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세대 전으로만 기억의 태엽을 되감아보면 우리 주위에는 마음 놓고 쉬며 놀만한 곳이 지천에 널려있었습니다.
마을 언저리에는 사람들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너른 공터 한두 개쯤 없는 곳이 없어 수시로 동네를 돌아다니던 가설영화관이나 서커스 극장이 세워져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기도 했습니다. 골목 어귀에서는 언제든 고무줄놀이나 딱지치기 하는 아이들의 재잘거림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경제논리를 앞세운 산업화의 파고는 이런 아름다운, 인간다운 풍경을 한순간에 앗아 가버렸습니다. 이제 사람 냄새가 사라진 곳을 돈을 내야만 들어갈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곳들이 대체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가난한 이들은 놀 곳, 마음 둘 곳마저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런 까닭일까요, 가난한 이들 가운데는 유독 우울증이나 조울증, 강박증 등 예전에는 앓지 않던 병리현상을 보이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인간, 그리고 인간다움이 사라진 세상이 또 다른 비용을 청구하는 모습입니다.
예수님은 세상의 것, 특히 돈에 눈을 두지 말라고 말씀하시지만 우리 눈은 한시도 ‘돈’에서 눈길을 떼지 못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세상이 이렇게 돈 중심, 경제력 중심으로 굴러가게 된데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책임이 없는 것일까요. 오히려 더 많은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해보았으면 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수도 서울, 그것도 부자들이 많이 산다는 어느 구에서 정상적 활동이 불가능한 두 딸과 근처 놀이공원 식당에서 일하던 어머니가 넘어져 팔이 다치면서 곤경에 빠진 세 모녀가 함께 자살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우리 사회의 공공의료와 복지 전달 체계의 문제점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이러한 사회적 제도적 시스템에 앞서 ‘이웃’이 사라진 우리 시대의 슬픔을 먼저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세 모녀를 죽음으로 내몬 주범은 누구일까요. 이웃의 아픔에 눈감아버린 우리 모두가 공범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뇌리를 떠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를 더 슬프게 하는 것은 이러한 비극이 앞으로도 끊이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잘 알려진 대로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8년째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 우리나라에서는 하루에 42명의 가여운 영혼들이 삶의 끈을 놓았습니다.
자살과 빈곤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보건복지부가 1998~2007년 네 차례에 걸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한 건강증진 전략 및 사업개발’(2009) 보고서를 보면, 소득 하위 25%에 속하는 남자 가운데 설문 시점부터 과거 1년 사이에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는 응답자가 13.0%였습니다. 상위 25% 상류층의 4.0%보다 3배 이상 많은 수치입니다. 실제 자살 사망률에 있어서도 ‘2000년 우리나라 성인 자살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2005)에 따르면 대졸 이상 학력을 가진 인구에서는 한 해 10만 명당 7.9명이 스스로 몸을 끊었지만, 초등학교까지만 다닌 사람 가운데서는 10만 명당 121.4명이 자살을 선택해 두 집단의 자살 빈도는 무려 15.3배 차이가 났습니다.
‘가난은 나랏님도 구제 못 한다’는 말에는 가난이 공동체의 문제가 아니라 게으르고 어리석은 개인의 무능 때문이라는 잘못된 사고가 깔려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이라고 한다면 가난한 이를 한 형제로 받아들이고 가난을 함께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며 이 세상에서 하느님 나라를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이용훈 주교에게 듣는 신앙과 경제 (133) 가난의 풍경, 자살
‘형제적 사랑’으로 함께 극복해야
경제논리 앞세운 산업화로 비인간화 심각
가난한 이들 절망·극단적 선택도 점차 늘어
‘돈’ 중심 가치 변화시킬 구체적인 노력 절실
발행일2014-03-16 [제2886호, 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