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교회의 순교자현양과 성지순례사목위원회(위원장 김선태 주교)가 이번에 개정·발간한 「한국 천주교 성지순례」에 새롭게 추가된 59곳의 성지 중에는 순교지 혹은 순교자가 묻힌 곳 중 전례가 이뤄지는 곳, 즉 ‘성지’로 분류된 곳이 4곳 있다. 순교자 성월을 맞아 순교자들의 피가 스민 그 땅에서 순교자들을 기억해본다.
■ 신촌에 서 있는 순교자현양비
젊은이들의 거리 신촌. 이곳에는 해발고도 106m의 그리 높지 않은 산, 노고산이 있다. 바로 서강대학교가 자리한 곳이다. 예수회가 설립한 서강대학교는 교회의 정신을 바탕으로 젊은이들을 양성해온 터전이다. 서강대가 이곳에 자리 잡은 지도 벌써 60년. 제법 오랜 기간 교회의 정신을 퍼뜨려온 땅이다.
서강대학교 입구에서 왼쪽 길을 들어서니 등하교하는 학생들 왼편으로 서강대 가브리엘관 앞의 작은 공간이 눈에 들어온다. 작은 정원처럼 보이는 이 공간에 서 있는 3개의 조각에는 성직자 3명의 얼굴이 새겨져있다.
성 앵베르 라우렌시오 주교, 성 모방 베드로 신부, 성 샤스탕 야고보 신부. 서강대가 예수회에서 설립한 학교이니 예수회 출신의 성직자인가 하는 생각도 할 수 있지만, 파리외방전교회 출신인 이 3명의 성직자들은 예수회와도, 서강대와도 아무런 관계도 없는 이들이다. 바로 170여 년 전 우리나라 땅에 천주교 박해가 극심하던 시기, 우리나라의 신자들을 돌보고자 찾아온 선교사들이다.
■ 신자들을 사랑한 세 명의 선교사
서강대학교가 세워지기 120여 년 전, 노고산에 이 성인들이 묻혔다. 조선대목구 제2대 교구장으로서 우리 땅의 신자들이 처음으로 맞이한 앵베르 주교, 앵베르 주교보다 앞서 박해 중인 조선의 신자들을 돌보던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 우리가 103위 한국성인호칭기도 중에 범 라우렌시오, 나 베드로, 정 야고보라고 부르며 전구를 청하는 성인들이다.
성인들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신자들을 돌보고 조선 땅에 하느님의 사랑을 전했다. 죽을 위험에 처한 어린이들 위해 세례를 주는 운동을 펼치기도 하고, 지방을 순회하면서 성사를 집전했다. 이런 성인들의 노력에 힘입어 박해 중임에도 불구하고 신자수가 9000명을 넘어섰다. 최양업, 최방제, 김대건 등 3명의 신학생을 선발해 마카오로 유학을 보낸 것도 이 성인들이다.
신자들을 향한 성인들의 사랑은 죽음을 무릅쓴 것이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시작되고 곳곳에서 신자들이 체포되자 성인들은 더 열성적으로 신자들을 찾아가 성사를 집전했다. 박해가 더 심해지기 전에 더 많은 신자들에게 성사를 줘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박해자들에게 성인들의 활동이 알려지자, 신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세 성인은 함께 관청을 찾아가 자수했다.
결국 온갖 신문과 고문 끝에 앵베르 주교는 43세,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는 35세의 나이로 새남터에서 참수를 당하고 말았다. 순교한 성인들의 시신은 새남터 모래사장에 버려져 있었다. 신자들이 성인들의 시신을 수습하러 오리라 여긴 관헌들의 감시가 삼엄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몇몇 신자들이 성인들의 시신을 찾으려다 체포되기도 했다. 마침내 20여 일이 흘러서야 신자들은 성인들의 시신을 수습할 수 있었다.
그렇게 처음 안장한 곳이 바로 이 노고산이었다. 성인들의 유해는 4년 동안 노고산에 묻혀있다 성인들의 유해를 수습한 신자 중 한 명인 박 바오로가 자기 집안의 선산인 삼성산에 이장했다. 성인들의 유해는 1901년 용산 예수성심신학교로 옮겼다가 명동 성당 지하 묘지에 안장됐고, 현재는 절두산순교성지 지하 성해실에 모셔져 있다.
서울대교구 노고산성지에 있는 성 앵베르 주교(맨 왼쪽)와 성 모방 신부(가운데), 성 샤스탕 신부의 현양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강대학교 캠퍼스 내 자리잡은 성지는 새남터에서 순교한 세 성인의 유해가 4년 동안 안장됐으며, 이밖에도 많은 순교자들의 유해가 묻혔던 곳이다.
노고산성지 순교자 현양비.
서강대학교는 성인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해 순교자들이 묻힌 노고산 자락에 학교를 설립해 인재를 양성해 오고 있다. 노고산성지는 캠퍼스 안으로 들어가 순례할 수 있다.
■ 순교자를 품어온 산, 노고산
서강대학교는 이 성인들을 기리며 2009년 6월 15일 교정에 세 성인의 순교 현양비를 세우고 정진석 추기경의 주례로 축복식을 열었다. 조각가 이춘만(크리스티나)씨가 제작한 3개의 순교 현양비는 각각 가로 1m, 세로 1.5~2m의 규모로, 앞면에 각 성인의 얼굴 동판과 약력이 기록돼 있다. 또 비문은 김남조(마리아 막달레나) 시인이 썼다.
이렇게 서강대 내 앵베르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의 순교현양비가 있는 이곳이 노고산성지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노고산에 묻힌 순교자는 이들 뿐만이 아니다.
서울의 여러 처형지에서 가까운 산이었던 노고산은 신자들이 순교자들의 시신을 수습하는데 용이한 곳이었다. 대표적인 처형지였던 절두산순교성지, 새남터순교성지, 서소문 밖 네거리 순교성지 이 세 곳과 이 노고산은 각각 약 3㎞가량 떨어져 있어, 어느 처형지에서도 비슷한 거리다.
기록에 따르면 1866년 새남터에서 순교한 성 정의배(마르코)와 1866년 3월 9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처형된 성 전장운(요한)도 노고산에 안장됐다고 전해진다. 또 1838년 11월 24일 형조 옥에서 병사한 성 이호영(베드로)도, 1839년 9월 12일 포도청 옥에서 숨을 거둔 성 최경환(프란치스코)도 노고산에 안장됐다. 두 성인의 유해는 발굴돼 현재 절두산순교성지 성해실에 안치돼 있다.
노고산은 순교자들을 품었고, 여전히 순교자들의 진토를 품고 있는 산이다. 노고산성지는 이 산 이곳저곳에 묻힌 순교자들을 기억하게 해주는 공간이다.
성지를 찾는 순례자들은 성지 옆길을 따라 100m 가량 더 가면 나오는 서강대학교 이냐시오관의 성당에서 미사를 봉헌할 수 있다. 미사는 주일은 오전 11시, 오후 5시30분, 오후 7시30분에 거행된다. 또 평일 학기 중에는 월~금요일 낮 12시에 미사가 봉헌된다. 학교 방학기간 중에는 평일미사가 운영되지 않는다. 토요일에는 미사전례가 없다.
※문의 02-705-8161 서강대학교 교목처
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
사진 박원희 기자 petersco@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