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드글라스=비싼예술’이라는 공식이 깨졌다.
인천가톨릭대 조형예술대학 교수 조광호 신부가 ‘아트 스테인드글라스 네가티브 레이어 형성 방법’으로 특허를 받았다.
3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된 특허는 기존 스테인드글라스의 한계를 벗어나 이미지 배경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색유리를 이어붙이는 방법 대신 판유리에 유약을 사용, 표현 가능한 색상의 폭이 넓어졌다. 화려하고 강렬한 색상뿐 아니라 은은한 색, 그라데이션 등 다양한 색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네가티브 레이어 형성 방법은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 회화적 요소도 높아졌다. 유리를 캔버스로 생각하고 그 위에 무엇이든지 그릴 수 있다는 것이 조 신부의 설명이다.
납선을 전혀 이용하지 않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기존 스테인드글라스는 색유리를 붙이는 데 있어 납선을 사용했다. 하지만 판유리에 작업이 가능한 네가티브 레이어 형성 방법을 활용하면 납선이 필요 없다.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의 폭이 넓어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 단가는 내려갔다. 재료 절감과 간결해진 공정과정 등 덕분이다.
특허 기법을 사용한 유리는 활용도가 높다. 700℃의 열에 굽는 공정은 유리를 강화시켜, 창문은 물론 문, 바닥, 천장 등 건축자재로도 손색이 없다. 그 밖에도 가구, 생활용품 등 활용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졌다.
조 신부는 특허 기법을 적용한 작품을 옛 서울역사와 인천 논현1동성당에 설치해, 예술성과 실용성을 검증했다. 그는 국제 특허 출원을 준비하고 있으며, 오는 4월 건축자재박람회 등을 통해 특허를 홍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0년 동안의 작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네가티브 레이어 형성 방법을 개발한 조 신부는 “이 기법은 전세계적으로 처음”이라며 “다양하고 섬세한 표현의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문화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