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이맘때면 대학들은 갓 입학한 신입생들을 위한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준비로 한창이다. 오리엔테이션은 흔히 대학·회사 등에 처음 온 이들이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행사를 뜻한다. 어원으로 따지면 ‘동양, 동쪽’이란 의미의 오리엔트(Orient)에서 파생한 오리엔테이션의 유래를 살펴보면 동쪽을 바라보며 주님의 재림을 기다려온 신자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교회는 전통적으로 동쪽을 바라보며 기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왔다. 언뜻 예루살렘을 향해 기도하는 유다인이나 메카를 향해 기도하는 무슬림과 유사해보이지만 담긴 의미는 다르다.
그리스도인들은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는다”(요한 18,36)라는 말씀대로 특정 나라나 도시를 향해 기도하지 않았다. 다만 그리스도가 재림하면 동쪽에서 올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이사야서 등 구약에서도 나타나는 이런 생각은 “동쪽에서 친 번개가 서쪽까지 비추듯 사람의 아들의 재림도 그러할 것”(마태 24,27)이라는 말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동쪽을 향해 기도하는 습관은 성당건축에도 영향을 줬다. 전통적으로 성당은 동서(東西)를 중심축으로 제대가 동쪽을 향하게 지었다. 신자들은 한 방향, 즉 동쪽을 향해 미사를 드리며 주님의 오심을 기다리고 준비한 것이다. 그래서 성당을 짓기 전 성당 위치를 정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성당의 방향을 정하는 작업’을 바로 오리엔테이션이라 불렀는데, 동쪽을 기준으로 방향을 잡기에 오리엔트(Orient)가 쓰였다.
일부 성당은 동쪽을 더 세밀하게 잡아 성당 주보성인 축일에 해가 뜨는 방향으로 위치를 정했다. 오스트리아 빈의 성 슈테판 대성당은 착공한 해인 1137년 성 스테파노 축일에 태양이 떠오른 방향을 중심축으로 설계됐는데, 현재도 스테파노 축일이면 햇빛이 성당 내부로 쏟아진다.
문화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