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 희년 교구 지정 순례지 탐방] (3)구산성지
대대손손 이어온 신앙 유산 고스란히 간직
김성우 성인 등 순교자 묘역
후손들이 교우촌 이뤄 살며
잘 보존해 온 유서깊은 성지
문화적·역사적 가치도 높은 곳
‘신앙 선조 영성마을’ 건립 계획
구산성지 성당 내부. 순교자들의 신심을 녹여낸 전통적인 디자인들을 곳곳에서 찾을 수 있다.
경기도 광주 구산(龜山) 출신으로 1830년 전후 복음을 받아들여 친척과 이웃들에게 열심히 교리를 전파하고 마을이 교우촌이 되도록 이끌었던 김성우(안토니오, 1795~1841) 성인은 1840년 1월경 집에서 체포돼 포도청으로 끌려간다.
배교를 강요하는 모진 문초와 형벌 속에서도 굳은 신앙을 드러낸 그는 1841년 4월 28일 치도곤 60대를 맞고도 신앙을 증거 하는 데 한 치의 물러섬이 없었다.
“어떤 질문을 하시고 어떤 충고를 하셔도, 제 입에서 나올 수 있는 대답은 한 가지뿐입니다. 저는 천주교인이오. 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기를 원합니다.”
갖은 형벌에도 천주교인임을 당당하게 주장하는 그에게 다음날 4월 29일 교수형이 내려졌다. 그의 나이 47세였다.
앵베르 주교 다음으로 조선대목구장이 되어 약 13년 동안 헌신했던 페레올 주교는 그의 기해박해 보고서에서 이런 성인의 순교를 묘사했다. 그리고 보고서를 마무리하며 “제 인생도 이들처럼 마치기 바랍니다”라고 밝혔다.
하남시 망월동 387-10에 자리한 구산성지(전담 정종득 신부)에는 김성우 성인과 동생 만집과 문집, 성인의 아들 성희, 만집의 아들 차희, 문집의 아들 경희와 그의 6촌 윤희, 또 구산에서 태어난 최지현, 머슴 출신으로 힘겨운 삶을 살았던 심칠여 등 순교자 무덤이 있다. 김성우 성인과 아우 김만집을 제외하고는 모두 병인박해 순교자들이다.
현재는 도시화로 고층아파트가 성지를 둘러싼 형국이지만 성지는 최근까지도 성인의 후손들이 교우촌을 이루고 살았던 유서 깊은 곳이다. 그 후손들이 대대로 살며 순교자들 묘소를 가족 묘지에 이장 보존하면서, 박해 시대 자취가 가장 원형대로 남아 있는 곳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200여 년 동안 이어온 신앙공동체로서, 순교자들의 숨결과 자취가 느껴지는 성지는 삼형제의 신앙과 삼대에 걸쳐 순교한 가족공동체의 신앙을 드러내는 장소로도 묵직한 울림을 준다.
6·25전쟁 당시에는 원로사목자들이 피신처로 삼았다는 구산성지는 그 모습 자체로 하느님과 복음을 증거하고,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도심의 한 가운데서 세상을 거스르는 진리를 던져주는 듯하다.
구산성지에서만 볼 수 있는 ‘우리의 도움이신 성모 마리아’ 성모자상. 왕관을 쓰고 오른손에 지휘봉을 들고 있다.
성지는 2001년 하남시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돼 문화적·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성지 곳곳에서 자연스럽게 순교자들의 넋과 함께 한국교회 선조들의 용맹한 순교 역사가 느껴진다. 낮은 언덕 형상의 정문 ‘은총문’으로 들어서면 정면에 ‘우리의 도움이신 성모 마리아’ 성모자상이 보인다. 가정과 인류의 평화를 전구 하는 독특한 외형의 이 성모자상은 성지에서만 볼 수 있다. 초대 성지 담당 고(故) 길홍균 신부(1931~1988)가 꿈속에서 본 성모마리아를 재현한 것으로, 당시 서울대학교 미대학장이던 고(故) 김세중(프란치스코) 작가에게 작품을 의뢰해 1983년 봉헌됐다. 성모마리아는 왕관을 쓴 모습에 오른손에 지휘봉을 들고 있다.
성모자상 왼쪽으로는 묵주기도의 길이 이어진다. 길에는 주님의 기도를 뜻하는 하얀 도자기 구슬과 성모송 의미의 푸른색 도자기 구슬이 새우젓 항아리 형상 위에 놓여 있다. 박해시대 신자들 생업 중 하나였던 새우젓 장사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신앙 선조들의 얼을 되새기고 그분들 영성을 본받기를 바라는 의미도 담겼다.
성인과 순교자 유해가 모셔진 땅으로 들어가는 관문인 ‘안당문’.
김성우 성인을 비롯한 순교자들의 묘역.
성모자상에서 오른편으로 돌아보면 ‘안당문’이라 적힌 기와 대문이 보인다. ‘안당’(安當)은 안토니오의 중국어 음역이다. 대문 안에는 순교자들의 묘역과 성당이 있다. 안당문은 성인과 순교자 유해가 모셔진 땅으로 들어가는 관문이다. 순교자들의 신앙심과 영성이 진하게 전해오는 성지의 가장 핵심적인 곳이다. 김성우 성인 묘역은 유해와 진토가 그대로 안장된 진묘(眞墓)다. 안장된 후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묘역 맞은편에는 개인 순례자를 위한 십자가의 길이, 성당 왼편으로는 단체를 위한 십자가의 길이 조성돼 있다. 성지 한가운데 넓은 잔디 광장과 야외 제대, 이를 둘러싼 순교자를 상징하는 십자가 기둥 등도 인상적이다.
성당 내부는 예수님의 품처럼 아늑하다. 순교자들의 신심을 녹여낸 전통적인 디자인들이 눈에 띈다. 여기서는 매일 오전 11시 각 요일마다 다른 지향으로 미사가 봉헌된다.
성지는 ‘신앙 선조 영성마을’ 건립을 계획 중이다. 이 마을은 신앙 선조와 순교자들의 삶을 체득하는 수련마을이다. 정종득 신부는 “우리 신앙 선조들의 영성은 성덕의 영성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영성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매우 필요하다”고 마을 건립 필요성을 밝혔다. 또 “이를 위해 수년 동안 연구하며 준비에 착수한 상태이나 기금 마련에 어려움이 크다”고 토로했다. 정 신부는 “신앙 선조들의 굳건하며 열절(烈節)로 가득한 신앙을, 우리는 성덕으로 이어받고 후손들에게는 신앙유산으로 물려줘야 한다”며 뜻있는 이들의 관심을 요청했다.
※문의 031-792-8540 구산성지 사무실
이주연 기자 miki@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