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서볼리외(Bernard Louis Beaulieu、徐) 루도비꼬 신부는 프랑스 보르도 (Bordeaux) 교구 관할「랑곤」지방에서 1840년 10월 8일 유복자로 태어났다.
부친이 일찍 세상을 떠나자 모친은 루도비꼬를 성모님께 봉헌한 후 어려운 생활 속에서는 아들의 교육의 원만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하여 뒤푸르(MㆍDufour)라는 홀아비와 재혼을 하였다.
열성적인 교우였던 모친의 영향을 받은 루도비꼬는 어려서부터 굳은 신앙심을 마음속에 키우고 아홉살이 되던 1849년 10월 고향의 소신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다. 그해 그는 중국 사천성(四川省)에서 전교한 경험이있는 한 선교사 신부로부터 중국의 사정을 듣고는 동양 전교에 대한 열망을 품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1857년 대신학교에 입학하여 사제직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하였다.
이듬해인 11월 7일 모친을 여읜후 전교를 위한 그의 마음은 더욱 열렬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열성의 지극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열망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직 교회법상의 연령 미달로 사제서품을 받지 못하였으며 보르도 교구의 교구장인 대주교는 누구든지 교구를 떠나지 않도록 종용하고 있어 그의 청원은 매번 거절되기 마련이였다. 아울러 루도비꼬는 한때 페렴에 걸려 건강상의 이유로 그 자신이 희망을 잃는 듯 하였다. 그러나 1863년 8월 대주교는 뜻밖으로 그에게 전교를 위한 출국의 허락을 주어、그는 곧 빠리외방전교회의 신학교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외방전교회의 신학교에 입학한 루도비꼬는 쉽게 주위환경에 적응하면서 전교생활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기도를 청함과 아울러 전교생활에 필요한 애득의 생활을 위해 열심히 생활하였다. 이윽고 1864년 5월 21일에는 그렇게 갈망하던 사제서품을 받았으며, 같은해 6월 15일에는 조선의 전교신부로 임명되어 조선으로의 출발을 서두르게 되었다.
1864년 7월 15일 프랑스를 출발한 볼리외신부는 도리(Dorie)신부、브르뜨니에르(Bretenie’res)신부、위앵(Huin)신부와 함께 1865년 5월 27일에 조선에 도착하여 이미 조선에 입국하여 있던 베르뇌(Berneux)주교와 조선교우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당시 조선교회는 박해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던 중이었다. 따라서 루도비꼬 신부는 조선에 도착하자마자 주교의 명에 따라 1865년 6월에 서울에서 떨어진 경기도 광주지방에 있는 묘론리(卯論里)라는 교우촌에서 본격적인 사목할동을 하기 위한 준비도 하면서 입교한지 얼마되지 않는 장제철이라는 교우집에서 한국말을 열심히 공부했다. 이때 가까운 지방에 있던 도리(Dorie)신부와 자주 왕래하면서 서로 의지하였다. 물론 그들이 왕래할 때는 서양인임을 감추기 위해 상복을 입고 다녔다.
한편 루도비꼬 볼리외신부는 전교활동이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이토록 잘 전교할 수 있는 지방에 오게 된것은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하며 행복스럽게 말하며 전교신부로서의 처신을 대단히 잘 지켜나갔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그는 고해성사를 들을 정도로 한국말에 능숙해졌다. 이때 배교자인 이선이가 묘론리(卯論里)에 서신부가 살고 있다고 실토하였기 때문에 그곳 교우들이 걱정한 나머지 서신부를 광주 산답리(山沓里) 이요셉의 집으로 옮겨가게 했다.
그후 장베르뇌 주교는 서볼리외 신부의 한국어 실력과 열심함을 감안하여 충청도 지방으로 그의 임지를 정해주려고 하던 참에 그는 그의 임지를 가보기도 전에 처음에 기거했던 집주인 장제철의 밀고로 포졸들에게 발각되어 마침내 1866년 2월 27일 김도리신부와 함께 체포되고 말았다.
그 다음날 서울로 압송되어 의금부에 바로 연행되어 곧 심문을 받았다.
관리는 그에게「네가 한 일은 다른 사람의 문초를 통해 다알고 있다. 네가 나올 때의 물길이며 육로와 네가 숨었던 집이며 네가 가르친 사람과 햇수를 모두 말해라」라고 하자 그는「나는 볼리외라는 사람입니다. 불란서가 나의 본국이고 중국에 나와서 여섯달을 머물다가 자난해 4월 장주교의 편지를 받아보고 요동 남양에서 배를 구해백령도 근처의 모인도(毛仁島)에 상륙하여 내포에서 보내준 배를 만나 내포에 이르렀으나 언어가 통하지 않아서 선주이름이나 살던 지방의 이름을 알지 못합니다. 5월 보름쯤 상경하여 백신부 김신부와 함께 서울에서 보름동안 있다가 광주 산답리에 있었습니다…나는 장주교의 지시에 따라 행한것 뿐입니다」라고 당당하게 대답했다.
그리하여 그는 심한 고문을 당하였는데 다리와 발에 많은 매를 맞고 곤장의 형벌을 받으면서도 그의 신앙심은 물론 조선교회를 위해 아무런 말도 하지 않은채 굳셈을 드러내 보였다. 그러던 중 서볼리외 신부는 형조(刑曹)로 이송되어 사형선고를 받았다. 그는 사형이 진행되기 전까지 자신의 고통을 참아내며 그의 거룩한 희망이 실현되기를 주님께 간절히 빌면서 기쁜 마음으로 하루하루 옥살이를 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서볼리외신부는 베르뇌 주교와 도리신부、브르뜨니에르신부 등 동료들과 함께 새남터의 형장에서 세번째의 칼질에 의해 영원한 생명을 얻는 순교의 월계관을 쓰게 되었다. 그때는 1866년 3월 7일로서 그의 나이 27세에 불과하였다.
<修女ㆍ한국순교복자회ㆍ오륜대순교자기념관장>
특집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