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축일(11일) 맞아 살펴보는 베네딕토 성인 삶과 영성
“매일의 단순한 삶에서 하느님을 찾으십시오”
서방 수도생활의 아버지… 수도자들 위해 규칙서 정리
시간 전례 따른 공동 기도와 노동, 거룩한 독서 강조
스피넬로 아레티노의 ‘성 베네딕토’.(1383-1384)
7월 11일은 베네딕도 수도회의 창시자로, 서방 수도생활의 아버지로 불리는 베네딕토 성인의 축일이다.
‘분도’라는 한자 음역으로 불리기도 하는 베네딕토 성인은 수도생활에 필요한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묶은 「수도규칙서」(Regular Benedicti)를 만든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스콜라스티카 성인과는 쌍둥이 지간이다.
성인은 480년경 이탈리아 노르치아(Norcia)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어머니를 여의고 유모와 함께 생활했던 성인은 로마로 유학을 떠났으나, 그 곳의 퇴폐와 향락에 염증을 느끼고 곧 엔피테(Enfide)라는 작은 산골 마을로 간다. 이후 성인은 유모와도 헤어져 수비아코(Subiaco)로 가서 3년간 동굴에서 은수생활을 했다.
이 시기 성인은 사탄으로부터 유혹을 받기도 했다. 동굴에서의 시간은 모든 인간이 갖는 유혹과의 싸움이었다. 그것은 자아를 중심에 놓고자 하는 유혹, 관능과 육욕의 유혹, 분노와 복수의 유혹이었는데 성인은 이 유혹들과 맞서 싸워 이긴 끝에 다시 세상 밖으로 나가 수도원을 세우게 된다.
성인은 수비아코에 12개의 수도원을 세운 후, 몬테카시노(Montecassino)로 거처를 옮겼다. 그곳에서 아폴로 신전을 개조하여 성당을 세웠고, 「수도규칙서」를 썼다.
「수도규칙서」로 대변되는 베네딕토 성인의 영성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이유는 하느님을 바라보고 관상하면서도 매일의 일과나 인간관계의 의무 등 현실의 일들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성인은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 생활을 이상으로 한 공동체 생활을 중요시했다.
성인은 수도생활을 ‘주님께 봉사하기 위한 학교’라고 말하며, 아빠스(Abbas·베네딕도 수도회 대수도원장)는 온화한 아버지이며 엄격한 선생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성인 자신의 삶과도 일치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수도생활의 기본적인 덕으로 순명과 침묵과 겸손을 제시했다.
베네딕도 수도회의 모토인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에서도 알 수 있듯이, 베네딕도회 규칙의 근간은 시간 전례를 중심으로 한 공동 기도와 노동, 그리고 성독(Lectio Divina)이다. 그리스도를 철저히 따르기 위해 세속과 자신을 끊어 버리고 매일의 단순한 삶 속에서 하느님을 찾고자 한 것이다.
특히 성인은 수도서원에서 ‘정주’(定住)와 수도승다운 생활이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했는데, 정주란 단순히 수도원 안에 머물며 살아야 한다는 의미라기보다는 하느님을 향해 끊임없이 정진해야 하는 내적 정주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 또한 하느님의 말씀을 온 몸으로 듣는 ‘경청’과 모든 이들을 존중할 것, 손님에 대한 환대를 강조했다.
547년 성인은 자신이 사망할 날을 예언해 무덤을 열어둘 것을 명했는데, 이 말을 마치자 바로 열이 나고 아팠다. 그로부터 6일 후, 성인은 성체를 영하고 제자들의 도움을 받아 팔을 벌려 하늘을 향해 기도를 올리던 중 선종했다.
베네딕토 성인은 유럽 전체의 수호성인이자 농부, 동굴학자, 화학자, 기술자의 주보성인이다.
김현정 기자 sophiahj@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