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시인이며 극작가, 영화감독, 평론가, 오페라작가, 화가였던 장 콕토(Jean Maurice Eugène Clément Cocteau, 1889~1963)는 그를 소개하는 다양한 호칭들이 말해주듯이 여러 예술 장르에 걸쳐 역량을 발휘한 인물이다. 파리 근교 메종 라피트(Maisons-Laffitte)에서 태어난 그는 17살에 시단에 등단하였고 20세에 첫 시집을 내기도 했다. 장 콕토는 시인이었던 앙드레 브르통(Andre Breton),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 피아니스트 에릭 사티(Alfred Eric Leslie Satie), 화가였던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발레 기획자 세르게이 디아길레프(Sergei Diaghilev) 등 당대 전위적인 문인들, 음악가들, 화가들과 긴밀하게 교류하면서 예술세계를 넓혀갔다.
그는 글을 쓸 때 그림을 그리며 쉬고, 그림을 그릴 때 글을 쓰며 쉰다고 할 정도로 글과 그림을 자신의 일상으로 여겼다. 따라서 장 콕토의 시집에는 자연스럽게 글과 그림이 함께 수록되기도 했다. 일정한 틀에 얽매이기를 싫어했던 그의 스타일처럼 그림들은 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선과 색으로 표현되었다. 프랑스 망통(Menton)에 있는 장 콕토 미술관의 소장품들은 자유롭고 개성 넘치는 그의 화풍을 잘 보여준다. 또한 장 콕토가 작업한 프랑스의 몇몇 소성당 벽화들과 장식적 그림들은 평소 자유분방했던 그의 예술적 기반들이 종교적 주제를 만나 현대적이고 환상적인 종교적 공간을 연출하는데 일조했다.
우리가 장 콕토의 이 벽화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곳은 프랑스가 아닌 런던의 화려한 극장가 골목의 한 성당이다. 네온사인이 번뜩이는 런던의 한 복판에서, 누군가 복잡한 마음을 내려놓고 싶어 성당에 들어선다면 누구도 기대하지 않았던 장면에 놀랄 것이다. 성당의 주 제단 왼쪽에 있는 장 콕토의 소성당은 추운 겨울 밤 어두운 거리에서 창문에 비친 따뜻한 집안을 들여다보는 듯, 유리로 된 공간 안에 환한 분위기의 벽화를 갖추고 있다. 평소 종교적인 인물도, 종교화가도 아니었던 장 콕토가 이 아름다운 소성당의 벽화를 제작했다는 것은 작품이 소장된 장소만큼이나 우리를 설레게 한다. 제대 뒤에 있는 중심 벽에는 예수의 처형장면이, 왼쪽 벽에는 천사 가브리엘과 성모가 대면하는 순간이 묘사되어 있고, 오른쪽 벽에는 천사들과 함께 승천하는 성모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독특하게도 십자가처형 장면에서 예수는 없고 과감하게 생략된 못 박힌 그의 다리만이 보인다. 십자가책형에 그려진 인물들은 예수에게 육체적·심리적 고통을 주었던 로마 군인들과 사랑과 위로의 힘이 되어주었던 세 명의 마리아가 주되게 재현되었다. 벽면을 꽉 채운 인물들은 성서에서 설명된 대로 자신의 역할에 맞게 행동하고 있다. 새롭게 주목되는 것은 예수의 피로 꽃 피워진 장미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고통의 신비를 통해 기도의 장미꽃송이를 바치는 로사리오의 신심과 연관된 상징일 것이다.
프레스코의 인물들은 여느 스케치에서 볼 수 있을 법한 단순한 선으로 그려졌다. 또한 윤곽선에서 배어 나온 듯 옅게 칠해진 파스텔 톤의 색들은 인물들로 꽉 채워진 공간에 여백을 주어 화면에 여유로움을 선사한다. 심지어 소성당의 벽면에 조명 빛이 더해지면 범상치 않은 검은 태양 아래 행해진 처형 장면마저도 관람자의 시선을 온화하게 만든다. 이것은 벽화에서 십자가 처형 장면이 예수보다 성모에게 집중된 것임을 그녀의 눈물과 장미꽃, 좌우 벽면의 성모 그림들을 통해 알 수 있다. 성모의 겸허한 순종이나 아들의 고통을 수용하고 내면화했던 그녀가 승천하는 장면에서 최고조에 이른다. 실제 이 벽화는 다재다능했던 만큼 인생의 곡절도 많았던 그가 70대의 나이로 일주일 만에 집중적으로 완성한 작품이었다. 인생의 황혼에서 장 콕토는 이 작업에 많은 열정을 쏟았다. 특히 작업을 마치면서 노트르담 성당의 열린 마음을 잊지 않겠노라고 했던 언급을 생각해 볼 때, 그의 벽화 작업은 단순히 종교적 공간을 시각적 이미지로 설명하고 장식하는 수준을 넘어서 보인다. 그래서인지 장 콕토의 소성당은 성모처럼 따뜻하고 편안한 공간으로 낯선 방문자에게도 충분한 위로를 전하고 있다.
최정선 선생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서양미술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숙명여대에 출강 중이며, 부천 소명여자고등학교 역사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문화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