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지구위기와 대전환’ 학술대회
전 인류적·지구적 생태 위기 극복할 대안은 ‘통합 영성’
■ 욕망이 불러온 위기
산업 발달로 인한 환경오염과 질병 등으로 생물 다양성 감소
자본축적과 팽창도 주요 원인
한계 망각한 인간 욕망 멈춰야
■ 해결의 열쇠 ‘영성’
인간을 초월해 모든 피조물과 통합하려 노력하는 영성 필요
생태 포괄한 통합 영성으로 인류 존재 방식 바꿔 나가야
발행일2021-11-28 [제3271호, 8면]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소장 김용해 신부)는 11월 18~19일 서강대학교 가브리엘관에서 ‘지구위기와 대전환’을 주제로 성 이냐시오 회심 50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현시대에 발생하는 이슈들, 특히 생태, 정의, 영성 등에 관한 주제들을 학술적으로 성찰하는 자리였다. 또한 철학과 신학 등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학제 간 연구와 가톨릭뿐 아니라 개신교, 불교 등 타종교 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지구위기 극복을 위한 비전을 제시해 관심을 모았다.
■ ‘인류세’의 위기
학술대회에 참석한 학자들은 ‘인류세’의 위기를 알리는 징후를 주시했다. 인류세는 인류 문명이 지구의 역사에 남긴 흔적을 말한다. 인류세는 문명이 배출한 거대한 쓰레기, 생태계 교란, 기후 파국, 특히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전염병의 창궐 등에서 뚜렷한 위기 징후를 보여주고 있다.
서강대 생명과학과 김원선(알베르토) 교수는 ‘생물 다양성의 위기’를 살폈다. 다양한 생물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돼 생태계가 유지되는 순환고리를 만든다. 이 균형이 깨지면 지구 생태계 전체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에 따르면 지난 2010년대에만 467종의 생물이 멸종됐다. 이는 생물종 탐사 이래 390배나 빠른 속도다.
김 교수는 생물 다양성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산업 발달에 따른 환경오염 ▲지구적 인적·물적 교류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외래종과 침입종 유입 및 질병의 확산 ▲과도한 남획과 혼획 ▲과도한 농업 활동 등을 지적했다. 또 “대형동물 제4기 대멸종의 주요 원인이 ‘인간’”이라고 언급하고, “한계를 망각한 채 인간의 욕망을 제어하지 않는다면 지질학적 기준으로 찰나를 사는 인류와 인류를 실어 나르는 지구의 미래는 암담하다”면서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를 되살리고 보전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은 바로 지금”이라고 강조했다.
한신대 신학부 강원돈 전 교수도 ‘생태계 교란과 기후 파국’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그는 “인류세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그 위기의 근원을 규명해야 한다”며, 그 원인으로 인류 문명의 두 가지 장치, ‘자본주의’와 ‘기술’의 결합을 지목했다.
강 교수는 “사회적 가난과 생태계 위기를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장본인은 자본축적과 팽창의 기제”라며 “이는 자본주의적 신용 화폐 제도에 의해 강력하게 뒷받침된다”고 분석했다. 강 교수는 “현대과학은 엄청난 기술적 통제능력을 방출했다”면서 “기술이 자연의 유기적 연관을 해체하고 분리된 대상을 지배하는 것이 목표이듯, 자본주의는 생태학적 연관에서 분리시킨 자연자원과 사회적 연관에서 분리시킨 노동력을 지배해 상품을 생산하고 이윤을 축적하는 체제”라고 밝혔다.
■ 생태를 향한 통합적 영성
전 인류적·지구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일까. 학술발표에 참석한 학자들은 ‘영성’에 주목했다.
영성은 본래 전통 종교, 특히 그리스도교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이지만, 오늘날에는 사회, 문화 영역에서도 쓰는 인간학적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성을 인간학적 접근으로 정의한 산드라 슈나이더스에 따르면, 영성은 “인간이 인식하는 궁극 가치를 향해 고립이나 자아 열중이 아니라 자기 초월의 관점에서 자신의 삶을 통합하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경험”이다. 어떤 신심이나 생각이 아니라 자신을 넘어선 관점에서 자기 삶을 통합시키려는 구체적인 활동이라는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지구의 존재와 생명, 즉 생태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영성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생활 방식을, 나아가 인류의 존재 방식을 변화해나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강대 신학연구소장 김용해 신부는 대안으로 ‘생태영성학’을 제시했다. 김 신부는 “토마스 베리 신부의 생태시대 비전이나 떼이야르 드 샤르뎅 신부의 사유방식을 생태영성학이라는 개념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면서 “생태영성학이 생태신학과 다른 점은 특정 종교전통만을 고수하려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교들의 생태계와 우주 물질계에 관한 태도와 가치 매김을 영성적 관점에서 종합하려는데 있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생태영성학의 방법으로 다른 종교와 문화, 다른 학문 분과와도 공동 지향성을 바탕으로 소통하고, 나아가 자연물과 같은 비정신적인 존재와도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인 ‘트랜스로그’(Translog)를 제안하기도 했다.
가톨릭대학교 생명대학원 교수 이재돈 신부는 토마스 베리 신부의 사상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바탕으로 생태문명의 전망을 살피면서 “원죄에 근거한 구원영성만이 아니라 원복에 근거한 창조영성도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신부는 정치, 경제, 교육 측면에서 생명문명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면서 “민주주의에서 생명주의로, 이익 경제에서 생태경제로, 인간중심 교육에서 생명중심 교육으로 전환할 것”을 역설했다.
부산가톨릭대학교 트리니타스 교육혁신센터 이은영(에디트 슈타인) 교수는 성 에디트 슈타인과 성 힐데가르트의 철학과 영성을 바탕으로 생태적 삶을 위한 방향을 모색했다.
이 교수는 “힐데가르트는 자연과 인간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제시하는 생태론적 우주론과 전인적 인간관을, 에디트 슈타인은 감정이입을 통해 타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타인과 생명공동체 사이에 존재하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했다”고 두 성인의 생태적 영성을 풀어냈다.
생태라는 공통의 지향을 두고 개신교·불교와 공통분모를 찾는 작업들도 있었다. 강원돈 전 교수는 “인류세를 극복하고 생명세를 여는 학문으로 교회를 향해 발언하고 그리스도인들의 행동을 뒷받침하는 언어”로써 ‘생명신학’을 들었다. 원광대 원불교사상연구원 허남진 교수와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조성환 교수는 ‘먹음/먹힘의 지구학적 의미’를 동학의 식천(食天) 사상과 그리스도교 성찬의례를 중심으로 연구했다. 두 교수는 “최시형의 동학사상은 오늘날 서양에서 대두되는 지구인문학과 상통하는 점이 많아 대화의 여지가 풍부하다”며 “‘지구위기’를 사이에 두고 동양과 서양이 ‘지구학’을 매개로 만날 수 있다”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