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기도는 자기 세뇌가 아닐까요?
참 어리석은 질문인 것 같기도 합니다만, 열심히 기도를 드리는 것은 자기 세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사실이 아닌 것도 자꾸 듣고, 주변에서 사실이라고 말하면 나중에는 사실인 것처럼 생각되잖아요. 열심히 기도를 드리면 믿음이 정말 생기는 것 같은 느낌이 들것이고, 그러면 그건 자기 세뇌가 아닌가요? 엉뚱한 질문인 것 같긴 한데, 정말로 궁금합니다.
【답변】기도는 자기 합리화 아닌 ‘하느님과의 대화’
기도는 ‘하느님과의 대화’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교회에서는 주기적으로 기도를 하라고 권합니다. 하루 중에도 몇 번 기도를 드리게 됩니다. 이 기도 시간은 하느님과 만나는 시간이며, 자신의 일(기쁨, 고민, 갈등)을 있는 그대로 말씀드리고 그 일에 대해 하느님 앞에서 신앙적으로 바라보도록 노력하는 시간입니다.
기도에는 소리를 내서 하는 염경 기도가 있고, 묵상 기도가 있고, 그리고 관상기도가 있습니다. 기도에서 우리는 하느님 찬양, 개인의 어려움, 개인적인 희망이나 바람 등을 아뢰기도 하고, 그리스도를 따르는 길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하느님이 내 안에 살고 계시다는 믿음(사랑)을 키우는 기도를 통해서 우리는 은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은총을 받는 것을 하느님을 믿으면 생기는 자동판매기같이 생각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하느님께서 우리의 기도에 반드시 응답하셔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어떤 분은 기도는 ‘하느님과의 인격적인 만남’이며 ‘하느님과의 일치’라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하느님과의 만남에 보상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이 드는데, 많은 분들은 뭔가를 주시지 않으면 믿음이 약해서 그렇다고 생각을 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기도가 자기 세뇌라고 하셨는데, 세뇌라고 하는 것은 사람의 사상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세뇌라고 하면 특정주의 사상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세뇌가 되면 정상적인 사고방식이 안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기도가 자기 세뇌라고 하면 실제로는 속고 있다는 생각이 강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심리학에서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의식이나 행위를 가리켜 방어기제라는 말을 합니다. 그 가운데 합리화라는 것이 있습니다. 합리화란 상황을 그럴듯하게 꾸미고 사실과 다르게 인식하여 자아가 상처받지 않도록 정당화시키는 방법입니다. 기도가 세뇌라고 하면 이런 합리화의 방법을 쓰는 것이라는 말로 들립니다. ‘열심히 기도를 드리면 믿음이 정말 생기는 것 같은 느낌이 들 것’이라는 것은 자신을 정당화한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살면서 많은 부분은 세뇌당하면서 살아가기도 할 것입니다. 특히 학교 교육이나 기업에서는 잘 길들여진 사람을 선호한다고 보입니다. 순종적이고 불합리한 환경을 잘 참아내는 그런 인재들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세뇌까지 해서 신자 교육을 할 필요가 있을까 한 번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길들여지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만, 실제 상황을 잘 파악하고 생활을 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방어기제를 사용할 때 자신이 처한 갈등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속이고 관점만을 바꾸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게 되는 부정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한번쯤 귀담아들어 볼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아무것도 걱정하지 마십시오. 어떠한 경우에든 감사하는 마음으로 기도하고 간구하며 여러분의 소원을 하느님께 아뢰십시오.”(필리 4,6)
※ 질문 보내실 곳
[우편] 04996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목로 32
[E-mail] sangdam@catimes.kr
이찬 신부 (성 골롬반외방선교회·다솜터심리상담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