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 같지 않다.’(요한 14,27)
6·25전쟁 발발 67돌을 맞이하며 평화의 가치와 소중함이 더욱 절실하게 다가온다. 특히나 그리스도인은 아직도 남북이 갈라진 채 군사적 긴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반도 상황을 떠올리면서 세상이 주는 평화와는 다른 주님께서 주시는 평화를 갈망하게 된다. 예수가 성경에서 말한, 세상이 주는 것과 다른 평화는 무엇이며 그 평화를 얻으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 세상의 평화 vs 주님의 평화
제2차 바티칸공의회 「사목헌장」(1965) 제81항에는 ‘세상이 주는 평화’를 기술하고 있다. “과학 무기는 오로지 전시에 사용할 목적으로만 비축하지 않는다. 해마다 증대되는 이러한 무기 비축은 혹시 있을지 모르는 적의 도발을 억제하는 데에 기여한다. 많은 사람들은 지금 이것이 어느 정도 국제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 가운데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이라고 여긴다”는 부분이다.
그러나 「사목헌장」은 같은 항에서 “군비 경쟁으로 전쟁의 원인들이 제거되기는커녕 오히려 증대될 수밖에 없고 국제 분쟁이 진정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번져 가고 있다”고 선언한다. 이어 “짓누르는 불안에서 세계를 해방시켜 참 평화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정신 개혁에서 시작되는 새로운 길을 선택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우리 자신의 책임을 더 깊이 깨달아 우리의 분쟁들을 더욱 인간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내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도 던진다.
‘참 평화’에 이르는 정신 개혁과 분쟁 해결에 필요한 ‘인간적인 방법’은 성 요한 23세 교황이 제2차 바티칸공의회가 한창 진행되던 1963년 4월 11일(성 목요일) 반포한 회칙 「지상의 평화」(Pacem in Terris)에 잘 드러나 있다. 성 요한 23세 교황은 “진정한 평화에 요구되는 것은 하느님께서 설정하신 질서를 충분히 존중하는 것”(「지상의 평화」 제1항)이라고 천명했다. ‘하느님께서 설정하신 질서’, 평화로운 사회를 떠받치는 네 기둥으로는 진리, 정의, 사랑, 자유를 꼽았다(「지상의 평화」 제37항).
교황은 냉전이 절정에 달해 있던 시대적 상황에서 “전쟁 무기의 균형으로 평화가 이룩되는 것이 아니고 상호 신뢰에 의해서 참된 평화가 확립된다는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지상의 평화」 제113항)고 밝혔다.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가 2012년 마련한 ‘세계 평화의 바람’ 참가자들이 휴전선 철조망에 평화에 대한 염원을 적은 리본을 달고 한반도 일치와 화해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가톨릭신문 자료사진
■ 평화는 정의의 결실
「사목헌장」에 드러난 평화에 대한 교회 가르침은 「지상의 평화」와 연결시킬 때 그 깊고 완전한 뜻을 이해할 수 있다.
두 문헌에서 주목해야 하는 요소는 ‘평화’와 ‘정의’를 분리시키지 않고 평화를 정의의 열매나 결과물로 해석한다는 점이다. 복자 바오로 6세 교황이 성 요한 23세 교황의 뒤를 이어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마무리짓고 1967년 교황청에 정의평화평의회를 설립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후 가톨릭교회에서 정의와 평화는 ‘정의평화’라는 하나의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지상의 평화」는 회칙 선포 대상을 ‘선의의 모든 사람들’과 ‘인류’라고 명시함으로써 기존의 백인 우월주의와 유럽 중심주의로 대표되는 불의와 차별에 대한 거부를 평화의 출발로 봤다.
「사목헌장」도 제83항에서 “평화 건설을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도 먼저 사람들 사이에서 전쟁을 키우는 분쟁의 원인, 특히 불의를 뿌리뽑아야 한다”면서 ‘불의’의 형태로 과도한 경제적 불평등, 지배욕과 인간 경시를 들고 있다. 평화 증진을 위해서는 ‘정의’가 바로 서야 한다는 외침이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2003년 「지상의 평화」 반포 40주년을 기념하는 제37차 홍보주일 담화에서 “자유는 참된 평화의 전제조건이고 언론매체는 진실에 이바지함으로써 자유에도 이바지한다”면서 “부유층이나 정치권력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진실을 날조하라는 압력에 언론매체는 저항할 중대한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언론이 정의로울 때 평화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도 올해 ‘세계 평화의 날’ 담화에서 평화실현을 위해 군비축소와 핵무기 폐기 등을 언급하는 한편 강자의 지위를 악용하는 가정폭력과 여성·아동 학대 중단을 호소하면서 정의와 평화의 가치를 연결시켰다.
박지순 기자 beatle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