는
뒷산이 거북 형상을 닮았다 하여 거북 구(龜)자와 뫼 산(山)자를 쓴 구산성지(www.gusansungji.or.kr,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 387-10 소재)는 김성우 성인과 여덟 명 순교자의 자취가 스민 유서 깊은 교우촌이다. 입구에는 구산성지에서만 볼 수 있는 ‘우리의 도움이신 성모마리아’상이 자리하고 있다. 성모님께 특별한 신심을 가졌던 구산성지 초대 주임 고 길홍균 신부가 꿈속에서 알현한 성모님 모습을 고 김세중(프란치스코) 화백이 제작한 것이다. 성지 안쪽에는 성당과 김성우 성인의 묘가 순례객들을 맞이한다. 수원교구 성지와 교회사를 연구하는 수원교회사연구소도 성지 내에 자리하고 있다.
※순례 문의 031-792-8540 성지 사무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