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먼저 와 닿는 부분은 피부색입니다. 처음에는 피부색이 전혀 다른 이 사람들 속에서 산다는 것 자체가 부담스러웠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들의 피부색이 보이지 않습니다. 대신 생김새가 보입니다. 그들 하나하나의 얼굴이 눈에 들어옵니다.
그 다음으로는 느릿느릿한 그들의 생활습관, 케냐에서 지내면서 한동안 속이 펄펄 끓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저만큼 느린 사람도 없는데, 여기서는 제가 굉장히 빠르고 급한 사람이었습니다. 이들은 약속시간에 늦는 건 다반사이고, 음식점에 가도 주문한 음식을 받기까지 30분 정도 기다리는 건 기본입니다. 이들의 이러한 생활습관도 시간이 지나고 나니 견딜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느 정도 포기한 부분도 있지만 그만큼 여유도 생겼습니다.
이렇게 케냐에서의 연수를 마치고 남수단으로 들어와 두 달을 지내고, 다시 한 번 연수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연수는 딩카어 연수입니다. 남수단의 공용어는 영어이지만 국민의 대다수인 딩카 부족이 사용하는 딩카어 역시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아직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 어린 아이들이나 내전 기간 동안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자란 어른들은 영어를 전혀 모르기 때문입니다.
아직 영어도 부족한 상황에서 또다시 새로운 언어를 배워야 합니다. 그것도 영어로 딩카어에 대한 설명을 들어야 합니다. 아마도 저에게 이 연수는 딩카어뿐만 아니라 영어도 함께 배우는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쉽지는 않겠지만 열심히만 한다면 몇 배의 성과가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한데 며칠 접해본 딩카어는 만만한 언어가 아니었습니다. 모든 언어가 다 그렇게 시작 되었겠지만, 딩카어는 문자가 없었습니다. 1900년대 초 선교사들이 들어와 활동하면서 이들의 언어를 습득하였고, 그때부터 선교사들에 의해 문자를 갖게 되고 문법이 정리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말뿐인 언어였던 것이지요. 말뿐인 언어에 문자를 입히고 문법을 세웠으니 그 말이 얼마나 더 어려워졌겠습니까? 이들이 태어나고 자라며 자연스럽게 말로 배운 언어를 우리는 외국인이 만든 문자와 문법을 가지고 배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무튼 이렇게 두 번째 언어연수가 시작되었습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것은 늘 어렵기 마련인데, 계속해서 접하고 익히다보면 조금 나아지겠지요. 이 연수가 끝나더라도 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하루하루의 과정이 또 다른 연수가 되리라고 봅니다. 언어와 문화 그리고 마음까지 알아가는 연수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후원계좌 03227-12-004926 신협 (예금주 천주교 수원교구)
※수원교구 아프리카 남수단 선교 위원회
http://cafe.daum.net/casuwonsudan
※문의 031-548-0581(교구 복음화국 해외선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