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이후 우리나라에 거주 중인 북한이탈주민은 3만2000명이 넘는다. 통일부 산하 남북하나재단이 지난해 실시한 북한이탈주민 정착 실태조사를 보면 많은 북한이탈주민들이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사회적 관계망이 취약해 외로움과 우울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몸이 아파도 집안일을 부탁할 사람이 없다는 비율이 27.1%, 우울할 때 대화 상대가 없다는 비율이 19.7%에 달했다. 위급하거나 어려울 때 도움을 청할 이웃이 많지 않고 속 시원하게 마음을 털어놓을 만한 가족과도 멀리 떨어져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 나은 생활을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묻는 질문에 이들은 ‘취업과 창업 지원’을 1순위로 꼽았다. ‘의료 지원’과 ‘교육 지원’이 그 뒤를 이었다. 직접적인 소득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12.3%나 됐다. 특히 남한 거주 기간이 5년이 넘은 북한이탈주민들은 소득과 병원비, 치료비 부족을 더 많이 호소했다.
정부와 교회는 이들이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인다. 정부는 기본 사회적응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후에도 지방자치단체,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등이 협업해 초기 정착지원, 자립 기반 마련 등에도 힘쓰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우선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에 머물며 12주 동안 사회적응 교육을 받는다. 하나원에서 적응 교육을 마치면 취직, 주민등록, 임대주택 알선, 정착지원금 등을 제공받는다.
교회는 교구별 민족화해위원회를 비롯해 교구 산하 기관단체와 본당, 수도회 등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사목에 힘쓰고 있다. 정착도우미 양성을 지원하는 한편 한국 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북한이탈주민 담당 선교사를 중심으로 가정방문과 의료지원, 상담 등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더불어 ‘2019 세계 평화의 바람, DMZ 국제 청년 평화순례’, ‘청소년 평화학교’ 등을 진행하며 청소년들에게 북한과 평화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에도 집중하고 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세례식을 거행하고 장학금을 지원하며,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그룹홈을 운영하는 등 그들에게 이웃이 돼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