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종교인들이 살고 있는 문화적 삶 속에서 종교라는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를 이야기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서울대교구 절두산 순교성지(주임 변우찬 신부)가 마련한 2011년 상반기 교양강좌에서 조현범(한국교회사연구소 책임연구원) 박사가 교회사가 아닌 종교와 문화이야기를 풀어놓을 예정이다.
종교학자가 전하는 ‘종교와 문화’ 이야기가 어떻게 마련된 것인지 궁금증이 앞섰다.
“종교학자가 종교와 문화에 대해 논한다고 하니 의아해 하실 수도 있겠다 싶어요. 신앙은 전인적인 결단을 얘기하는 것인데 교양강좌로 한다는 게 가능한가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죠. 전 문화적 관점에서 종교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종교를 이야기하는 기존방법은 종교의 본질이 무엇인지, 가르침, 특징 등을 나열하는 스테레오 타입의 설명이 일반적이라고 조 박사는 설명했다. 그는 이 틀을 바꿔서 여러 종교와 세속문화를 아울러서 뒤섞은 다음 다른 시선으로 풀어내 청중들에게 전해줄 거라고 했다.
이번 강좌는 종교와 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틀을 짜는 시도인 셈이다. ‘종교와 문화, 홈통으로 들여다보기’라는 주제도 그런 의미에서 정해졌다. 세부주제도 그동안에 접했던 내용들과는 다르다. 두 번째 강의 ‘종교와 카레는 뭐가 다르지’는 종교의 정체성을, ‘한 말씀만 하소서:말의 힘’은 신화나 교리 등 말로 이뤄진 문화에 대한 얘기가 진행될 예정이다. 조 박사는 그 중에서도 ‘웨하스와 연양갱의 푸가’에서 나올 음식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고 했다.
“말, 이미지, 몸짓 등 인류문화를 새로운 분류 기준으로 묶으면 낯설고 다르다고 여기던 것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됩니다. 낯선 경험이 될 수도 있지만 많은 분들이 이번 강좌를 통해 시야와 관점을 바꾸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대학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강의에서는 자주 종교와 문화라는 주제를 다루었지만 일반 교양인을 상대로는 처음이라는 조 박사는 설레고 긴장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하지만 항상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내용을 내놓는 자리인 만큼 참석자들의 반응이 궁금하기도 하다. 강의를 시작으로 더 다양한 주제들을 발굴하고, 어느 정도 내용이 갖추어지면 책으로 발간할 계획도 있다고 전했다.
“이번 강좌의 핵심은 문화적 포용력이에요. 돈과 권력이 있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여유가 있을 때 포용력도 생깁니다. 때문에 교회에서 이런 분야에 관심 갖는 건 바람직한 일입니다. 사회적인 문제나 영적인 영역에 기여하는 것 못지않게 문화적 접근도 필요한 시점입니다.”
※문의 02-3142-4434
문화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