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皇權과 帝權, 敎權과 俗權 간의 대결은 교황 그레고리오 7세 (1073∼1085) 때 소위 任職權 논쟁에서 일단 교황측의 승리로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양자간의 격부는 대립교황, 전쟁, 유혈사건 등을 통해 계속되었다.
이런 권력투쟁이 오늘날 우리에게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에서는 거의 어쩔 수 없는 것이었다. 당시는 그리스도가 그리스도교 세계의 유일한 주인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복음의 주님의 말씀 (루까22ㆍ38) 에 근거하여 그리스도가 세계지배를 위해 두 칼자루를 준 것으로 이해했다. 하나는 세속적인 것으로 황제에게 맡겨졌고 또 하나는 영적인 것으로 교황에게 맡겨졌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레고리오 7세 시대의 교회법 학자들은 이러한 이론을 교황에게 전적으로 적응시킴으로써 새로운 해석을 내리게 되었다.
즉 두 칼자루는 모두 교회를 위해준 불이기 때문에 결국은 하나로 돌아간다. 즉 영적인 것은 교회가 직접 행사하고 세속적인 것은 황제에게 위촉하여 교회의 이름으로, 또 교회를 위해 행사하게 한다는 것이다. 당시 사람들은 교회의 파문을 영적인 칼자루로 생각했다.
어쨌든 그레고리오 7세와 더불어 시작된 교황의 세계지배는 인노첸시오 3세 (1198∼1216) 때 그 절정에 도달했다. 한 역사가는 이 정점을『교황직이 현기증을 일으킬 정도로 극도에 도달했다』고 표현했다. 분명히 그리스도교 국제사회의 우두머리는 이미 황제가 아니라 교황이었다.
인노첸시오 3세는 37세때 교황지위에 올랐다. 그는 당시 추기경 중에서 최연소자였고 또한 당시 최고의 지성인으로서 신학자인 동시에 뛰어난 법률가였다. 그는 교황위에 오르던 날 이런 연설을 했다.
『일찍이 예언자들은 본인에 대해 본인을 민족들과 왕국들 위에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리스도는 사도들을 통해 본인에게 천국의 열쇠를 주겠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본인은 그리스도의 대리자이다. 본인은 비록 하느님 보다는 얕을지라도 사람보다는 높다』 인노첸시오는 그때까지 교황들이 사용해온 「성 베드로의 대리자」란 칭호를「그리스도의 대리자」로 바꾸어 놓았다. 그에게 있어서는 베드로도 그와 같이 그리스도의 대리역을 맡은 같은 교황에 불과했다.
인노첸시오 교황의 연설에서 우리는 이우구스띠노의 神國 이념을 엿볼 수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세계지배의 이념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종교적 이념에서였으니 서구의 그리스도교계의 백성은 초자연적 공동체였고 따라서 그것은 교회의 모든 백성으로 구성된 초국가적 공동체였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교계의 우두머리인 교황은 자연 많은 민족들로 구성된, 그러나 같은 신앙에서 일치된 서구국제사회의 지도자가 되어야했다.
인노첸시오3세는 이러한 세계제국의 이념에서 전서구를 교황의 봉건국가체제를 바탕으로 한 세계제국을 건설하려했고 또한 그것을 실현시켰다. 시칠리를 위시하여 영국ㆍ이라곤ㆍ포르투갈ㆍ덴마아크ㆍ폴란드ㆍ보헤미아ㆍ항가리 등이 교황의 봉토주권을 시인함으로써 그들의 국토를 교황으로부터 對土로받은셈이되었다
이렇게 교황이 봉건국가를 건설해나가는 과정에서 슈타우렌왕자는 완전히 패배하게 되었다.
교황직인 인노첸시오3세에서 가장 강력하고 정력적인 교황을 맞이했을 때 이와는 대조적으로 독일의 왕권은 아주 약화되어 붕괴의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중 선거로 왕권은 계승투쟁으로 확대되었다
이때 교황은 독일의 왕위계승문제에 간섭하고 2명을 파문하고 폐위시켰다. 교황은 선거 자체의 승인이 아니라 왕의 후보자들의 윤리면에서의 자격 여부를 판단할 권리에서 왕권투쟁에 개입하는 것임을 밝혔다. 이와 같이 王權의 우위성에서 교황은 비단 왕위계승 문제만이 아니라 모든 俗事에 관여했다.
즉 교황이 속사에 관여하는 것은 세상사도 하느님이 세운 질서를 따라야 하고, 왕과 제후들도 하느님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는 책임과 확신 때문이었다.
인노첸시오에게 있어서 세상은 하나의 거룩한 질서였다. 이 질서가 죄에 얽매인 사람과 사람과의 문제로 인해 교란될 때 교황은 언제나 여기에 간섭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권력이 남용되고 또는誤用될 위헌은 컸고, 실제로 교회는 거기서 벗어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교회의 영적 임무에 축복을 갖다 주지는 못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인노첸시오 3세의 가장 큰 관심사는 성지를 미신자들의 손에서 해방시키는 일이었다 그래서 그는 십자군 원정을 계획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제4차 십자군 (1202∼1204) 이었다. 그러나 그는 여기서 가장 큰 손실을 겪어야 했다. 십자군들은 교황이 지시한 성지로 가지않고 엉뚱하게도 콘스탄티노플로 가서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킨후 희랍신자들을 쫓아내고 거기에 라틴제국을 건설했다. 교황은 그것을 묵인했을뿐더러『동방이 좀더 빨리 희랍인의 통치에서 라틴사람들의 통치로 넘어왔더라면 성지를 잃지는 않았을 것이다』고 하며 도리어 그것을 하느님의 섭리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이로써 동서교회 간의 긴장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었다.
인노첸시오 3세는 그의 치세 말년시 죽음이 가까웠음을 짐작하고 교회의 내실화를 위해 공의회를 소집했다.
이것인 바로 1215년에 개최된 제4차 라떼라노 공의회였으니 그것은 교회사상 가장 큰 공의회의 하나가 되었다. 5백명의 주교와 8백명의 대수도원장들이 참석함으로써 그의 치세의 절정을 보였다. 그것은 서구 그리스도교 국제사회의 위압적인열병과도 같았고 동시에 중세전성기의 교회생활의 절정을 나타내는 광경이기도 했다. 공의회는 여러 개혁규정을 통해 교회를 내적으로 쇄신하고 심화하는데 크게 기여했고 이때 결의된 부활절의 고해ㆍ영성체 규정은 오늘까지 유효하다. 인노첸시오 3세는 공의회 개회식에서『나는 여러분과 헤어지기 전에 여러분과 이별식사를 같이 하기를 간절히 원했다』고 주님의말씀을 간접적으로 인용하기까지했다. 그로부터 반년 후 즉 1216년7월에 그는 56세로 사망했다.
특집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