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아빠스 축복 10년을 맞는 왜관수도원 수장(首長) 이형우 아빠스는 수도원장 자리를 맡으면서 베네딕수도회의 한국 역사 면에서, 또 한국 교회사 적으로도 굵직한 일들을 맡아 수행해야 했다.
무엇보다 베네딕도회 오딜리아연합회 한국 진출 100주년 기념 행사를 치러냈고 ‘신상원 보니파시오 사우어 주교아빠스와 김치호 베네딕도 신부와 동료 순교자들’ 38위의 시복시성 절차를 시작했다. 또 미국 뉴튼수도원을 인수했으며 화재로 소실된 수도원 건물을 새롭게 건축하는 중책을 맡기도 했다.
황해도 재령 출신으로 1965년 왜관수도원에 입회, 77년 사제품을 받고 청지원자 지도, 구미 원평·대구 대명동본당 주임, 왜관수도원 수련장, 왜관 피정의집 주임, 왜관수도원 부원장 등을 거치며 약 반백년의 세월을 왜관수도원과 함께한 이형우 아빠스. 베네딕도회의 한국 선교 역사를 마무리하면서 인터뷰를 청했다. 아빠스는 수도회의 향후 역할 부분에 인터뷰 내용의 많은 비중을 할애했다.
한국에서의 베네딕도회 역사와 관련, 이형우 아빠스는 “구약 성서에서 가장 큰 축제는 해방절 즉 파스카 축제였는데 이 축제는 단순히 먼 옛날의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긍지를 확인하고 서로 결속하고 이에 걸맞게 살아야 한다는 다짐을 곁들인 경축이었다”며 “이런 의미에서 100여년의 역사는 수도자로서의 신원을 재확인하고 또 다른 100년을 준비하는 마음으로 임하는 디딤돌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이제 수도회 본연의 자리로 되돌아 와야 하는 일이 남아 있는 듯하다”고 했다.
이 아빠스가 오늘날 한국 사회 안에서, 또 교회 안에서 수도회는 어떤 일을 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 볼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바로 ‘기도’ 다.
“마치 길을 가다가 샘터가 나타나면 물을 마시고 쉴 수 있는 것처럼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영적인 샘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너무도 각박한 사회 안에서 수도원 만이라도 아버지 어머니 집에 와 있는 것 같은 마음으로 신자들이 쉬어갈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 아빠스는 수도원 내에 수도승 생활이 강조되면서 1987년 서울 근교 불암산 기슭에 단순한 노동으로 기도생활에 전념하며 베네딕도회적 삶을 지향하는 성 요셉수도원이 설립됐던 것을 예로 들었다.
“성 요셉수도원은 피정을 원하고 기도를 하고자 하는 이들이 많이 찾는 곳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되고 있다”면서 “수도원에 와서 전례에 참석하고 같이 성가를 부르는 것 만으로도 사람들이 위안을 얻는 듯하다”고 했다.
“사부이신 베네딕도 성인께서는 수도원을 ‘하느님의 집’이라고 하셨습니다. 수도사들은 하느님의 집을 관리하는 일꾼들이라고 했죠. 수도사들은 그 주인집의 자녀들을 잘 받아들이는 임무를 지니고 있습니다.” 영적 성숙 미흡이라는 한국교회가 안고 있는 과제 속에서 그만큼 수도원의 영적인 역할이 크다는, 수도회 역할에 대한 의견으로 들렸다.
이 아빠스는 계속해서 수도원의 ‘영적인 쉼터’ 역할을 강조, “일상 안에서 정신적으로 지쳐있는 이들이 마음 놓고 올 수 있는 장소가 되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최근 들어 왜관수도원이 시도하고 있는 중장년들을 대상으로 한 수도생활 체험 학교라던가 젊은이들을 위한 기도 프로그램 등이 이 같은 아빠스의 목소리와 맞닿아 있는 듯하다.
아빠스가 덧붙여 역설한 것은 수도자들의 ‘증거의 삶’이다. “저 수도원 공동체 안에 하느님이 계신다, 저 사람들이 복음 때문에 일반인들과 다른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성소자들의 현황 문제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하고 싶다고 말했다. “수도자들의 삶은 그러한 하느님을 증거하는 생활이기에 숫자적인 것보다는 질적으로 ‘증거’의 모습을 보이는게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라는 것이다.
▲ 한국 진출 100년을 지낸 왜관수도원은 최근 중장년과 청년들을 위한 기도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영적 쉼터 역할에 매진하고 있다.
시복재판이 진행 중이고 제 자료들이 정리 중이라고 전한 이 아빠스는 “시복시성 작업은 결국 신앙 후배인 우리들을 위한 것”이라면서 “그분들의 삶을 조명하면서 그에 부끄럽지 않은 후배의 삶을 살고자 노력하고 또 더욱 세상에 하느님을 증거 하고자 하는 그런 계기를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 이 아빠스는 수도원 화재 복구에 도움을 준 모든 은인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화재로 인한 성전 복구를 위해 전 세계 교구와 본당에서 성금이 답지했는데, 한국 은인들의 도움이 50% 이상이었습니다. 특히 주머니 돈을 털어 십시일반으로 도움을 준 평범한 서민들의 성원이 너무도 감사합니다.”
이 아빠스는 그러한 신자들의 마음에 보답하는 길은 ‘교회와 신자들 기대에 맞게 수도자들이 잘 생활하는 것, 또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을 영적으로 도와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무언가 항상 빚진 마음’ 이라는 이형우 아빠스. “수도자 본연의 삶이 미진한 듯해서, 또 그렇게 영적으로 신자들을 잘 도와주지 못하는 듯해서”라고 이유를 밝힌다.
“무엇보다 수도자들이 잘 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할 듯 싶습니다.”
‘서로 섬기자’(Serviamus invicem)를 사목 표어로 하고 있는 이형우 아빠스. 인터뷰를 마치고 돌아서는 길, 주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며 보여주신 사랑을 본받아 수도원을 ‘섬김과 사랑의 공동체’로 만들어 가겠다는 의지를 담았던 그의 표어는 ‘섬김’이 부족한 세태에서 다시 한 번 그 의미를 되새겨 보게 했다. 또 수도원이 그러한 섬김의 표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게 했다.
▲ ‘주님을 섬기는 학원’이란 말은 성 베네딕도의 수도 규칙서에 나오는 말로, 모든 일에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고 형제들끼리도 서로 순명하는 공동체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