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학생들 사이에 ‘왕따’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살’로까지 끝을 맺을 때 무척이나 마음이 아파오고는 합니다. 아직 피어보지도 못한 그 소중한 꽃들인데!
그런데 이러한 ‘왕따’ 현상과는 달리 ‘스따’, 즉 자신 스스로를 공동체나 조직 안에서 따돌림 하도록 만드는 현상도 주변에서 자주 접하게 됩니다. ‘공동체 안에서 분위기를 흐려놓으면서 자신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 ‘공동체 안에서 자신을 내어 놓지도 않고, 함께 어울리려고 하지 않으면서 뒤돌아서서 공동체가 자신을 인정해 주지 않는다’ ‘만날 때마다 여러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상대방의 약점을 잡은 후 그 상대방을 조종하려는 사람’ 등이 그러합니다.
이렇게 ‘스따’의 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지나치게 이기적이고 편협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스스로 공동체를 사랑한다 말하면서도 반대로 공동체와 거리를 벌려 나갑니다. 그러면서 ‘스따’들과 함께 사는 이들 스스로가 그들의 편파에 결국 공동체를 떠나가게도 합니다.
아무튼 이러한 ‘왕따’를 경험했던 사람이나 ‘스따’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여러 가지 견해가 있을 수 있겠으나, 본인은 그들의 행동 중 ‘믿음의 결여’ 차원에서 해답을 찾고자 합니다.
사실 대부분의 ‘왕따’를 경험했던 학생들은 자신과 동료, 자신과 세상에 대한 ‘믿음’이 많은 부분 결여되어 있었기에 늘 주변 사람들과 함께 지내는 것을 두려워하고, 그러다보니 위축되고, 주눅이 들어 살아갑니다. 이에 그들의 약점을 찾아낸 다른 동료들이 그 모습을 부각시켜 그들을 학급 안에서 ‘왕따’로 만듭니다. 이는 ‘스따’인 사람도 그렇습니다. 이들 역시 인간에 대한 기본적 신뢰를 통한 ‘총체적 믿음이 결여’되어 있기에 내면에 있는 두려움과 불안에 직면하기 두려워 양보가 손해라 생각하여 이기적으로 행동하고, 관계 안에서 자기 방어에 급급하여 파벌을 형성하고, 외로움을 달래고자 주변 사람들을 소유하려 합니다. 결국 ‘믿음의 결여’가 관계를 집착, 편협하게 만든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믿음’이란 타인에게 받아 본 사람이 타인에게 줄 수 있는 것이라 말합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에게 ‘믿음’을 받아보지 못한 사람은 ‘믿음’을 줄 수 없다는 말일까요? ‘믿음’은 내가 타인에게 진심으로 준 만큼 좋은 관계로 돌아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왕따’, ‘스따’ 할 것 없이, 타인에게 내가 먼저 괜찮은 믿음을 주는 노력을 해 보면 어떨까요? 왜냐하면 좋은 ‘믿음’이야 말로, 그 어떤 ‘따돌림’이건 간에 그것을 극복하게 하는 가장 좋은 마음의 영양분이기 때문입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