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감염학회가 마련한 2018년 남북 교류 활성화 대비 감염병 대응 심포지엄이 7월 19일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리고 있다.
최근 북한과의 관계 개선으로 남북 교류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진 가운데 북한 감염병의 유입에 대비해 남북 의료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감염학회(이사장 김양수)가 7월 19일 오후 2시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마련한 2018년 남북 교류 활성화 대비 감염병 대응 심포지엄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남한은 바이러스성 질환이 많은 반면에 북한은 결핵과 같은 세균성 질환이 많이 발생한다는 차이를 보인다. 이로 인해 남한에서의 질병이 북한에 퍼지거나 북한에서의 질병이 남한에 퍼질 경우 집단 감염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이번 심포지엄이 열렸다.
도입 강연을 맡은 김신곤 교수(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내과)는 ‘한반도 건강 공동체를 위한 우리의 도전’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바이러스성 질환이 익숙하지 않은 북한에서 메르스(Mers)와 같은 질병이 발생했으면 초토화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갑자기 통일이 될 경우 북한의 열악한 보건의료실태가 대한민국의 생존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직시하고 사전에 핫라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남북보건의료 교류 협력을 위한 상설기구를 설립하고 감염병 남북공동 퇴치 사업을 우선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한 청진 의과대학 출신 최정훈 교수(고려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는 북한의 의료 실태를 설명하고 “북한의 감염병 발생 시 감염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진단 자체도 어렵고, 감염병 환자의 치료에서 과학성을 보장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윤석준 교수(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는 보건의료단체의 대응 전략을 독일의 사례를 들어 소개했다. 윤 교수는 “서독과 동독은 통일 전인 1974년 보건협정을 체결해 감염성 질병 치료에 기반을 놓았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공식적으로 북한과 접촉할 수 없어 통일 후 더욱 혼란을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윤 교수는 “이러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선 보건의료분야의 교류 협력을 추진하고 의료 용어의 통일 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양수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남북 교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의료계의 화두 역시 남북 교류인 것 같다”며 “보건의료 분야 중에서도 우리 국민과 북한 주민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염 분야가 먼저 다뤄져야 한다”고 뜻을 전했다.
최유주 기자 yuju@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