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그 이름을 물에 쓴 자, 이곳에 영면(永眠) 하다」라는 자신의 묘비명을 남겨 놓았던 죤 키(1795~1821)는 『아름다움은 영원한 기쁨/그 사랑스러움은 끝이 없나니/그것은 결코 무(無)로 돌아가지 않고 /우리를 위해 고요한 나무그늘 휴식처…』라고 노래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예외없이 이 세상에 살다가 어느날 훌쩍 예고도 없이 떠나가지만 그가 전생애를 통해서 진실로 추구했던 진리가 있었다면 이 보다 더 아름다운 것은 없습니다. 어떤 형태로 무엇을 그가 이 세상에 남겼든 간에 온갖 회의와 고뇌, 방황을 통해서도 죽음에 이르는 그 순간까지 그가 찾아 얻고자 했던 진리가 있었다면 이보다 더 아름다운 것은 없습니다. 이러한 아름다움이야 말로 이 세상에 기쁨과 생명, 사랑을 안겨주는 위안이요, 아 세상을 구원으로 이끄는 힘이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둘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작다는 것 자체로써 아름다운 것은 삶 한가운데 숨어 있는 신비와, 침묵 속에 감추어져 있는 진리는 요란스럽게 이 세상에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의 눈에 보잘것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땅 속에 묻힌 보석들이 지상에 그 흔적만을 드러내듯이 「작은 것이란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요, 초월의 세계로 향하여 빛과 생명의 흐름이 시작 되는 곳」이기 때문에 작은 것은 아름다울 수 있는 것입니다.
하느님 앞에 간절한 마음으로 드리는 애절한 기도는 인간내면의 가장 깊고 심오한 존재의 밑바닥에서 울리는 가장 낮은 목소리입니다. 그러나 이 애원성(哀願聲)이야말로 어둠속에 잠든 삼라만상을 첫새벽의 여명이 되살려내듯, 하느님의 무한하신 자비를 나의 내면에 생명의 빛으로 쏟아 붓는 가장 아름다운 인간의 목소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셋
요란스럽고 거창한 공약과 떠들썩한 선전과 목청을 높이며 굳은 결의로 만천하에 공포했던 약속이 우리를 얼마나 실망시키고 있는지 우리는 잘압니다.
그리고 이렇게 누적되는 실망속에 많은 사람들은 허무주의에 빠져 무관심하거나 자조적인 태도로 자신의 권리와 자신의 정당한 권익을 타인에게 유보하거나 스스로 상실해 가는 것을 우리는 오늘 우리의 삶의 현장에서 절감하고 있습니다.
자기 자신과 자기집단의 이익을 위해 남을 속이는 갖가지 형태의 「속임수」는 증오를 낳고, 이 증오는 폭력을 낳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갖가지 폭력, 화염병과 최루탄, 각목과 곤봉의 공방전에서부터 살인, 강도, 강간, 인신매매 등 이루 헤아릴 수도 없는 다양한 폭력이 난무하는 사회는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겉으로 드러나는 폭력보다 더 무서운 폭력은 바로 드러나지 않는 폭력이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폭력, 즉 온갖 거짓과 속임수야말로 모든 폭력의 뿌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기심에서 출발한 거짓과 속임수는 증오를 낳고 이 증오는 폭력을, 또 이 폭력은 다른 폭력을 낳는 이른바 악의 고리, 악순환이 계속된다는 것을 우리는 우리의 짧은 현대사 속에서 너무나 잘 체험하고 있습니다.
▨넷
어둠의 세력에 잠식되어 있는 인간성, 즉 폭력의 고리를 끊고 구원받아야 할 인간에게 인간해방을 선포하신 나자렛 예수의 가르침에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바로「하느님 나라」에 대한 것이었습니다(마르 4, 23ㆍ9, 35:루가8, 1ㆍ9, 11). 그리고 예수는 이 「하느님 나라」에 대한 것을 비유로 말씀하셨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 비유의 말씀이 「저절로 자라나는 씨의 비유」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이 비유의 말씀은 온갖 고난과 수치로 강대국 식민치하에서 억압받고 학대받던 당시 이스라엘 청중들에게는 너무나 어처구니 없는 비유의 말씀이었습니다. 보다 강력한 통치와 무력으로써 로마제국을 무찌르고 새롭게 탄생될「하느님 나라」를 고대했던 그들에게 예수가 선포한 「하느님 나라」는 로마제국보다 큰 것은 고사하고 세상에서 가장 작은 「겨자씨」라는데 그들의 실망과 좌절이 얼마나 큰것인지 가히 짐작이 갑니다.
예수의 「하느님 나라」는 무력과 폭력으로써 성취되는 나라가 아니라 용서와 화해, 사랑과 희생으로써 남의 고통과 아픔을 함께 수용하는 나라이고 나 혼자만이 차지하는 이기적 공간이 아니라 온 나라 만백성이 한 공동체로서 참여하는 나라이요 기쁨과 행복, 생명과 평화가 영원한 현재로 존재하는 , 이른바 「하느님의 통치」가 이루어지는 나라였습니다.
모든 악의 세력, 폭력과 증오가 사라지고 괴로움과 고통, 슬픔과 질병, 죽음을 뛰어 넘어서 이룩되는 하느님의 통치는 이 세상에서 우리의 삶의한 가운데 이 지상에서 가장 작은 씨앗 중에 하나인 겨자씨와 나무와 같이 무성하게 자라나서 하늘의 새들이 그 위에 보금자리치듯, 세상의 만백성들이 초대되는 하느님의 선물이요, 우리에게 주어지는 「새하늘 새땅」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장 작고 미약하게 시작된 이 나라는 세상 그 어느 왕국이나 제국보다도 더 크고 강력한 주권을 지닌 것이라고 예수는 가르치셨습니다(마르4,1~9).
▨다섯
한알의 작은 씨앗이 어두운 땅 밑에서 움터나듯, 밀가루 반죽속에 녹아 온 밀가루반죽을 부풀어 오르게 하는 누룩같이 모든 그리스도인의 삶과 믿음이 이와 같아야 한다고 예수는 말씀하셨습니다.
과정이야 어찌되었건 간에 성급히 결과만을 유일한 목적가치로 추구하는 이 사회 속에서 「겨자씨의 신비」를 이 땅에 증거하는 것이 바로 그리스도인의 삶이요, 바로 이것이 복음 선포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모든 폭력을 제거한 용서와 사랑의 일치 속에서만이 악의 고리가 끊어질 것이고 가장 무력해 보이고 어리석어 보이는 「십자가의 어리석음」을 우리가 우리의 생애를 통해서 배우고 깨닫고, 행동하는 곳에서만이「하느님의 나라」의 평화와 기쁨을 우리는「지금 이 자리」에서 체험하게 될 것입이다.
가장 작은 가능성으로 보이는 주님의 말씀이 우리 믿음의 터밭에 떨어질때 성실함과 인내로써 하느님의 자비에 온전히 자기 자신을 맡길 때, 바로 그 순간, 그 곳에서 하느님의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가 열리고 바로 그 곳은 이 세상에서 영원을 향한 빛과 생명의 흐름이 시작 되는 곳이 될것입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기획연재물
- 길 위의 목자 양업, 다시 부치는 편지최양업 신부가 생전에 쓴 각종 서한을 중심으로 그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과 사목 현장에서 겪은 사건들과 관련 성지를 돌아본다.
- 다시 돌아가도 이 길을한국교회 원로 주교들이 풀어가는 삶과 신앙 이야기
- 김도현 신부의 과학으로 하느님 알기양자물리학, 빅뱅 우주론, 네트워크 과학 등 현대 과학의 핵심 내용을 적용해 신앙을 이야기.
- 정희완 신부의 신학서원어렵게만 느껴지는 신학을 가톨릭문화와 신학연구소 소장 정희완 신부가 쉽게 풀이
- 우리 곁의 교회 박물관 산책서울대교구 성미술 담당 정웅모 에밀리오 신부가 전국 각 교구의 박물관을 직접 찾아가 깊이 잇는 글과 다양한 사진으로 전하는 이야기
- 전례와 상식으로 풀어보는 교회음악성 베네딕도 수도회 왜관수도원의 교회음악 전문가 이장규 아타나시오 신부와 교회음악의 세계로 들어가 봅니다.
-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명쾌하고 논리적인 글을 통해 올바른 신앙생활에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