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수도원 순례단이 방문한 까말돌리수도회와 몬떼 올리베또의 성모 마리아 연합회 역시 베네딕토 수도회 규칙서를 따르고 있다. 철저하게 가난과 침묵, 노동을 하면서 오롯이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삶을 현재까지도 이어오고 있다. 수백 년 동안 하나의 거룩한 목표를 향해 살아가는 그들의 삶 현장을 찾아가봤다.
은수자와 수도자 공동체, 까말돌리 수도회
수많은 영성의 대가와 예술가를 배출한 까말돌리수도회는 토스카나 산맥 깊숙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험준하고 높은 산을 한참 올라가서야 겨우 수도원에 도착할 수 있었다. 침묵을 살아가는 수도자들의 공간답게 까말돌리수도원은 조용히 순례단을 맞았다.
1023년 성 로무알도(Romualdus, 952?~1027)에 의해 창설된 수도회는 베네딕토 성인의 수도회 규칙서를 그대로 살아가고 있다. 응용도 변형도 없이 그 내용을 실천하며, 하느님의 영성과 말씀을 따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탈리아 라베나의 성 아폴리나레 클뤼니 베네딕토 수도회에 활동했던 창설자 성 로무알도는 당시 교회 내에 팽배했던 고갈된 영성과 형식적인 신앙이 수도생활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는 형식적 수도생활에서 벗어나 영육간의 일치를 강조하며, 가난과 고독, 침묵을 통해 수도회 초기 정신을 따라 살아가는 공동체를 만들고자 했다. 그는 생각을 행동으로 옮겼고, 세상과 분리된 그곳에 까말돌리수도회를 세우게 됐다.
까말돌리수도회는 은수자와 수도자가 공동생활을 하는 특별한 공동체다. 고행하면서 영성의 삶을 살아가는 은수자 공동체를 까말돌리, 은수자들의 삶을 도와주며 노동의 삶을 살아간 수도자 공동체를 폰테 아벨라니라고 불렀다. 이들은 하나의 공동체로 살았지만 생활공간은 달랐다. 경작지를 중심으로 은수자와 수도자가 맞은편에 살며, 서로의 수도생활을 도왔다. 은수자는 자신이 터득한 영성을 일반 수도자에게 전했고, 수도자들은 노동으로써 은수자들의 영성적 삶을 지원했다. 은수자와 수도자를 결정하는 것은 수도회 아빠스의 몫이었다.
수도회는 은수자와 수도자의 화합을 강조하며, 장상에 대한 순명, 공동체 의식, 하느님과의 일치라는 공동의 목표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지만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수도자의 공동생활은 결코 편하지만은 않았다. 보완, 화합하며 살아가는 이상적인 수도회를 꿈꾼 창설자의 생각과는 달리 인간적인 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으로 공동체는 결국 갈라지고 말았다. 그 결과, 영성에서 멀어진 수도자 공동체 폰테 아벨라니에서는 성직 임용 남용, 매매 등의 부정부패가 일어났고, 그곳에서의 삶은 실패하고 말았다. 수도회는 16세기까지 은수자와 수도자가 화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했지만 일치하지는 못했다. 이후 1935년 교황 비오11세에 의해 까말돌리와 폰테 아벨라니는 다시 합쳐져 현재에 이르렀다.
영육의 일치를 강조한 까말돌리수도회는 교회 학문과 예술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음계를 체계화한 아레초의 귀도 다레쵸, 그라시아노 법명의 그라시아노, 천사들의 성 마리아 수도회 창설자, 성경을 최초로 이탈리어로 번역한 학자 등 영성의 대가, 학자, 예술가들이 이곳 수도회 출신이다.
약 천년의 역사를 걸어온 수도회에는 현재 은수자 21명이 각자의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그들의 영성생활을 돕는 수도자들도 함께 공동체로 살아가고 있다. 창설자의 이상에서 시작됐지만 굴곡과 어려움을 겪으며 더욱 단단해진 독특한 형태의 까말돌리수도회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수도회와 신앙인들에게 영육의 일치와 영성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공동체로서 교회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 까말돌리수도회 성당. 1027년 로마네스크풍의 성당으로 건축됐으나 잦은 지진으로 인해 세 번이나 다시 지어졌다. 현재의 성당은 1658년에 완공된 바로크양식의 건축물이다.
▲ 까말돌리수도회는 은수자와 일반 수도자가 함께 생활하는 독특한 형태의 수도회다. 은수자들은 고행을 통해 깨달은 영성을 일반 수도자에게 전하고, 일반 수도자들은 기도와 노동으로써 은수자들의 영성적 삶을 지원한다.
시대의 요구에 응답하는 몬떼 올리베또의 성모 마리아 연합회
1988년 부산 광안리에 진출한 이래 기도와 관상, 노동의 삶을 살아가는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원은 렉시오디비나(거룩한 독서)와 노동으로써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낸다.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원의 본원이 바로 이탈리아 시에나에 위치한 몬떼 올리베또의 성모 마리아 연합회다.
울창한 나무숲에 둘러싸인 수도원은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건물 자체가 자연의 일부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세 개의 구릉 위 십자가와 올리브나무 등으로 표현된 수도회 상징물에서도 자연과 함께하는 수도회 정신을 찾아볼 수 있다.
베네딕토회의 규칙서를 따르는 수도회는 역시 기도와 노동을 실천하며 생활한다. 이들은 성모신심을 강조하고 있으며, 흰 수도복을 착용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몬떼 올리베또의 성모 마리아 연합회는 귀족 가문의 성 베르나르도 똘로메이(Bernardo Tolimei, 1272~1348)가 세운 수도회다. 법학교수이자 황제의 기사였던 그는 회심을 통해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고 1313년 동료 두 사람과 아꼬나 골짜기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철저한 가난과 금욕, 침묵 가운데 기도에 전념하며 은둔생활을 시작했다. 베르나르도 똘로메이 일행의 거룩한 생활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많은 제자들이 모였고, 결국 1319년 아레초교구 교구장으로부터 인가를 받았다. 수도회는 이때부터 베네딕토의 수도규칙을 선택했으며, 그로부터 25년 후 교황 클레멘스 6세에게 인준을 받았다.
수도회는 원래 봉쇄수도회로서 관상생활을 지향했다. 시대적 요구에 따라 활동적인 사도직에 참여하며, 변화하고 응답하는 수도회로 알려져 있다. 14세기 페스트가 창궐하던 시기에는 수도원을 개방하고 수도자들이 지역을 나가 주민들을 간호하기도 했다.
수도회 건물은 1319년부터 건설되기 시작, 100년에 걸쳐 완공됐다. 많은 예술작품이 설치된 이곳에서는 르네상스시대 최고의 화가 소도마(Il Sodoma, 1477~1549)와 루카 시뇨렐리(Luca Signorelli, 1450?~1523)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두 작가는 회랑으로 통하는 복도의 네 벽면에 프레스코화 작업을 했다. 루카 시뇨렐리의 작품은 1498년 작이며, 소도마는 1505년부터 3년 간 작업했다. 덕분에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한 공간에서 감상할 수 있어 많은 순례자와 관광객들이 찾아온다.
▲ 몬떼 올리베또의 성모 마리아 연합회 수도원. 100년에 걸쳐 완공된 건물에는 아름다운 교회미술 작품들이 설치돼 있다.
▲ 수도원 회랑으로 통하는 복도의 프레스코화로, 르네상스 최고의 화가 루카 시뇨렐리의 작품이다.
▲ 나무숲에 둘러싸인 몬떼 올리베또의 성모 마리아 연합회를 향하는 숲길.
▲ 베네딕토회 규칙서를 따라 기도와 관상, 노동을 살아가는 까말돌리수도회의 상징물.
▲ 자연을 소중히 여기는 수도회의 정신이 담겨 있는 수도회 상징물.
♣ 바로잡습니다
본지 3월 4일자 ‘전통영성의 샘을 찾아서’ 기사 중 올리베따노 수도회 한국 진출일은 1992년이 아닌 1988년이며, 진출지역도 마산 진동이 아닌 부산 광안리이기에 바로잡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