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역사 속에 대림시기를 거치며 대림시기를 뜻깊게 보내고자 노력하는 신자들의 실천은 풍속으로 자리 잡았다. 교황청 경신성사성은 「대중신심과 전례에 관한 지도서:원칙과 지침」을 통해 “수세기에 걸쳐 대림시기와 관련된 대중 신심 표현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다”며 “이렇게 표현된 대중 신심은 신자들의 신앙을 뒷받침해 줬다”고 밝혔다. 대림시기의 다양한 풍속을 살펴보면서 대림시기를 어떻게 보낼지 생각해보자.
■ 구유 만들기
대림시기에는 성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마구간과 구유의 모형을 만든다. 말구유에서 예수가 탄생했음을 알려주는 성경의 말씀을 기억하고 묵상하는 것은 사실 구유를 만들기 전부터 행해지던 일이다. 이미 2~3세기경 박해시대에 그림이나 모자이크 등으로 구유에서 탄생한 예수를 표현했는데 카타콤바의 여러 곳에서 박해시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구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구유를 만드는 풍속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에게서 유래한다. 프란치스코 성인은 1223년 이탈리아의 그레치오 성당에 외양간을 본뜬 마구간을 만들어 공개했다. 교황 호노리오 3세(1216~1227)의 허락을 받아 만든 이 구유를 계기로 작은 모형의 마구간을 만들어 그리스도의 탄생을 경축하는 풍습이 전 세계로 퍼져 나가게 됐다.
전통적으로 구유에는 아기 예수 옆에 소와 나귀가 있고 마리아와 요셉, 목동들, 동방박사들이 있다. 대림시기에 모형 마구간과 구유를 만들고 성탄전야에 구유에 아기 예수의 상을 모시는 구유 안치식과 구유 예절을 하며 성탄 후 주님 공현 대축일에 동방박사들의 상을 놓는다.
■ 대림달력
대림달력은 주로 어린이를 위한 달력으로 일반 달력과는 달리 1~24일의 날짜만이 적혀 있다. 대림시기 동안 성탄의 기쁨을 준비하고 묵상하며, 보속과 회개의 표시로 사랑을 실천하도록 이끌어주기 위해 만들어진 대림달력에는 각 날짜에 적힌 금언이나 성경구절에 따라 착한 일을 하도록 유도한다. 또 선행과 기도에 관련된 그림을 넣어 성탄 구유에 도달하도록 만들어졌다.
대림시기 동안 선행과 기도를 어린이들에게 교육하는 대림달력의 전신은 중세 수도원학교의 교육에서 비롯된 것으로 대림달력이 지금의 형태로 자리 잡은 것은 19세기다.
주로 유럽에서 많이 쓰이는 이 대림달력은 어린이들에게 대림시기의 의미를 가르치고 실천하도록 자리 잡은 풍습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달력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지만 올해 대림시기에는 서울대교구 청소년국 유아부(담당 박종수 신부)가 유아를 위한 대림달력을 선보이기도 했다.
▲ 서울대교구 청소년국 유아부가 제작, 판매하는 유아를 위한 대림달력.
■ 숙소찾기와 대림 행렬
대림시기 세계 각 국에서는 행렬을 통해 구세주의 임박한 탄생을 알리며 요셉과 마리아가 베들레헴에서 예수님이 태어나실 곳을 찾아 헤매던 일을 재현하고 있다. 특히 독일 오스트리아 등의 지역에서는 ‘숙소찾기’(Herbergsuche oder Frauentragen)를 시행하는데 대림시기 동안 마리아와 요셉상을 집마다 하룻밤씩 돌아가며 모시고 신자들이 함께 모여 기도하는 풍습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숙소찾기와 대림행렬과 같은 풍습이 대중적이지 않지만 대림시기 신자들이 집마다 돌아가며 기도하는 ‘대림기도’는 숙소찾기의 모습과 유사하다. 비록 같은 풍습에서 유래한 기도모임은 아니지만 신자들의 집을 방문하며 대림기도를 할 때 베들레헴에서 빈 방을 찾아 헤매던 요셉과 마리아의 모습을 묵상해보는 것도 좋은 일이다.
▲ 인천 만수3동본당 신자들이 한 가정을 방문, 대림환을 놓고 함께 기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