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에 있어서 여성은 남성에게 종속되던 존재였다. 조선왕조의 여성에게는 부친과 남편과 아들에게 순종하며 살아가야 하는 三從의도가 강요되고 있었다. 또한 여성들은 남편을 사별한 후에도 자유로운 재혼을 보장받지 못하였다. 그리고 그들에게는 가정 이외의 사회적 활동이 용인되지 아니 하였다. 천주교가 전파될 당시 조선의 여성들은 이와 같이 불평등한 대우를 감수하여야 하였다. 여성들에 대한 이러한 불평등은 주자학적 윤리관에서 유래되고 있었다.
조선천주교회의 눈에 비친 당시 여성의 지위는 비참하기 그지없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교회 당국은 조선에서 여성을 천대하고 멸시하는 것이 마치 자연법처럼 되어있고, 여성들은 권리도 책임도 없는 존재로 파악되고 있음을 개탄하였다. 그리고『여성들의 보통 처지가 불쾌하리 만큼 천하고 열등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말하면서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천주교회는 三從之義와 七去之惡에 얽매여 있던 당시의 여성들에게 자신도 영혼을 갖고 있고, 남성과 다름 없는 인격체임을 일깨워 주었다. 또한 가정에만 얽매여 지내던 여성 교우들에게 사회적활동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그리고 교회는 남편을 잃은 여성들의 보호자가 되어 주었으며, 그들의 재혼도 교회법의 테두리안에서 정당한 것으로 인정해 주었다.
한마디로 말하여 교회는 女權의 신장을 위해 실천적인 노력을 하였던 것이다.
黃嗣永의 증언에 의하면 천주교에 입교하는 이들 중에서 부녀자가 3분의 2이며 무식한 천민이 나머지 3분의1을 차지하고 양반신도들은 매우 적다고 하였다. 우리는 이와 같은 초창기 교회에서 여성들이 상당한 숫자에 이르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그여성들의 입교동기가 어디에 있었는지를 다각적으로 검토해보아야 할 것이다.
당시 여성들의 입교동기 중에는 여성자신의 자각과 함께 여성에 대한 교회의 정당한 이해도 들 수 있을 것이다.
조선왕조의 여성들은 前近代的 제도에 의하여 억압받으며 사회적 활동의 기회가 거의 없었다. 이들이 교회에 들어와서 자신의 인격을 인정받으며, 남정들과 동일하게 신앙생활을 하였다. 이들이 남정들과 함께 종교활동에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었다는 것은 분명히 감격적인 일이었을 것이다.
당시의 여교우들은 신앙생활과 종교적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신의 존귀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여성들이 신앙을 갖게 된 이후 남편이나 시부모로 부터 가해지는 집안의 박해를 이겨나간 것은 남편이나 가문과는 별개인 자신의 존재를 인식한 까닭이었다.
그리고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며, 시집 식구들까지 입교시키려 노력한 것은 三從의 도에 대한 서부었으며, 女權에 대한 용감한 선언의 초기적 형태였다.
우리의 교회사에서는 여성들의 뛰어난 활동을 기억하고 있다. 1801년의 신유박해때에 순교한 姜完淑은 의지할데 없는 여성들을 거두어 그의 집에 살게 하였으며, 처녀들을 모아 교육을 시켰다. 金連伊나 鄭福惠는 「邪學의媒婆」로 불리울 만큼 활발한 사회적 활동을 하였다. 또한 李順伊루갈따가 자신의 친정보다 문벌이 낮은 柳重哲과의 혼인을 결행했던 것은 신분과 문벌을 존중하던 사회적 관습에 대한 도전이었다. 그리고 19세기중엽에 살았던 玄경련은『무식한 사람을 가르치고 냉담자를 권면하며,근심중에 있는 사람을 위로하고 병자들을 간호하며, 죽을 위험을 당한 외교인 어린이들에게 대세를 줄 기회를 하나도 놓지지 않았다』이러한 모든 여성 교우들의 활동은 당시 사회에 있어서는 일종의 파격이었다. 그러나이「파격적 행동」은 교회에 의하여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또한 그들은 파격적 행동에외 용기를 교회로 부터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이 파격적행동은 한국사에서 비로소 나타나기 시작한 女權에 대한 인식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교회는 여셩들에게 여권에 대한 인식을 촉진시켰고 여성의 지위향상에 일정한 기여를 하여주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여성들은 죽음의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신앙을 갖고자 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순교의 마당에서 죽음의 공포를 이길 수 있는 용기와 희망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
여성의 권리와 지위향상에 대한 인식은 근대사회가 갖고 있는 또 다른 특징으로 지적되고 있다. 천주교회는우리나라 사회에서 여성의 존귀함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우리의 교회사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스스로 이를 증명해 보여주었다. 천주교회는 이와 같이 여성의 자각과 여권의 발견에 기여함으로써 한국사의 발전에 기여해 주었다. 바로 이점에서도 천주교회사의 한국사적 의미를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계속>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