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바뀌어도 외국인 선교사들을 박해하는 중국 공산당들의 움직임은 줄어들 줄 몰랐다. 예수회 임대례 신부의 사례를 살펴보자면, 공산당들은 임 신부를 추방할 이유를 찾기 위해 음모까지 꾸몄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임 신부는 성당 내에서 진료소와 의원(醫院)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위생국(衛生局) 관리들이 이곳의 약을 싹쓸이 해갔다. 그리곤 곧바로 임 신부를 체포해 감옥에 가둬버렸다. 임 신부에게 씌워진 죄목은 그동안 가짜 약을 환자들에게 복용시켰다는 것이었다. 그들은 인민재판을 열고, 어디선가 품질이 나쁜 약과 가짜 약을 구해와 늘어놓고는, 바로 임 신부가 환자들에게 준 약이라고 악선전을 했다. 그 모습을 본 한 수녀가 전시 되어있는 약들은 임대례 신부가 사용한 약이 아니라고, 그 약과 다르다고 증언하자, 수녀들은 물론 신자들 중 누구도 임 신부와 접촉하지 못하도록 감금시켰다. 외출도 못하게 된 임 신부는 당장 식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한 곤혹을 치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 광동성 안량성당.
추방되기 전에 감옥에서 겪은 추위와 배고픔도 이루 말할 수 없이 심각했다. 외국인 선교사들은 감옥에서 무염(無鹽),무유(無油)하고 조미(調味)를 하지 않은 죽을 조금씩 받아먹었다고 한다. 한겨울에도 여름에 체포될 때 입은 옷을 그대로 입은 채 겨울을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했다. 때문에 추방되어 홍콩에 도착한 신부들 중에는 너무나 피골이 상접해 친구 신부들조차 알아 볼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상구(商丘)교구 내 외국인 선교사들은 1951년부터 1954년 사이에 모두 추방당했다. 미국과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은 당시 중국 정부측에 자국의 선교사들을 석방해 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요구를 하지 않아 한국인 신부들이 석방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도 이어졌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