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화중 하나를 꼽으라면 사람들은 에르미타슈 미술관에 있는 렘브란트(Rembrandt, 1606~1669)의 <돌아온 탕자>를 꼽습니다. 그러나 이 성화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이 성화는 루카복음 15장 11-32절이 그 배경입니다. 그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탕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아버지가 살아있는데도 자기 유산을 달라고 했습니다. 아버지는 아무 대꾸 없이 그냥 줍니다. 그는 아버지를 떠나 먼 곳으로 갔습니다. 아버지를 떠난 먼 곳이란 과연 어떤 곳일까요? 방탕한 생활을 하는 곳입니다. 창녀와 술이 넘치는 곳입니다.
살기가 어려워 배고픈 곳입니다. 거지처럼 사는 곳입니다. 모든 것을 잃은 뒤에야 그는 제 정신을 차립니다. 그리고 아버지께로 돌아갑니다. 그의 옷과 신발은 누더기가 되었고, 그의 머리는 죄수의 머리처럼 짧습니다. 그는 알거지가 되어 아버지 앞에 무릎을 꿇었습니다. 그래도 그가 마지막까지 버리지 않은 것은 허리에 차고 있는 칼입니다. 그 칼로 인해 그가 귀족 가문임을 나타내 줍니다.
아버지는 그런 아들을 멀리서 보고 달려갑니다. 반쯤 장님이 된 아버지는 몸을 낮추어 그를 부드럽게 끌어안습니다. 화가는 아버지의 속옷과 아들의 옷에 동일한 색상을 사용하여 두 사람의 깊은 유대감을 묘사해줍니다. 이 성화의 핵심은 아버지의 손입니다. 그 손에 모든 빛이 모여 있습니다. 그리고 그 손에 화해와 용서와 치유가 있습니다. 그분은 아들을 무한한 사랑으로 안으시는 아버지이십니다. 그분은 아들을 조건 없이 받아들이시는 어머니이십니다. 그래서 화가는 탕자를 끌어안는 손을 그릴 때, 아버지의 손과 어머니의 손으로 그렸습니다. 그리고 아버지 배에 고개를 파묻은 탕자의 모습도 어머니의 뱃속에 있는 태아의 모습으로 그렸습니다. 우리도 주님 앞에 무릎 꿇고 죄인임을 고백할 때, 탕자처럼 어머니의 따뜻한 품을 체험하고 새로 태어나는 것 아닐까요?
그러나 우리는 어떻습니까. 우리는 마치 큰아들처럼 그런 아우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투덜대지는 않습니까? 죄인과 의인을 똑같이 대접한다고 투정하지는 않습니까? 사실 아버지를 쏙 빼닮은 사람은 큰 아들입니다. 긴 수염과 붉은색 겉옷은 물론이고 얼굴의 광채마저 닮았습니다. 그러나 큰아들은 아버지의 모습과 사뭇 다릅니다. 긴 지팡이를 들고 두 손을 포갠 채 마치 심판관처럼 꼿꼿이 서 있습니다. 그의 자세가 너무나 올곧아 싸늘한 느낌마저 듭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죄인들의 교회입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교회는 죄인들이 회개하는 곳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심판관의 차가운 시선이 아니라 죄인의 통회하는 무릎이 되어야겠습니다. 우리도 돌아온 탕자처럼 무릎 꿇고 고백합시다. “아버지,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루카 15,21) 그러면 하느님 아버지께서는 우리를 껴안으며 말씀하실 것입니다. “어서 가장 좋은 옷을 가져다 입히고 손에 반지를 끼우고 발에 신발을 신겨 주어라.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아라. 먹고 즐기자. 나의 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도로 찾았다.”(루카 15,22-24)
그런데 돌아온 탕자가 노년이 된 렘브란트의 삶과 흡사하단 게 놀랍습니다. 그는 방탕한 삶을 살았고, 낭비로 모든 재산을 잃었으며, 부인과 두 딸은 젊은 시절에 잃었습니다. 그리고 노년에는 파산을 한 뒤 외아들 티투스마저 잃었습니다. 모든 것을 잃은 뒤에야 그는 하느님 앞에 무릎을 꿇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희망이 하느님의 자비임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화가는 이 성화를 그린 다음 해에 하느님 품으로 갔습니다. 우리는 언제 하느님 앞에 무릎을 꿇을까요?
말씀 안에서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