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두 번째 사제인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가계도(家系圖)는 대대로 전해져온 집안의 신앙내력이 적힌 「최양업 신부 이력서」와 「송아가다 이력서」 「최우정 바시리오 이력서」 등으로 인해 비교적 상세히 알 수 있다.
또 최양업 신부에게는 2살 때 옥사한 막내를 비롯해 밑으로 5형제가 있어 많은 방계를 이루고 있다.
최양업 신부의 후손으로는 30대 이상이면 이름만 대면 웬만한 사람이 알 정도로 유명한 원주교구 최기식 신부가 있다.
선조 중 최한일이 첫 입교
최양업 신부는 최기식 신부의 종증조부이다. 즉 최기식 신부의 증조부인 최의정(崔義鼎ㆍ야고보)이 최양업 신부의 첫째 동생이 된다.
최양업 신부는 경주 최 씨로 최치원(崔致遠)의 41대손이며 조선시대 평정공신(平定功臣)으로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최확(崔確)의 11대손이다. 최양업 신부의 부친은 최경환(崔京煥ㆍ프란치스코)성인이며 어머니는 그 유명한 이성례(李聖禮ㆍ마리아) 순교자이다.
순교자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난 최양업 신부는 「의정」(義鼎) 「선정」(善鼎ㆍ안드레아) 「우정」(禹鼎ㆍ바시리오) 「신정」(信鼎ㆍ델레신포로)과 2살 때 옥사한 막내 등 5명의 동생을 두었다.
최양업 신부 집안이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인 때는 1787년 최신부의 증조부인 최한일(崔漢馹)이 이존창 루도비꼬에게 영세를 하면서 부터이다.
따라서 증조부 최한일이 천주교 신앙을 처음으로 받아들인지 3대째 최양업 토마스 신부가 나왔고, 최양업 신부로부터 3대 후 최기식 신부가 배출됐다.
최한일은 1791년 신해박해를 피해 외아들 인주(仁柱)를 데리고 충청도 홍주 땅 누곡(樓谷), 지금의 충남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 다락골로 피난해 살았고, 이곳에서 최양업 신부의 조부인 최인주는 이존창 집안의 딸과 혼인, 3형제를 낳았는데 그중 셋째가 최영눌(崔榮訥-普名) 즉 최경환 성인이다. 최경환 성인은 1925년 7월5일 시복됐고, 1984년 5월6일 시성, 성인 반열에 올랐다.
여느 순교자들의 후손들과 마찬가지로 최양업 신부의 방계 후손들 역시 성직, 수도자들을 배출함으로써 집안의 전통성을 이었다.
최양업 신부의 방계로서는 현 원주교구 사회복지회장인 최기식 신부가 유일하나 원주교구 정선본당 김영진(金榮鎭)신부가 최기식 신부의 조카이며, 고 김휘중(金輝重)신부와 박우철(朴遇哲)신부는 최기식 신부의 칠촌 당숙뻘이 된다.
1884년 출생한 서울대교구 소속 고 박우철 신부는 최양업 신부의 셋째 동생 최우정(崔禹鼎)의 딸 최아나타시아의 3형제 중 둘째로 1917년 9월22일 용산 예수성심신학교를 졸업, 사제로 서품됐고, 평안도에서 사목활동을 하다 해방 후 월남, 서울 가회동 본당 주임으로 재직하다 1956년 1월17일 선종했다.
고 김휘중 신부는 최양업 신부 넷째 동생 최신정(崔信鼎)의 외손자로 최양업 신부의 질녀인 최안나의 6남매 중 외아들로 1884년 태어났다.
박우철 신부와 함께 사제서품을 받은 김휘중 신부는 경기도 행주본당에 부임해 비오는 날이면 나막신을 신고 신자방문을 할 만큼 열심했으며, 1918년 독감이 유행하자 환자 교우들을 방문, 위로하다 전염돼 8일 후 1918년 11월12일 선종했다.
「한번 일을 시작하면 끝까지 하고 이치에 닿지 않는 일은 끝까지 싸우는 것이 집안내력」이라고 말하는 「식」(植)자 돌림의 최기식 신부 8촌들은 『집안 신부님들이 최양업 신부님이 물려준 이런 내력 때문에 모두 열심하다』고 자랑스러워했다.
일을 시작하면 끝까지
최양업 신부의 후손 중에는 성직자뿐 아니라 수도자도 많이 나왔다. 최기식 신부의 8촌들로 부산 성 베네딕도 수녀회 양승의 가타리나 수녀와 대구 가르멜회 양아녜스 수녀, 한국 순교 복자수녀회 김제옥 발바라 수녀가 있으며, 조카인 영원한 도움의 성모수녀회 최안나 스피리따 수녀가 있다.
양승의 수녀는 현재 스위스에 있는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모원에서 성당 반주자로 소임중이며, 김제옥 수녀는 부산 오륜대 한국 순교자 기념관 성물부를 맡고 있으며, 로마에서 성서학을 전공한 최안나 수녀는 「성서와 함께」편집을 맡고 있다.
최근 최양업 신부의 방계 후손들은 「조신」(操身)할 정도로 몸과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고 있다. 최양업 신부의 시복시성 운동이 원주와 청주교구에서 공식적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기식 신부의 8촌들은 자신들의 부족함이 혹 최양업 신부와 최경환 성인, 이성례 마리아 할머니에게 누(累)가 될까봐 언론은 물론, 교회 내에서도 자신들의 신분을 잘 드러내지 않아왔다.
그러나 8촌들이 서로 힘을 모아 10여년전 강원도 횡성 풍수원성당 인근에 선산을 장만하면서부터 매년 9월 첫째 주일이면 8촌 전 가족이 선산에 모여 만남의 자리를 마련하고 성묘와 함께 최기식 신부 주례로 조상들을 위한 위령미사를 봉헌해오고 있다.
「최경환 성인 후손묘지」라는 팻말과 함께 대형 십자가와 성모상 등이 꾸며져 있는 풍수원 가족 묘소에는 최양업 신부의 셋째 동생 최우정 내외와 넷째 동생 최신정의 부인 송아가다의 묘가 있으며, 그 밑으로 최기식 신부의 할아버지, 아버지 대(代) 어른들의 묘가 안장돼 있다.
최기식 신부의 8촌 형제 중 맏형격인 최현식(崔賢植ㆍ68ㆍ말딩)씨는 『선산에 최경환 성인과 이성례 마리아 할머니, 최양업 신부님을 이장하고 싶고, 또 가묘(假墓)라도 쓰고 싶지만 교회정신이 아닌 것 같아 세 분을 선산에 모시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최경환 성인의 묘소는 현재 경기도 안양시 안양 3동 담배골에 단장돼 있으며 최양업 신부의 묘소는 충북 제천 배론 성지에 있다. 하지만 이성례 마리아 유해는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자부심ㆍ긍지 충만
최현식씨는 『최양업 신부님이 하루빨리 시복 시성돼 선산과 배론 묘소에 최신부님 기념동상을 마련하는 것이 소원』이라며 『욕심 같아서는 최신부님이 마땅히 성인품에 올라도 벌써 올랐어야 할 분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성인이 안 된 까닭은 아마 겸손하셨던 그 성품 때문에 천국에 들어가셔서조차 시복시성 되는 것을 원치 않으시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들 때도 있다』고 너털웃음을 지었다.
넉넉치 못한 살림이지만 결코 궁색치 않고 집안 대대로 끊이지 않고 신부, 수녀가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순교 선조들이 주신 복으로 알고 자부심과 긍지로 살아가는 최양업 신부들의 증손들. 그 많은 형제 중에 하나 사제성소를 받은 최기식 신부를 볼 때마다「흐뭇하고 보람되며 자랑스러워 어쩔 줄 모르겠다」는 8촌들. 최양업 신부의 증손들은 신앙이 인생에 있어 가장 값진 보물임을 우애로 증거하고 있는 한국 가톨릭교회의 명문(名門)이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