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묵상] 제자의 은밀한 사연을 아시는 주님
연중 제25주일
제1독서(지혜 2,12.17-20) 제2독서(야고 3,16-4,3) 복음(마르 9,30-37)
그리스도인은 주님의 돌봄과 신뢰를 받는 어린아이와도 같은 존재
악인은 하느님을 상기시키는 신앙인의 삶을 시험하며 멸망시키려 해
아이처럼 온유하고 인내하며, 주님께 의지하고 영혼을 돌볼 수 있길
‘주님은 마음의 비밀을 모두 아시나이다.’
2017년 구약학자 월터 부르그만이 지은 책 「시편적 인간」의 부제목입니다. 성공회 전례에서 성만찬 직전 신자들은 마음의 정결을 위해 기도하며, 하느님을 “마음의 비밀한 사연들을 아시는 분”으로 찬미하는데 이 기도문의 일부를 따온 것이라고 합니다.
성경을 알아가는 시간이 쌓일수록 하느님 말씀 전체가 ‘영혼의 해부학’처럼 우리 자신도 파악하기 힘든 우리 마음의 미로를 탐색하게 한다는 것, 마음의 비밀을 하느님께 폭로하도록 이끌어간다는 것을 체험합니다.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에 예수님은 제자직에 대해 가르치면서 신앙 선조들의 신앙을 본받도록 초대합니다.
■ 내 영혼은 젖 뗀 아기와 같아
마태오 복음서에서 마르코 복음서로 넘어가면 마르코가 제자직에서 체험하는 흑암, 시험과 유혹의 문제를 심오하게 다루고 있다는 인상을 받습니다. 마르코 복음(8,31-10,52)의 제자직에 관한 가르침은 예수님이 세 차례 자신의 고통, 죽음, 부활을 예고하는 것과 연결됩니다. 이어 제자들의 몰이해가 일어나고, 예수님은 제자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가르칩니다. 신앙생활의 근본은 “예수님을 본받는 것”인데 그 모델로 어린이를 보여줍니다.
어린이는 누구입니까? 먼저 예수님 자신을 가리킵니다. 어린이(‘파이도스’)라는 말에는 ‘섬기는 종’이라는 의미도 들어 있는데 루카복음에서 예수님은 “나는 섬기는 사람으로 너희 가운데에 있다”(루카 22,27)고 말합니다.
또한 어린이는 예수님을 닮아야하는 제자들을 가리킵니다. 구약 지혜문학에서도 스승이 제자들을 ‘아이들’이라고 부르는데 예수님도 제자들을 이런 용어로 부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티베리아 호수에서 제자들에게 나타난 예수님은 “얘들아, 무얼 좀 잡았느냐?”라고 말을 건넵니다. 이 맥락에서 강조하는 어린이의 특징은 순진무구함, 단순함, 자연스런 애정보다는 방어 능력이 없고 도움이 필요한 존재입니다.
참교육자에게 제자는 도와주어야 할 ‘어린이’입니다. 마르코 복음서에서 제자들의 몰이해, 완고한 마음을 보면서도 예수님이 끝까지 그들을 교육한 것은 제자들을 ‘내 아이들’로 바라봤기 때문입니다. 인생의 ‘길 위에서’ 무한한 돌봄과 신뢰, 일관성 있는 교육을 받고 있음을 의식하는 것은 우리가 제자로서 성장하는데 가장 중요한 자기 확신의 바탕이 됩니다.
가르멜회 아기 예수의 데레사 성녀를 비롯해 많은 영성가들도 자신과 하느님과의 관계를 특징짓는 영혼의 태도를 ‘작은 아이의 길’로 표현합니다. 성 요한 23세 교황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개최해 ‘가르치고 지시하는 교회’에서 ‘세상을 위하여 봉사하고 섬기는 교회’로 거듭나게 한 분입니다. 그분은 ‘영혼의 일기’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시편이 131편이라고 고백합니다.
시편 시인은 자신의 마음이 오만하지 않고 눈이 높지 않으며 자신의 주제를 넘어서는 거창한 것을 찾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오히려 저는 제 영혼을 가다듬고 가라앉혔습니다. 어미 품에 안긴 젖 뗀 아기 같습니다. 저에게 제 영혼은 젖 뗀 아기 같습니다”(시편 131,2)라고 말합니다. 자기 영혼을 ‘젖 뗀 아기’라고 부를 수 있는 정도에 이른 것은 뒤죽박죽인 인생 안에서 ‘영혼을 가다듬고 가라앉히는’ 선택과 훈련을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두초 부오닌세냐 ‘베드로와 안드레아를 부르심’ (13~14세기 경, 일부).
■ 제자와 악인의 거리
음악 연주자들에게 연주하는 시간이 없다면 아름다운 음을 내기 힘들 것입니다. 영혼도 악기와 같아서 잘 가다듬지 않으면 오랫동안 그리스도의 제자직의 길을 걸어온 사람이라 하더라도 쉽게 악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지혜서 저자는 악인의 태도와 의인의 태도를 대조하는데, 이는 청중이 지혜롭고 의롭게 되어 어리석음과 약함을 피하도록 가르치기 위해서입니다.
성경에서 악인은 ‘어리석은 자’, ‘무지한 자’로 불리는데, 둔감하다 못해 깨닫는데 실패한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지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만이 아니라 도덕적, 영적 식별력의 부족에 관한 문제입니다. 의인의 특징은 하느님에게 철저하게 의존하는 것인 반면 악인은 하느님 없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꾸려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점에서 은밀한 무신론자입니다.(시편 73,6-12)
악인은 하느님을 상기시키는 의인의 삶이 성가시고 불편하기 때문에 그들을 ‘시험’하면서 멸망시키려고 합니다. 악인은 물리적인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 없이 사는 삶이 얼마나 풍요롭고 멋진 것인지 부러움을 갖게 합니다. ‘부러우면 지는 거다’라는 말이 이런 경우에 해당합니다. 악인의 삶이 정상으로 보이는 부러움에서 시기와 탐욕, 다툼, 혼란과 무질서, 정체성의 혼란이 생겨납니다. 제2독서에서 야고보서의 저자는 이런 요소들이 ‘땅에서 오는 지혜’의 특성이라고 말합니다.
의인이 악인의 시험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는 젖 뗀 아기처럼 ‘위에서 오는 지혜’를 온유하게 인내하며 기다리는 것입니다. 이런 지혜의 특성은 여덟 가지로 요약되는데 행복선언에 드러난 그리스도의 인격을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위에서 오는 지혜는 먼저 순수하고, 그다음으로 평화롭고 관대하고 유순하며, 자비와 좋은 열매가 가득하고, 편견과 위선이 없습니다.”(야고 3,17)
성 김대건 신부님은 처음 만나는 신자를 알아보는 표시로 “당신은 예수님 제자이오?”라는 질문을 합니다. 예수님 제자의 삶을 선택했기 때문에 직면하는 특별하고 구체적인 ‘시험’은 고통스럽지만 우리 자신이 누구인가를 분별하는 은총의 순간이기도 합니다. 크고 작은 일상의 시험이 없다면 자신이 악인인지 제자인지 생각하지 않고 살아갈 것입니다.
화답송인 시편 54편에서 시인이 “보라, 하느님은 나를 도우시는 분, 주님은 내 생명을 떠받치는 분이시다”(시편 54,6)라고 담대하게 고백하는 순간은 이방인과 포악한 자에게서 시험을 당한 후였습니다. 코로나19 시대에 성사와 말씀 안에서 하느님에게 우리의 은밀한 사연들을 말씀드리는 시간과 공간을 마련하고 우리 영혼을 돌보는 일은 우리가 제자의 길을 벗어나지 않도록 우리를 지켜줍니다. 아멘!
임숙희(레지나) 엔아르케성경삶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