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정착하면서 문제가 생깁니다. 유목민이었던 이스라엘은 싸움 잘하는 전투 신인 하느님을 섬겼는데, 정착하면서 농사를 짓게 되니 농사 신인 ‘바알’을 숭배하게 됩니다.”
베드로가 의아한 듯 묻는다.
“사랑이신 하느님께서 ‘전투의 신’이셨다고요? 참 놀랍네요.”
“예, 유목민이었던 고대 이스라엘인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하느님을 싸움 잘하는 신으로 여겼던 것이죠. ‘만군의 주님’이라는 표현이나 ‘주님께서는 나의 방패’라는 표현들에서 알 수 있습니다. 고대 이스라엘인들은 전지전능하신 하느님 모습 중 한 가지에 불과한 싸움 잘하는 신에 대한 개념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정착하면서 농사 잘 짓는 신인 가나안 지역의 토착 신 바알을 숭배하게 됩니다. 급기야 하느님께서는 엘리야 예언자를 통해서 바알의 예언자들과 카르멜 산에서 대결을 벌입니다(열왕기 상권). 엘리야가 승리하고 하느님께서도 농사를 잘 지으시는 신으로 인식이 됩니다. 이것은 하느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서서히 넓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처음부터 하느님을 다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역사 속에서 순리대로, 인간들의 실수마저도 참아내시며 인간이 지혜로워지기를 기다려 주십니다. 사실 지금도 우리는 하느님을 다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니 하느님에 대한 이해가 얼마나 좁은지 모릅니다. 그런 점에서 베드로씨는 하느님을 어떤 분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백 신부의 뜬금없는 질문에 당황한 베드로가 말을 더듬으며.
“어… 신부님, 그런… 어, 어려운 질문을 갑자기 하십니까?!”
“아, 죄송합니다. 이런 이야기가 생각나서요. 어느 영화 대사인데요. ‘하느님은 두 분이 계신다. 한 분은 인간이 만든 하느님이고, 한 분은 인간을 만드신 하느님이다.’ 우리는 우리가 만든 하느님의 이미지를 우리를 만드신 하느님이라고 착각하며 살지는 않습니까?”
“신부님 말씀이 가슴에 와 닿습니다. 저도 제 뜻대로 안되면 제 기도가 부족함을 깨닫거나, 하느님 뜻을 찾으려 하기 보다 제 욕심을 채우려 한 때가 많았습니다.”
갑작스럽게 베드로의 신앙고백을 들은 백 신부는 머쓱해진 분위기를 바꾸려고 이야기를 계속 이어나간다.
“그래서 지금 우리 현실이 군대를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사람들의 슬기가 깊어지고 하느님에 대한 이해와 신앙이 더 깊어진다면 군대에 대한 새로운 생각이 열리지 않겠습니까? 바로 이런 미래지향적인 군대에 대한 생각을 함께 해보자는 의미입니다.”
언제 왔는지 스텔라가 백 신부와 베드로의 장황한 이야기를 듣다가 불쑥 끼어든다.
“남자들은 아무리 나이가 들어도 군대 이야기하면 지루하지 않은가 봐요. 특히 군대에서 축구한 이야기요.”
스텔라의 이야기에 백 신부와 베드로가 마주 보며 웃는다.
‘펀펀(FunFun)교리’ 22편 중국어 번역판이 가톨릭e신문 프리미엄 서비스로 찾아갑니다. QR코드로 지금 만나보세요.
백남해 신부(요한 보스코·마산교구 사회복지국장)
마산교구 소속으로 1992년 사제품을 받았다. 마산교구 사회사목 담당, 마산시장애인복지관장, 창원시진해종합사회복지관장, 정의평화위원장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