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ace is not over!”(아직 경주는 끝나지 않았어) 사두마차가 끄는 전차경주에서 참혹하게 패배한 멧살라(스티븐 보인드)는 벤-허(찰톤 헤스톤)가 반드시 찾아올 것이라며 다리를 절단하지 말아달라고 의사에게 부탁한다. 마침내 벤-허는 피투성이가 된 멧살라를 찾아왔고 자신과 가족을 파멸에 빠트렸던 친구이자 적의 죽음을 냉정한 눈으로 바라본다. 그 때 멧살라가 벤-허의 어머니와 누이가 실은 문둥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 말을 듣자마자 벤-허는 절규했고 그의 옷깃을 움켜쥐며 멧살라가 죽기 직전에 남긴 말이 바로 “The Race is not over!”였다.
<벤 허>(Ben-Hur, 윌리엄 와일러 감독, 극영화/역사물, 미국, 1959년, 210분)는 복수와 용서를 주제로 하는 영화다. ‘허’ 가(家)의 아들(벤)인 유다는 오직 복수를 위해 살아온 사람이다. 멧살라를 향한 그의 증오심은 겔리선(船)에서 노를 저어야 했던 잔인한 시절을 견뎌내게 했고, 아리우스 장군(잭 호킨스)의 목숨을 지켜냈고, 고향에 돌아와 다시금 가문을 일으켜 멧살라와 대적하게 한다. 그에게는 복수 외엔 아무 것도 없었다. 돈과 명예나 사랑하는 여인과 누리는 행복한 삶도 복수 앞에서는 모두 무력했다. 그런데 원수가 죽는 현장에서 자신이 그토록 원했던 복수가 실패했다는 참혹한 현실을 깨달았으니…….
<벤 허>는 남북전쟁영웅이었던 루 월리스 장군이 1880년에 쓴 베스트셀러 소설이다. 그러나 소설의 주제를 보다 빛나게 만든 데는 단연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공이 크다. 그는 소설에서 가장 마음을 울리는 부분을 강조했다. 벤-허는 노예선으로 끌려가던 중 우연히 나자렛 마을을 지나게 된다. 그 때 예수님에게 얻어 마신 물 한잔이 그에게 힘을 주었고 그 만남은 십자가의 길에서 한 번 더 이루어진다. 상황이 바뀌어 이제는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고 가고 벤-허는 자유의 몸으로 물을 건넨다. 그 때 예수님은 뒷모습만 나오지만 그분의 얼굴을 바라보는 벤-허의 표정이 클로즈 업 된다. 벤-허의 표정을 통해 예수님의 모습을 상상해보라는 고급스런 연출이다. 그 후로 많은 영화들에서 예수님을 닮았다고 여겨지는 배우들이 등장해 잘생긴 풍모를 뽐냈지만 벤-허의 눈길을 따라잡지는 못했다.
그 예수님이 벤-허에게 진정한 용서가 무엇인지 알려주신다. 폭력은 폭력을 낳고 복수는 언제나 복수를 불러올 뿐이다. 지금 이 자리에서 폭력의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 안 그러면 이 세상은 복수가 난무하는 참혹한 땅이 될 것이다. 용서만이 그 일을 가능하게 해 준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하고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악인에게 맞서지 마라.”(마태 5,38-39) 이천년 전 예수님의 말씀을 <벤 허>에서 다시 들을 수 있었다. 복수를 포기하지 않는 한 우리를 파멸시키고야 말 악마적인 경주는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다.
박태식 신부는 서강대 영문과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 후 독일 괴팅엔대에서 신학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원으로 활동중이다.
문화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