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路資)란 말은 여행에 소요되는 돈 즉 노비(路費)나 여비(旅費)와 같은 뜻을 지니고 있다.
교통수단이 고도로 발달돼있는 오늘날도 마찬가지이지만 말(馬)이 아니면 걸어서 먼길을 다녀야했던 옛사람들에게는 이 노자가 자기 목숨과도 같은 것이었다.
괴나리봇짐속에 노자를 꼭꼭 숨기고 한양으로 과거(科擧)보러가던 선비가 도중에서 도둑을 만나거나 하숙집에서 잠을 자다가 노자를 털리게 되면 형설의 공은 도로아미타불이 돼 귀가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노자는 살아있는 동안 길을 떠날때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죽은 후 천당이든 극락이든 좋은 곳을 들어가기 위해서도 예부터 필요했던 것 같다.
예를 들면 우리 나라의 경우 시신을 매장지에 운구하기까지, 또 매장한 다음 봉분(封墳)을 하면서 매장꾼들이 노자를 요구하는 것을 볼수 있다.
또 유대교에서는 관속에다 시신과 함께 노자를 넣어 요르단강 건너 천당갈 때 노비로 사용하도록 하고 회교에서는 서역(聖域)인「갠지스」강에 뼈가루를 뿌릴 수 있기위해 관속에 다 노자를 두둑히 넣는다고 한다.
이와 비슷한 형태가 우리 가톨릭교회에도 있다. 바로 노자성체(路資聖體)라는 것이다. 노자성체는 봉성체(奉聖體)라고도 부르는데 둘다 죽음이 임박한 환자에게 마지막으로 영해주는 성체를 뜻한다.
노자성체를 라틴어로는 Viaticum이라고 부르는데 그 뜻은「긴 여행을 위한 준비」란 의미를 갖고있다.
인간이 이승에서의 한 평생을 마치고 새로운 삶의 세계 곧 내세로 먼 길을 떠나면서 성체를 모시도록 한 것은 고통과 절망, 슬픔과 괴로움에 짓눌려있는 임종자에게 희망과 기쁨 그리고 용기를 불어넣어주기 위함이다.
노자성체는 몇번이라도 영할 수 있고 또 공심재도 필요없지만 환자가 성체를 영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사전에 반드시 확인해야한다.
환자의 입안에 들어갔던 성체가 기침이나 각혈등으로 밖으로 튀어나올 때 그 성체를 모셔야하는 사제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