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청년 예술가를 만나다] 주동현 금속공예가
“종교 예술 통해 이웃 사랑 바라볼 수 있게 되길”
종교적 삶 아닌 현실 주제로 신앙과 삶의 괴리 작품에 녹여
퓰리처상 받은 사진 모티브로 성경 구절과 연결 지어 표현
주동현 작가가 ‘성경 속의 종교적 삶이 아닌 현실 속의 삶’을 주제로 준비한 자신의 작품들을 설명하고 있다.
“예수님은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 모두를 강조하셨는데, 우리는 이웃 사랑을 너무 등한시 하는 게 아닌가 싶어요.”
가톨릭청년미술가회 부회장 주동현(마르티노·31) 작가는 금속공예 작품을 통해 현실 안에서 마주하는 이웃들의 모습과 그 이웃을 향한 사랑의 메시지를 표현하고 싶었다고 설명하면서 이 같이 말했다.
주 작가는 7월 21일 갤러리1898에서 전시회를 열 예정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거리두기 4단계 격상으로 갤러리1898이 한 주간 임시휴업에 들어가면서 11월로 전시회가 잠정 연기됐다.
이번 전시를 위해 준비한 작품의 주제는 ‘성경 속의 종교적 삶이 아닌 현실 속의 삶’이다. 그는 신앙인들도 현실에서 잔인한 폭력성이 나오는 모습을 보며 신앙과 삶의 괴리감을 작품 속에 녹여냈다. 작품은 퓰리처상을 받은 사진을 모티브로 성경 구절과 연결 지었다. 예를 들어 성모자상 같아 보이는 작품은 에티오피아의 굶주린 어머니와 아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보고 만든 것이다. 종교의 성스러움과 현실의 고통스런 모습을 역설적으로 표현했다.
이렇듯 주 작가의 작품은 종교를 주제로 하지만 철학적 사고가 바탕에 깔려있다. 그는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는 꼼플루텐세대학에서 철학학부 종교연구학과에서 석사 과정을 이수했다. 원래 주 작가는 주얼리 디자이너가 꿈이었지만 대학교 3학년 때 스페인 여행을 하던 중 가우디성당의 매력에 빠져 종교 예술로 방향을 바꿨다. 그는 종교 예술로 방향을 결정한 후 종교의 기본이 철학이라 생각해 이 교육 과정을 거쳤다.
“스페인어로 철학을 공부한다는 게 정말 쉽지 않았어요.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여행 가이드도 병행했죠. 참 어렵게 배웠지만 그래도 이제는 철학이 무엇인지 정도는 알 것 같아요.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까요.”
올해 서울과학기술대학 금속공예디자인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한 주 작가는 이러한 철학적 사고의 연장선에서 예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그는 인간이 가진 고유성에 집중하고 있다.
“이제 작품도 3D 프린트가 뽑아냅니다. 아주 정교하고 오차가 없죠. 하지만 인간은 작품을 만드는 순간마다 사유를 하며 재료와 교감을 이어갑니다. 불완전하지만 이러한 과정 자체가 인간적인 속성이라고 생각해요.”
주동현 작가가 9월에 전시 예정인 김대건, 최양업 신부 기념전 작품을 만들고 있다.
주 작가는 갤러리1898 주관으로 9월에 전시 예정인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 기념전에도 참여한다. 그는 기념전 출품작도 서로 다른 길을 걸었던 인간 김대건과 최양업에 초점을 맞췄다. 생전에 걸었던 사목의 길은 서로 다른 형태를 보였지만, 두 신부 모두 그리스도를 위해 스스로를 포기했다. 이 굳은 신앙을 기리며 주 작가는 두 개의 기둥이 십자가 형태로 교차하는 작품을 만들고 있다.
주 작가는 이렇듯 교회 내에서 작품으로 자신의 신앙과 고민들을 풀어내고 있다. 하지만 신앙을 간직한 청년 예술가로서 짊어져야 할 무게도 적지 않다.
“작품 활동 자체는 참 즐겁고 행복합니다. 하지만 경제적인 문제는 무시 못 하죠. 지금은 예술가들에게 정부 지원도 많이 나오지만 종교 예술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아직 문턱이 높기만 합니다. 종교색이 너무 강하면 뽑히기가 쉽지 않거든요. 하지만 제 작품을 보고 감동받는 모습들을 볼 때면 더욱 책임감이 크게 듭니다.”
그는 “결국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인간성 회복”이라며 “그리스도 안에서 오늘날의 삶과 현실을 다루는 작가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종교 예술이 지나간 시대의 산물을 답습만 하는 화려하고 웅장한 무덤이 되지 않았으면 해요. 신자뿐 아니라 비신자들도 종교 예술을 통해 이웃 사랑이라는 공동선을 바라볼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박민규 기자 pmink@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