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 전례가 끝나면 미사 거행의 중심이 제대를 향해 이동된다. 주님의 식탁인 이 제대에서 그리스도께서 친히 마지막 만찬에서 제정하시며 제자들에게도 언제나 교회 안에서 지속되도록 명하신 파스카의 희생 제사이자 잔치, 곧 성찬 전례가 거행된다. 성찬 전례의 구조는 마지막 만찬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빵과 잔을 들고 하신 말씀과 행위에 맞추어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ㄱ) 예물 준비에서, 빵과 포도주와 물, 곧 그리스도께서 손에 드셨던 똑같은 재료들을 제대에 가져간다.
ㄴ) 감사 기도에서, 하느님의 모든 구원 업적에 대하여 감사를 드린다. 예물은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된다.
ㄷ) 빵 나눔과 영성체를 통하여, 사도들이 바로 그리스도의 손에서 받아 먹고 마셨듯이, 신자들은 비록 수가 많을 지라도 하나의 빵에서 주님의 몸을 받아 먹고 하나의 잔에서 주님의 피를 받아 마신다.”(「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72항)
이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행위에 상응하는 예물 준비, 감사 기도, 영성체 예식으로 이루어진 성찬 전례를 거행함으로써 교회는 주님께서 스스로 행하셨고 당신을 기억하여 행하도록 제자들에게 맡기신 십자가의 희생 제사에 참여하게 된다.
지난 10월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제15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 개막미사 중 전 세계 청년 대표들이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예물을 봉헌하고 있다. CNS 자료사진
■ 예물 준비
그리스도교 역사의 초기 8~9세기 동안 신자들이 자기 집에서 미사 전례 때 쓸 빵과 포도주만이 아니라 여러 다른 예물을 봉헌하는 관습이 있었다. 성 아우구스티노는 어머니 모니카의 간절한 기도의 힘으로 자신이 새로 태어났음을 고백하면서 제대에 예물을 봉헌하는 행위를 언급했다.
“저 과부는 자선을 자주 하고, 당신의 성자들을 받들어 섬기며, 하루도 빠짐없이 당신 제단에 봉헌물을 올려놓고, 하루에 두 번 곧 아침저녁으로 빠짐없이 당신 교회에 나갔습니다.”(「고백록」 5,9.17)
이러한 관습에서 비롯하여 미사 때에 제대에 예물을 가져가 준비하는 일련의 예식 행위를 가리켜 오랫동안 ‘예물 봉헌’(offertorium)이라고 불렀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전례 개혁은 역사를 거치면서 이 부분에 중복되거나 덜 유익하게 덧붙여진 요소들을 빼고 더 단순하게 정리하여 이를 ‘예물 준비’라고 새로 명명하였다. 곧 ‘봉헌’보다는 ‘준비’에 더 강조점을 두었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의 참된 봉헌은 미사 거행 전체의 정점을 이루는 감사 기도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예식 동안 신자들의 마음과 자세에서 동반되어야 할 봉헌의 의미는 살아있다. 특히 예물 행렬에서 신자들이 제대에 가져가는 것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될 빵과 포도주만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희생과 결합하게 될 우리 자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제는 빵이 담긴 성반을 두 손으로 제대 위에 조금 높이 받쳐 들고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
“온 누리의 주 하느님, 찬미받으소서. 주님의 너그러우신 은혜로 저희가 땅을 일구어 얻은 이 빵을 주님께 바치오니 생명의 양식이 되게 하소서.”
우리의 노력으로 땅을 일구고 가꾸어 얻는 ‘빵’과 ‘포도주’를 하느님께 예물로 바치는 것은 우리 자신의 봉헌의 표지이기도 한 것이다.
이 밖에도 가난한 이들과 교회를 위하여 신자들이 봉헌하는 금전과 같은 다른 예물 봉헌의 의미를 사도 바오로의 말씀 안에서 찾을 수 있다.
“적게 뿌리는 이는 적게 거두어들이고 많이 뿌리는 이는 많이 거두어들입니다. 저마다 마음에 작정한 대로 해야지, 마지못해 하거나 억지로 해서는 안 됩니다.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에게 모든 은총을 넘치게 주실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여러분은 언제나 모든 면에서 모든 것을 넉넉히 가져 온갖 선행을 넘치도록 할 수 있게 됩니다.”(2코린 9,6-8)
우리가 하느님에게서 먼저 헤아릴 수 없는 은총의 선물을 받았음을 체험하고 느낄 때, 누군가를 위해서 자신의 것을 나눌 수 있는 힘이 거기서 흘러나온다. 그럴 때 봉헌 행위는 또한 감사와 기쁨의 표현이자 마음을 담은 기도가 된다.
■ 예물 기도
사제는 예물 기도로써 제대와 예물 준비 예식을 마치고 감사 기도를 준비한다. 이 기도는 희생 제사의 봉헌의 의미를 앞당겨 보여 준다.
“주님, 저희의 간절한 기도를 들으시고 이 제물을 너그러이 받으시어 주님의 영광을 위하여 저희가 드리는 이 제사가 모든 이의 구원에 도움이 되게 하소서.”(연중 제24주일 예물 기도)
“주님, 비천한 저희가 드리는 기도와 제물을 굽어보시어 아무런 공덕이 없는 저희를 너그러이 보호하시며 도와주소서.”(대림 제2주일 예물 기도)
이제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면에서 하느님께 봉헌되기에 부족한 우리 자신을 당신 손으로 받아들이시고 당신 자신과 결합시키시어 완전하고 위대한 봉헌이 되게 하신다.
김기태 신부 (인천가대 전례학 교수)
인천교구 소속으로 2000년 1월 사제품을 받았다.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에서 전례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총무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