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1960년대 보릿고개를 겪으면서 ‘먹거리’의 소중함을 절실하게 체험한 국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 강국으로 성장하면서 먹거리가 없어 굶주렸던 경험은 추억 속 옛 이야기로 사라져 가고 있다. 하지만 21세기 한국에서도 여전히 보릿고개는 진행 중이다.
2010년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 65세 이상 노인의 평균 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의 50% 미만이었으며, 보건복지부로부터 급식지원을 받는 결식아동은 2011년 현재 48만 명에 달한다.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노숙인까지 포함하면 결식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많은 이들이 1일 1식, 웰빙 식단, 안전한 유기농 먹거리 등에 대한 관심을 쏟고 있지만 대다수의 빈곤층은 굶주림에 고통 받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소득격차는 이제 생활양식뿐 아니라 먹거리와 건강 불평등으로도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의 ‘2012년 국민건강통계’는 비만과 소득격차의 관계를 보여준다. 19세 이상 5000여 명을 월 가구 소득(가구원 수 고령)에 따라 4개 그룹(상, 중상, 중하, 하)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소득과 비만율이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소득 상위층의 체질량지수(BMI) 기준 비만율은 29.5%인데 비해 하위층은 34.3%로 4.8% 포인트 높았다.
반면 운동량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상위 소득자 중 22.2%가 운동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소득 하위층에서는 14.4%만이 꾸준히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이 많을수록 더 운동을 많이 하고 더 날씬하다는 의미다.
다행히 최근 들어 결식아동지원, 노인무료급식, 푸드뱅크, 푸드마켓 등 먹거리 취약계층을 위한 먹거리 보장 프로그램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보편성이나 공공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이들 보장 프로그램의 한계를 지적하고, 먹거리 보장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책적, 제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논문 「한국의 먹거리 보장 실태와 정책과제」(2012년)를 공동으로 발표한 김흥주 교수(원광대)와 이해진 박사(한국청년정책연구원)는 “먹거리 보장의 제도화는 먹거리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서 가능하다”며 “먹거리 절대량의 충족을 보장의 모든 것이라 생각해서는 안 되고, 먹거리 접근성, 적절성, 지속가능성이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의 02-2279-9204, www.caritas.or.kr
■ 현명한 냉장고 정리법
▲ 적정 온도 관리를 위해 냉장고 70%만 사용하기
▲ 내용물이 잘 보이도록 전용 투명용기 사용하기
▲ 장보고 난 후 바로 정리하여 냉장고에 수납하기
카리타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