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마리아 비안네 성인은 단순하지만 깊은 성덕의 삶으로 사제의 길을 걸은 성인이다.
사제성소를 꿈꾸는 모든 성소자들이 모범으로 삼는 성인의 성소는 프랑스혁명 중에 찾아왔다. 1786년 프랑스 리옹 인근의 다르딜리라는 마을에서 태어난 성인이 유년시절을 보내던 당시에는 프랑스혁명이 온 사회를 뒤흔들고 있었다. 자유와 평등을 외치던 혁명이었지만, 혁명세력은 교회를 구체제의 지배층으로 보고 교회와 성직자들을 박해했다.
성인이 13세 되던 해, 혁명이 격렬하게 진행되고 있던 만큼, 성인은 이웃 마을인 에퀼리까지 가서 첫영성체 교리를 받아야했다. 성인은 혁명 세력의 눈을 피해 건초더미로 창문을 가린 농가에서 은밀하게 첫영성체를 했다. 이때 단지 사제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목숨의 위협을 받으면서도 꿋꿋하게 사목활동을 하던 사제의 모습이 성인에게 큰 감명을 줬다.
농부의 아들이었던 성인은 기초 교육도 부족했고, 수학 능력도 떨어지는 편이었다. 특히 라틴어 능력이 부진했다. 그러다보니 학업에도 어려움을 겪어 시험에서 무려 11번이나 낙제점을 받았고, 퇴학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성인의 성품과 깊은 신심을 인정받아 1815년에 사제서품을 받을 수 있었다.
성인은 에퀼리본당에서 보좌신부를 역임하고 1818년 아르스의 본당 신부로 부임했다. 아르스의 주민은 불과 230여 명. 이들에게 주일은 노닥거리거나 술, 도박을 하기에 좋은 날 정도였다.
그러나 성인은 실망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예수님, 저는 당신께 의탁합니다”라고 기도하며 사람들의 회심을 위해 고행의 삶을 살았다. 성인은 금식과 고행을 했고, 딱딱한 침대에 짚을 깔고 잠을 자는 생활을 했다. 사제관의 모든 물품을 가난한 이에게 아낌없이 내어줬다. 매일 10시간 이상을 성당과 고해소에 머물렀고, 잠깐의 여유라도 있으면 가정방문과 환자방문을 했다.
이런 성인의 모습에 주민들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주일에 성당을 찾았고, 삼종기도 종이 울리면 무릎을 꿇고 기도했다. 주민들만이 변화한 것이 아니다. 변화한 아르스 마을의 모습은 주변 마을에도 전해졌고, 한 해에 수만 명에 달하는 신자들이 아르스를 순례했다.
성인은 특히 고해성사에 힘썼는데, 순례자들의 고해성사를 집전하기 위해 하루 16~18시간을 고해소에 머물렀다고 한다. 성인의 설교는 단순하고 직선적이었으며, 성인의 충고는 간단명료했다. 하지만 그 안에 차고 넘치는 신심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성인은 아르스 주임신부로 부임하면서부터 죽기까지 42년 동안 온전히 아르스의 본당신부로서 전 일생을 헌신했다. 성인은 42년 동안 단 3번 아르스를 떠났는데, 그 3번의 외출도 수도원에 잠시 다녀온 것이 전부였다고 한다.
성인은 1859년 8월 4일 73세의 나이로 아르스에서 선종했다. 성인은 1925년 시성됐으며 1929년 비오 11세 교황은 성인을 ‘본당 신부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했다. 성인은 제1대리구 미양성요한마리아비안네·정자꽃뫼·안녕본당의 주보성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