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쳇말로 ‘서교(천주교) 책 한 번 보면 미쳐버린다’는 얘기가 나돌 정도였습니다.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힘을 지녔던 것입니다. 당시 교회에서 가르친 천주교 교리의 매혹적 측면과 정당성을 보여주는 사실입니다.”
조선 후기 순교자들의 삶을 되뇌는 (재)한국교회사연구소 고문 조광(67·이냐시오) 교수의 말에는 떨림이 실려 있었다. 신앙 선조들의 삶을 입에 올리는 순간 마치 순교 현장에 서있는 듯 비장함이 전해져오는 것 같았다.
“순교는 결코 광신이 아닙니다. 이성적 판단과 현실 사회에 대한 진전된 인식의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순교자성월을 맞아 휴일 아침 서울 삼일대로 한국교회사연구소 연구실에서 만난 조 교수의 입에서는 인터뷰 내내 ‘각성’, ‘인식’이라는 말이 셀 수 없이 나왔다. 순교가 무지렁이 천민들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의 결과가 아니라 하느님을 제대로 인식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각성에서 비롯된 것임을 역설하는 조 교수의 얼굴은 상기돼 있었다.
민족사학계의 대표 학자로 꼽히며 조선 후기 근대사 연구에 평생을 매달려오다시피 한 조 교수는 지난 2010년 고려대 한국사학과에서 정년퇴임한 후에도 어김없이 연구실로 출근하고 있었다. 오히려 더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던 연구공간이 서너 배 더 늘어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올 초 위촉된 한국교회사연구소 고문이라는 직함에서부터 연세대 용재 석좌교수, 고려대 명예교수, (사)한국고전문화연구원장 등 현재 지니고 있는 굵직굵직한 몇 개의 직함만으로도 그가 한국사학계와 교회사 연구분야에서 쌓아온 성가를 짐작하게 한다.
그간 수없이 지녀온 직함 가운데 가장 애정이 가는 것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그다운 대답이 돌아왔다.
“교수라는 직함이지요. 공부하고 학생들과 토론하고 가르치고, 또 그들로부터 자극을 받아 다시 생각하고…, 평생 보람을 가졌던 일입니다.”
잠시 지나온 시간을 회상하는 듯하던 조 교수는 지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한국 측 위원장을 지내며 한일관계사 재정립에 힘을 쏟았던 일을 떠올리며 교회사의 위상에 대한 강조도 잊지 않았다.
“한국교회사 자체를 교회에 속하는 역사로만 봐서는 안 됩니다. 한국 사회 역사의 일부가 되어야 합니다.”
한국 사회와의 관계성 안에서 교회 역사를 바라봐야 한다고 말하는 조 교수는 실제 자신의 삶 또한 그렇게 걸어왔다. 가톨릭대학교 신학생이었던 그는 재학 시절 교회사연구회라는 동아리를 만들어 회장을 지내고, 교회사 연구지를 내기도 했다. 대신학교 4년을 마치고 1969년 고려대 사학과에 편입학한 뒤로 무엇인가에 이끌려 조선 후기사 연구에 평생을 바쳐오고 있다.
“신자 입장에서 교회사에 대한 정리가 제대로 안 돼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유리돼 있던 한국사와 한국교회사 연구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오늘에까지 이르게 한 것 같습니다.”
사제가 되기 위한 길에서 사학자의 길로 걸음을 옮긴 조 교수는 별 티도 나지 않고 제대로 평가받기도 힘든 교회사 연구에 매달렸다. 그 결과 40편이 넘는 천주교회사 관련 논문을 집필했으며, 정년퇴임하면서는 한꺼번에 8권에 이르는 역저를 펴내기도 했다.
1964년 한국교회사연구소가 창설될 당시 초대 소장이었던 고(故) 최석우 몬시뇰을 돕던 신학생 신분의 조 교수가 한국교회와 본격적인 관계를 맺게 된 것은 전 교회 차원에서 한국 천주교 200주년(1984년) 행사를 준비하던 1980년 무렵이었다.
“한국 천주교 200주년을 맞갖게 준비하기 위해서는 조선교구 설정 150주년(1981년) 행사부터 제대로 준비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것이 한국교회 쇄신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995년은 조 교수에게 있어 한국교회가 한국 사회에 새로운 화인을 새긴 해로 기억된다. 당시 서울대교구장이었던 고(故) 김수환 추기경이 해방 50주년을 맞아 교회가 민족을 위해 할 일을 모색하던 차에 민족통일과 관련된 조직을 만들어야겠다는 구상을 밝혔던 것이다. 김 추기경의 뜻을 받아 조직 구성 작업에 함께하게 된 조 교수는 지금은 보편화돼 일반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는 ‘민족화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들고 나왔다.
“통일이라는 말은 우리 민족에게 지고지선이지만 역사 과정을 통해 너무나 많이 오염돼 이를 대체할 말로 생각해낸 개념이 ‘민족화해’였습니다.”
남과 북이 다 간절히 통일을 바라고 있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형제에게 총부리를 겨눈 전쟁을 낳아 남북 분단을 더욱 고착시키고 많은 이를 불행에 빠뜨리게 했다는 역사학자로서의 인식이 그 같은 판단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
‘민족화해’ 개념을 제시했던 당시만 하더라도 반대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조직을 함께 준비하던 이들은 물론이고, 1995년 미국 뉴욕에서 만나게 된 조선가톨릭교협회 중앙위원회 장재언(사무엘) 위원장 등 북측 인사들도 “왜 통일이라는 좋은 말을 놔두고 흐리멍덩한 말을 쓰느냐”고 비판할 정도였다.
“아무리 목적이 정당하더라도 수단과 방법이 올바르지 않으면 목적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이 그리스도교적 윤리관입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의 입장에서 당시 통일이라는 말은 상당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조 교수는 민족화해 개념에 대한 신학화·이론화 작업이 제대로 이뤄질 때 한국교회가 우리 사회에 더 많은 기여를 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다.
한국교회사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그 역사의 현장 속에서 여전히 들숨과 날숨을 함께하고 있는 조 교수는 “교회사는 주교나 신부 등 성직자들만의 역사가 아니라 모든 하느님 백성 공동체의 역사임”을 몇 번이나 힘주어 말했다. 그의 연구 도정에서 한글을 쓰는 민중의 발견은 성직자 중심으로 치우쳐 있던 교회사 연구에 일대 전환을 가져온 결실이기도 했다.
“당시 천주교는 한글을 쓰던 민인(민중)들의 교회였습니다. 민인들이 가진 건강한 역사의식과 그들이 죽음을 불사해가며 지향했던 올바른 태도의 결합이 이뤄져 순교가 이뤄질 수 있었던 것입니다.”
조 교수는 천주교가 당대에 가장 적합성을 지닌 종교였기 때문에 많은 신자들이 그 시대에 맞는 종교로 천주교를 받아들이고 신앙을 위해 목숨까지 바칠 수 있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는 주역 괘사(卦辭)에 나오는 ‘군자이치명수덕’(君子以致命修德)이라는 말로 순교자들의 삶을 설명했다.
“순교자들이 걸어간 ‘치명’(致命)의 길은 지배층이 덕에 이르기 위한 길이었음을 볼 때, 치명은 신자들로 하여금 ‘우리가 바로 군자’라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게 한 용어였습니다.”
한마디로 ‘천주’(天主)라고 하는 존재가 모든 인간은 피조물이라는 인식을 가져다주었고, 나아가 순교는 당대 신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인격체임과 양심의 주체임을 각성시켰던 것이다. 신앙 선조들의 경우 살림살이와 믿음살이(신앙생활)가 완전히 일치돼 목숨마저 내버릴 수 있었다는 것이 조 교수의 해석이다.
그런 면에서 조 교수는 한국교회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시복시성운동에 대한 따끔한 충고도 마다하지 않았다.
“순교자들에게는 시복시성이 필요 없습니다. 시복시성운동은 결국 살아있는 우리를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시복시성의 최종 목표는 우리 자신의 성화에 둬야 합니다.”
자칫 시복시성이 살림살이와 믿음살이의 일치를 떠나 선조들의 영광에만 참여하고자 한다면 시복시성운동을 추진하는 본래 의미가 훼손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 실천이나 행동이 따르지 않는 신앙생활에 대한 충고로 들려왔다. 나아가 그는 순교의 질적인 면을 강조했다.
“불교 역사에서 이차돈의 순교는 순교의 질적인 면을 음미하게 해줍니다. 단 한 명의 순교자가 신라 사회 전체에 불교적 구원을 가져다줬다는 점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순교영성을 오늘에 되살려낼 수 있을까 하는 물음에 조 교수는 자기가 살고 있는 현장에 복음을 선포하고 성지로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신앙과 삶이 유리되는 모습이 순교영성의 변질이며 퇴조라고 말했다.
인터뷰 내내 한국교회사에 대한 사랑만큼이나 오늘날 우리가 써내려가고 있는 역사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 보인 조 교수는 순교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한국교회에 대한 가없는 사랑을 드러냈다.
“복음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만이 아니라 온몸으로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대충대효’(大忠大孝)로 하느님을 받들며 믿음을 실천한 신앙 선조들의 삶을 되살려낼 때 순교영성도 함께 되살아날 것입니다.”
휴일도 없이 10년 넘게 하루도 빠짐없이 새벽 4시 무렵이면 일어나 오전 7시 반이면 연구실에 불을 밝힌다는 조 교수는 지금도 공부가 즐겁다. 그에게 교회사는 하느님을 알아가는 끝이 없는 여정이자 도전이다.
“우리 눈으로 그리스도를 보면서 우리 마음에 그리스도를 심는 것, 이것이 참다운 믿음살이입니다. 스스로 참 그리스도인이 되려고 노력하는 그곳에서 주님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오늘도 노교수는 자신을 부르시는 주님의 소리에 겸손하게 귀를 기울이는 것만 같다.
■ 약력
△ 1945년 출생
△ 1969년 가톨릭대학교 신학과 학사
△ 1970년 고려대학교 사학과 학사
△ 1973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 1979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 1985~2010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교수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학장
△ 고려대학교 박물관장
△ 한국사연구회 회장
△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장
△ 한국교회사연구소 고문
■ 저서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2001)
「한국 근현대 천주교사 연구의 기초」(경인문화사/2010)
「조선후기 사회의 이해」(경인문화사/2010)
「한국사학사의 인식과 과제」(경인문화사/2010) 등
특집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