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묵상] 상실의 두려움을 넘어 하느님에게로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제1독서 (지혜 3,1-9) 제2독서 (로마 8,31-39) 복음 (루카 9,23-26)
자신을 버린 채 십자가를 지는 것이 구원이라는 ‘역설’
생명 주인이신 주님을 더 강한 믿음으로 긍정하라는 의미
매일 체험하는 기적은 진정한 삶으로 다가가는 영성 비결
회원들의 수가 많은 수녀회 책임 소임을 하다 보니 스스로 민망함을 자초할 때가 많습니다. 기어이 내 옳음을 주장하고 그 정당함을 증명하기 위해 모두를 상대로 극도의 심리전을 펼칠 때입니다. 아무리 대의명분이 확실하고 비장한 용기를 낸 것이라 하더라도, 이기기 위해 냉정해지고 조바심을 내며 집착하는 악순환을 답습할 때 이미 자존심은 무너집니다. 완고함과 강함이 부끄러움이기 때문입니다. 기어이 밀어붙여 끝까지 투쟁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 어쩌면 사명감이나 영웅적 희생이라는 허울에 휘말려 스스로 속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과연 누가 살고 누가 죽은 것인지…. 묻고 또 묻게 되는 일이 지금 제 소임인 듯합니다. 오늘 복음은 이에 대한 답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자신을 버리고 매일 십자가를 지고 그리스도를 따라야 비로소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상실의 두려움보다 더 해로운 것은 그 두려움 때문에 지금 여기에서의 충만함과 인간 품위를 포기하는 어리석음입니다.
■ 복음의 맥락
오늘 본문은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는 여정(루카 9,51-19,27)을 준비하는 내용(9,22-50)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느님의 아드님 그리스도”로 예수님 신원을 고백한 베드로의 이야기에 이어, 예수님은 자신이 많은 고난을 겪고 죽임을 당할 것이라는 점, 그러나 죽은 지 사흘 만에 부활할 것이라는 점을 처음으로 예고하십니다.(22절) 그리고 바로 다음에 오늘 본문이 등장하는데, 사람들에게 당신을 따르려면 어떤 것들이 요구되는지를 알려주십니다. 지금까지(9장)의 내용이 열두제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면 23절부터는 모든 사람을 상대로 전개됩니다.
자신을 버리고 십자가를 지고 따르라는 말씀이 납득하기 어려운 역설이기에, 더구나 십자가형이 실행되고 있던 당시의 독자들에게는 너무나 공포스럽고 치명적 난제였기에, 부연설명이 필요했을 듯합니다. 그래서 23절(본문의 전반부)의 부연으로 24-26절(본문의 후반부)이 동반됩니다. 십자가를 지는 것이 왜 구원인지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 죽어야 산다는 역설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그분 뒤를 바짝 붙어 걷는 지속적 과정을 의미합니다. 어떤 대상 뒤를 쫓아갈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앞장서 가고 있는 그 대상에게 시선을 고정하는 일입니다. 즉 예수님을 따르려면 예수님께 시선을 두어야만 하고, 그분께 시선을 둔다는 것은 그분과의 밀접하고 인격적이며 사랑으로 연결된 관계를 전제로 할 때만 이루어지는 일입니다. 이를 전제로 본문은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한 조건을 ‘자신을 버릴 것’, 그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질 것’으로 알려줍니다.(23절)
① “자신을 버리다”: 이때 사용된 단어는 베드로가 예수님을 모른다고 할 때(루카 22,57) 사용된 그리스어 ‘아르네오마이’입니다. ‘... 를 부인하다’, ‘외면하다’, ‘등한시하다’, ‘버리다’, ‘모른다고 하다’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결국 이 단어를 통해 제시된 내용은 자기 자신을 모르는 체하고 외면하라는 것인데 이는 단순히 행복을 부정하고 등한시하며 스스로를 슬프게 하라는 의미는 아닐 것입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예수님의 계명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하느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네 자신처럼 사랑하라”(마태 23,39)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네 이웃을 네 자신처럼 사랑하라’는 명령 안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이 분명히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명령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본문 다음 내용들을 잘 읽어봐야 합니다.
②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이 구절의 공관복음서에는 발견되지 않고, 루카복음서에서만 발견되는 표현이 “날마다”입니다. 주님의 기도에서 매일의 일용할 양식을 청하듯이, 그리고 구약성경의 광야 여정에서 그날 분량의 만나만을 거두어들일 수 있었듯이, 그리스도인들의 삶은 하루 단위의 결단과 실천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는 평생을 늘 불안과 초조에 휩싸여 소심하게 살게 하려는 이율배반적 옹졸함이 아니라 매일을 충만히 살게 하는 하느님 은총이며 축복입니다. 이렇게 살아갈 때 하느님 현존이 매일 우리에게 확인되고 매일이 기적을 체험하는 시간과 자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너무 많은 것을 안전하게 확보하고 있을 때 하느님은 필요없는 존재로 전락되기 쉽습니다. 사실 십자가형은 서서히 죽어가게 하는 처형 방식이었습니다. 단번에 종결되는 죽음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어쩌면 이러한 매일의 십자가야말로 진정한 삶에 의심 없이 다가가게 하는 영성적 비결일 수 있습니다.
탁희성 ‘절두산의 순교’.(일부)
■역설의 근거
복음에서 제시한 파격을 가장 잘 실천한 인물 중의 하나가 사도 바오로였습니다. 그래서 제2독서에서 그는 하느님이야말로 항구히 자신의 편에 서 계시는 분임을, 그래서 누구도 그분 사랑에서 자신을 떼어놓을 수 없음을 선언합니다. “하느님께서 우리 편이신데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습니까?”(로마 8,31) “그 어떠한 피조물도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에게서 드러난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39절) 이런 깨달음과 믿음이 있었기에 바오로는 기꺼이 날마다 십자가를 지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를 수 있었습니다.
지혜서(제1독서)에서는 순교가 가능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의인들의 영혼은 하느님의 손안에 있어 어떠한 고통도 겪지 않을 것이다.”(지혜 3,1) 즉 우리가 하느님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순교의 고통은 사실 우리가 아니라 하느님이 대신 겪으시는 일이고, 따라서 순교는 인간의 힘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해주시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고통은 하느님께서 우리 편이 아니시라는 증거가 아닙니다. 오히려 하느님은 그 어느 때보다 고통 중에 우리와 함께 계십니다. 그러므로 자신을 버리고 십자가를 지라는 말씀은 난감하고 기괴한 역설이 아니라 우리가 환호하며 끌어안아야할 진리입니다. ‘자신을 부정하라’는 말씀은 곧 생명의 주인이신 ‘하느님을 긍정하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순교자들은 내세에 대한 비정상적 집착으로 자신을 무시하고 죽음을 열망한 이들이 아니라 하느님에 대한 강한 믿음으로 그 죽음을 넘어선 사람들이었습니다. 고통과 강요된 희생, 가난과 소외에 짓눌려 멍해진 눈동자로, 그 어떤 자극에나, 그 누구에게나, 그저 고분고분해지는 것은 혐오스러운 삶이지 자신을 버리고 십자가를 지는 삶이 아닙니다. 두려움 없이 자신을 내어주시는 사랑으로 세상을 움직이시고 구원하신 분이 하느님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사랑을 굳게 믿는 것이 인간이 취할 수 있는 최고의 존엄이며 신앙의 힘입니다. 전염병 창궐이라는 걷잡을 수 없이 가공할 크기의 위협을 하느님 뜻 안에서 겪어내고, 그 불안을 하느님 빛으로 몰아내기 위해서 꼭 부여잡고 걸어가야 할.
김혜윤 수녀 (미리내성모성심수녀회 총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