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원 전경. 1904년 툿찡으로 수녀원이 옮겨지면서 지어진 건물이다.
■ 서울·대구 수녀원의 모원
목적지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원은 호숫가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다.
수녀원 건물은 1904년 지어진 그대로라고 하는데, 유리 창문들을 구성 요소로 삼아 십자가 형상으로 꾸며진 한쪽 벽면 모습이 이채로웠다.
2004년 개보수 공사를 거쳤다는 성당은 제대를 중앙에 배치하고 둥근 원형으로 구성된 현대적 모습이었다. 고색창연한 수도원의 옛스런 이미지보다는 현 시대의 신자들과 함께하고 있는 듯한 ‘모던함’이 풍겨져 나왔다.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 방문에서도 그랬듯, 단순하고 절제돼 있지만 많은 것을 함축하고 다가 오는 그런 느낌이다.
특히 제대 기둥과 제대상 사이의 아크릴 소재로 된 투명한 정사각 십자가가 눈길을 끈다. 십자가 내부에는 올리브 가지가 흙속에 담겨 있다. 그 흙은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는 세계 여러 나라 것들이 섞여 있어, 전 세계에서 활동 중인 회원들 그리고 그들이 세계 사람들과 함께 결속돼 있음을 상징하는 것이라 했다. ‘온 세상에 가서 복음을 선포하라’는 사명을 상기시키는 의미다. 또 올리브 가지는 수녀회 로마 총원에서 가지고 온 것으로, 승리·부활·희망·평화의 상징이란다.
마중 나온 루스 쇼넨베르거 비서 수녀는 볼거리 가득한 대도시를 마다하고 지구 반대편 소도시 툿찡을 방문한 한국 신자들이 신기하면서도 놀랍다는 반응이었다. 그러면서, “세상 기준으로 생각하면 그다지 볼 것 없는 작은 도시지만 하느님 시각에서 들여다 볼 때는 수많은 선교사가 배출돼 세계교회로 뻗어나간 선교의 중심지” 라고 덧붙였다.
쇼넨베르거 수녀는 125년 전 수녀회 초창기 당시, 이제 막 선교사로 파견을 나가기 시작했던 수녀들이 100여 년이 지난 미래에 여러분들 같은 선교지 신자들이 툿찡 모원을 방문할 것이라고 상상이나 했겠느냐며 웃음 띤 표정으로 말했다.
그 말은 아마도 1925년 11월 18일 이곳 툿찡을 떠나 지중해와 아라비아 반도, 인도양을 거쳐 머나먼 극동의 작은 나라 한국에 도착한 네 명의 수녀들 마음일 것이다.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창립자 ‘안드레아스 암라인 신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성 베네딕도 수도 규칙을 따르면서도 선교 지방에서 신앙을 전파하는 수도회를 희망했던 그는 ‘수도승적 규율 준수와 선교사’라는, 당시로서는 특별한 수도 생활양식에 대한 인가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 1884년 마침내 교황 레오 13세의 인준을 받아 수도회를 출범시켰고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는 그 이듬해 1885년 창설됐다.
암라인 신부는 당시 대부분 선교사들이 개인적으로 해외 선교에 임했던 것과 다르게 수도공동체를 중심으로 선교 활동을 펼치고자 했다. 이것은 회원들이 베네딕도 규칙을 따라 살며 선교 소명에 따르는 노고와 희생 안에서 ‘하느님과 모든 영혼들의 구원을 위해’ 모든 일을 함으로써 참으로 하느님을 찾아 만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또 이를 통해 주변 사람들이 영혼과 육신으로 그리스도의 구원을 체험하게 되기를 원했던 데서 비롯됐다. ‘기도’ ‘공동생활’ ‘일(선교활동)’의 회원 생활양식은 그러한 내용의 구체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 수녀원 문앞에 있는 십자가.
▲ 유리 창문들을 구성 요소로 삼아 십자가 형상으로 꾸민 한쪽 벽면 모습이 이채롭다.
■ 전체 회원 중 한국인이 30%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뿌리를 찾아 멀리 한국에서 온 순례객들을 위해 간단한 티타임이 마련됐다. 수녀회 현황과 활동 등에 대한 쇼넨베르거 수녀의 설명이 이어지고 한국 분원들의 활동도 이야기 됐다. 한국의 대구 수녀원은 총 27개국에 진출된 분원 중 회원 수가 가장 많다고 한다. 또 전체 회원 중 한국 회원의 수가 30%를 차지, 수녀회에서 비중이 높은 편이라고 했다. 한국 여성 수도자들의 저력을 확인하는 순간이다.
쇼넨베르거 수녀는 “이제 독일교회가 선교지가 된 듯하다”고 토로했다. 그만큼 독일교회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뜻이다. 많은 이들이 교회를 떠나고 있고 젊은이들의 경우는 교회에 대해 아는 바가 없을 뿐더러 들을 기회도 없다고 했다.
“정치·경제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현 시대 상황에서 교회 역시 난항을 겪는,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털어 놓은 쇼넨베르거 수녀는 “선교 수도회 입장에서 과연 이런 현세적 흐름 속에 살며 어떻게 선교 사명을 수행해야 할지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몇 년 동안 툿찡 모원의 경우에도 회원 수가 줄면서 규모도 줄여야 하는 ‘쉽지 않은’ 현실을 맞고 있다. 운영하던 학교는 관할 교구인 아우구스부르그교구에 이양했고 병원도 일반인이 인수했다. 현재는 게스트하우스, 교육관, 피정의 집 등을 운영하고 있다.
성소자 감소 문제와 함께 기존 운영 기관이 교구나 개인에게 이양되면서, 경제적 문제도 간과할 수 없는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쇼넨베르거 수녀는 “아마도 유럽교회 여타 수도회들도 비슷한 상황과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이라면서 “앞으로 어떤 영성, 어떤 카리스마로 이런 난제들을 돌파해야 할지가 ‘과제’”라고 했다. 유럽교회의 가릴 수 없는 한 단면으로 받아 들여졌다.
이야기를 나눈 후 수녀원 저녁기도에 참석했다. 수녀들 자리 뒤쪽으로 다수의 지역 신자들이 자리를 잡는 모습이다. 고교생으로 보이는 앳된 얼굴들부터 청년들까지 다양한 연령층 신자들이 성당 좌석을 메웠다.
성가를 담당한 수녀들의 청아한 목소리 속에 성무일도가 시작되고, 젊은 회원부터 희끗희끗한 흰 머리의 회원들 그리고 함께한 평신도들의 기도소리가 하나로 녹아들었다. 함께 입을 모아 하느님을 찬미하는 기도 풍경 속에서 도도히 흐르는 유럽교회의 저력과 연륜이 느껴져 왔다. 그리고 새로운 선교의 희망이 엿보였다.
▲ 성당 제대 기둥과 제대상 사이에 걸린 아크릴 소재의 투명 십자가. 내부에는 로마 총원에서 보내온 올리브가지와 각 나라 선교지의 흙이 담겨있다. 흙의 의미는 ‘온 세상에 가서 복음을 선포하라’는 사명을 상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 수도자들이 저녁기도에 참여하고 있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