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은 지구 역사 안에서 지금으로부터 6600만 년 전부터 시작된 신생대의 제4기(258만 년 전 시작)가 마지막 빙하기와 함께 끝난 1만 년 전의 시점을 ‘홀로세’(Holocene, 完新世)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현재의 시기를 따로 분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네덜란드 화학자 폴 크뤼천를 비롯한 다수의 과학자는 인류가 지구에 미친 전례 없는 영향을 고려하여 현시대를 ‘홀로세’가 아닌 새로운 시대인 ‘인류세’로 정의하자고 제안하여 과학계의 논쟁이 진행 중입니다.
‘인류세’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지구 환경의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생물의 다양성이 큰 위기를 맞게 되었고, 결국 멸종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현실에 대한 반영입니다.
화석연료의 과다사용으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어 생태계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되었고, 이상기후와 기후재난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또한 과도한 남획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열대우림을 포함해서 전 세계적으로 산림이 감소하면서 많은 생물종이 멸종되거나 멸종 위기에 몰렸습니다. 인간의 영향으로 생물의 분포에 영구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사례와 더불어 여행이나 교역으로 외래종이 유입되어 생태계를 교란한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삼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대량 축산문제, 핵폭탄과 방사능 문제 등이 ‘인류세’의 특징입니다.
태평양 한가운데 한반도 10배 크기의 플라스틱 쓰레기 섬이 확인해 주는 것처럼 우리나라를 포함한 북반구의 부유한 국가들이 측량하기 어려운 많은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여 해양생태계가 오염되고 있습니다.
2016년을 기준으로 15억 마리의 돼지와 658억 마리의 닭이 소비되었습니다. 매년 우리 농가들이 겪는 ‘조류독감’과 아직 해결되지 않은 ‘아프리카 돼지 열병’은 대량 소비에 맞추어진 대량 축산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언제든지 재발할 문제들입니다.
강대국들의 핵폭탄 실험으로 전 지구적으로 방사능 수치가 증가하는 등 생태계가 그 어느 때보다도 위태로운 상태입니다. 이러한 현상들을 보며 생물 대멸종이 이미 진행 중이라고 보는 시각이 상당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우리의 삶을 함께 나누며 두 팔 벌려 품어주는 누이이자 어머니 같은 지구 생태계가 울부짖고 있다”며 생태적인 회개와 우리의 관심을 촉구하셨습니다.
이러한 위기의 원인은 우리 자신이 ‘지구를 마음대로 약탈할 권리가 부여된’ 주인이나 소유주로 잘못 인식하였기 때문입니다.(「찬미받으소서」 2항)
이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는 모든 만물의 주인이신 창조주이신 하느님께 대한 올바른 신앙고백에서부터 찾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