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에 대한 교회의 진단과 이후의 사목방향 모색] (10) 디지털 환경 (하)
가톨릭신문사-동아시아복음화연구원 공동기획
온·오프라인 조화 이룰 적절한 사목적 대응책 찾아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 영적 갈증 새롭게 깨닫는 계기
방송 미사·온라인 성경공부 등 신앙 콘텐츠 확산 긍정적이나 온라인 신앙생활 한계 분명해
더욱 효과적인 사목 위해선 보다 깊은 관심과 투자 필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으로 미사가 중단되면서 천주교회 안에서도 온라인 소통이 크게 활성화됐다. IT 강국인 한국 사회에서의 온라인 소통은 이미 세계 어느 나라에서보다도 급속하게 발전해왔지만 코로나19가 가져온 비대면의 상황은 이를 급속도로 증폭시켰다. 그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게 활성화된 것은 TV 방송 미사이다.
■ 온라인 대송, TV 방송 미사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신자들을 위해서 각 교구는 일제히 방송 미사를 마련했다. 한국 천주교회는 물리적으로 미사에 참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주일 미사의 독서와 복음 봉독, 묵주기도 5단, 선행 등으로 주일미사 참여 의무를 대신하도록 했다.
그 중 ‘주일미사의 독서와 복음 봉독’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플랫폼으로서 방송 미사 시청이 권장됐다. 이에 따라 가톨릭평화방송은 매일 미사와 주일 미사 프로그램을 강화했고, 신자들의 방송 미사 참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물론 TV 방송 미사 참례의 유효성을 확대 해석해 미사 참례 의무에 소홀하려는 유혹에는 주의를 기울이도록 했지만 전체적으로 코로나19 확산이 가져온, 미사 참례가 제한되는 위기 상황에 TV 방송 미사 참여는 신앙생활의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여겨졌다.
■ 유튜브 채널의 활용
실제로 우리신학연구소가 지난 5월에 실시한 ‘팬데믹 시대의 신앙실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공동체 미사가 중단된 기간 동안 신자들이 행한 대송에는 ‘가톨릭평화방송 중계미사’가 43.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리고 유튜브 채널을 통한 온라인 미사 참여가 그 뒤를 이어 16.4%를 차지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유튜브의 활용은 오히려 가톨릭평화방송이 제공하는 신앙 콘텐츠의 비중과 영역을 넘어서기 시작했다.
유튜브는 1인 미디어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미사 중단 기간 동안 열의가 있는 본당 사목자와 수도회, 특수사목 사제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방송 미사가 제작되어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제공됐다. 특히 자신이 속한 본당의 낯익고 친숙한 사목자가 직접 출연하는 유튜브 방송 미사는 오프라인 미사 참례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좀 더 효과적으로 신앙생활의 지속에 도움을 주었다.
■ 다양한 가톨릭콘텐츠들
미사 참례의 물리적 어려움이 오히려 가톨릭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불러오기도 했다. 당연하게만 여겼던 신앙생활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신자들은 오히려 영적 갈등을 느끼게 됐고, 자연스럽게 온라인을 통해 이러한 영적인 목마름을 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성경 공부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기존의 온라인 성경 공부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각종 교육이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되거나 연기되면서 온라인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늘어났다. 수원교구 ‘사이버성경학교’나 ‘천주교 서울대교구 온라인성경채널’이 그 사례이다.
본격적인 성경 관련 콘텐츠 외에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문화 및 영성 콘텐츠도 크게 늘었다. 젊은 사제들이 기획한 영상 콘텐츠 ‘신소재’(신부들이 소개하는 재미있는 신앙 콘텐츠), 팟캐스트 ‘책 읽어주는 수녀와 수사’, ‘홍성남 신부의 톡쏘는 영성 심리’, ‘cpbc TV가톨릭콘텐츠의 모든 것’, 수원교구 황창연 신부의 ‘성필립보생태마을’, 유튜브 채널 ‘성당오빠들’, 인스타그램 ‘성당언니’ 등 다양하고 흥미로운 천주교 콘텐츠들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무엇보다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만나 사목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신앙생활 자체가 온라인으로만 이뤄질 수는 없기 때문이다. 오프라인상의 물리적 제한성은 이미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는 신앙적인 열의와 적절한 사목적 대응을 통해 얼마든지 극복될 수 있다. 온라인 사목에 대한 좀 더 깊은 관심과 배려, 투자가 요청된다.
박영호 기자 young@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