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난 1978년에 실시된 교황선거에서 4백여년만에 처음으로 비이탈리아인 교황이 탄생한 사실을 보았다. 이분이 바로 현교황、폴란드 출신의 요한 바오로 2세이다. 여기서 우리는 교황의 선거제도가 결코 우발적으로 생긴 것이아니라 2천년의 역사 속에서 인간의 지혜와 이성을 통해 만들어진 것임을 잊지말아야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초의 로마주교요 동시에 최초의 교황인 베드로는 사도들에 의해 선출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에 의해 직접 교황으로 간택되었다. 그 후 교회는 베드로의 후계자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인간적인 방법에 의지할 수 밖에 없었고、그러나 인간적 방법이 불완전한 것임을 늘 의심하면서 합리적인 선거방법을 꾸준히 모색해왔다.
교황선거라면 오늘날 의례 추기경단을 연상하지만 이 제도가 확정되기까지는 1천년의 세월이 흘러야 했다. 그러므로 그 때까지는 아직 고정된 규정이 없었다.
3세기의 사료에 의하면 로마주교、즉 교황의 선거도 다른 주교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지방의 성직자와 민중들에 의해 선출되었다. 그러나 점차 교황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이 방법에 외부세력이 간섭하게 되었다. 이러한 간섭은 4세기부터 시작되어 이때부터 로마황제、로마귀족、독일왕들이 교황선거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에 대비하여 교황들은 생전에 후계자를 임명하고 또는 선거를 감시할 규정을 만들었으나 별 효과가 없었다.
비잔틴 황제들은 교황선거의 승인권을 요구했다. 이리하여 이 시기의(6~8세기) 교황들은 그들의 당선을 황제에게 보고하고 그 승인을 얻어야 했다. 다음 9세기부터 11세기 까지는 로마귀족과 독일왕들이 교황을 해임하고 임명하는 등 교황선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독일왕 하인리히 3세는 교황문제로 로마귀족들의 당파싸움이 그 절정에 도달했을때 즉 1046년 3명의 교황을 해임하고 독일사람을 새 교황으로 임명하였고 그 후에도 한동안은 독일인들이 교황좌를 점유하였다. 교황선거에 대한 이러한 간섭보다 황제의 권세를 잘 나타내는 것은 없었다. 황제는 말하자면 교황의 상전이었다.
그러나 황제의 이러한 오만불손한 행위에 대해 곧 교회 안에 반동이 일어났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俗人의간섭으로부터 교회의 자유를 지키고 되찾으려는 교회개혁에서 나타났고 그 일환으로 니콜라오 2세 교황은 마침내 1059년 이후 교황선거를 추기경 주교들에게 국한시키는 교황선거법을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그것은 교황선거에서 俗人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한 점에서 교황선거사에서 전기를 마련한 획기적인 조치였다.
당시 추기경들이란 어떤 사람이었을까? 추기경은 교회가 만든 제도이고 또한 교황이 임명한다. 추기경(Cardinal)이란 본래 문의 경첩에서 유래하여 中核를 뜻한다. 추기경들은 주요한 교회에 예속되어 그 중추를 이루고 주로 전례와 자선사업을 맡아 보았다. 추기경들은 처음엔 로마에만 있었는데 당시 로마의 추기경수는 50명가량이었다. 교황선거가 추기경에게 유보됨으로써 이후 추기경의 지위가 크게 격상되기에 이르렀다.
교황선거가 추기경단에 유보된데 이어 1179년에는 3분의2의 다수결이 결정되었다. 이렇게 최소한의 표수가 중선거와 대립교황의 출현을 예방하게 되었다. 실제로 그 후로는 서구 대이교의 단기간을 제외하면 거의 대립교황이 없었다.
3분의2의 다수결은 그 후 불행히도 선거의 지연과 아울러 교황의 공석시기를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교황선거의 안정성을 위해 상기한 추기경단과 3분의2의 다수결 외에 또하나의 요소가 첨가되기에 이르렀으나 그것이 바로 콘클라베(Conclave)이다. 이 말은 원래 열쇠로 잠근다는 뜻에서 幽閉 교황선거장을 뜻하게 되었다.
최초의 콘클라베를 이미 1241년에 있은 것으로 보는 이도 있으나 어쨌든 오늘의 콘클라베는 그 후에 있은 비테르보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이 선거는 1268년 말에 시작되어 1271년까지 거의 3년이 걸렸다. 오 년째 되던 해 비테르보의 시당국과 착한 시민들은 더 이상 참을 수 없어서 좀 더 지혜롭고 신속한 결정을 자극하기 위해추기경들을 감금하고 그들에게 빵과 물밖에 공급하지 않았다. 이 방법은 실효를 거두어 마침내 새 교황이 탄생했다.
새교황(그레고리오10세)은 그 방법이 훌륭했음을 인정하고 1274년 그것을 제도화했다. 이규정에 따르면8일이 지나도 유효한 선거에 이르지 못하면 그때부터 선거가 성공되기까지 선거인추기경은 빵과 포도주와 물밖에는 공급못하게 되어있다.
그 후에도 교황선거법은 계속 수정 보완되었을지라도 상기 세 요소 즉 추기경단、3분의 2의 다수결、콘클라베를 제외하면 세칙에 불과한 것이다. 식스토 5세는 1586년 추기경수를 70명이 넘지 못하게 하였으나 요한23세는 그 수를 증가시켰다. 삐오 12세는 3분의2표에 1표를 가하였고(자신의 표를 막기 위해)요한 23세는 그것을 다시3분의2로 환원하였고 바오로 6세는 다시 삐오 12세의 결정으로 환원시켰다.
비테르보에서 시작된 콘크라베 제도는 오늘에도 적용되며 바로 이 방법에 의해 현 교황이 1978년에 선출되었다.
오늘날 추기경들이 교황선거를 위해 유폐되는 장소는 바티깐궁전안의 시스띤경당이다. 교황선거에는 전원추천(만장일치)、위임등의 방법도 있으나 보통은 비밀투표로 결정된다. 오전 오후 두번의투표로 3분의2의 다수결이 나올 때까지 콘클라베는 계속된다. 이때 선거장 밖 베드로의 광장에서는 로마시민들이 기쁨의 흰 연기를 초조하게 기다린다.
투표용지를 태운 연기에서 교황선거의 결과가 알려지게 되어있다. 검은 연기이면 미결이라는 뜻이고 흰 연기이면 새 교황이 탄생했다는 뜻이다.
새로 선출된 교황이 교황직을 수락하면 그 즉시로 그는 교황이 된다. 이어 새 교황의 이름이 발표되고 추기경들의 순명선서가 있은 후 베드로 대성전 발코니에서 로마시와 전 세계를 향한 교황의 첫 강복이 내려진다.
특집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