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해고노동자 숙소 ‘꿀잠’ 철거 위기… 이사장 조현철 신부 인터뷰
“가장 낮은 이들의 보금자리 없애는 게 개발인가요?”
각계각층 후원으로 2017년 개소
재개발 확정되며 존치 불투명
“꿀잠은 공공재… 힘모아 지켜야”
“‘꿀잠’은 비정규직 해고노동자들이 단순히 잠만 자는 곳이 아닙니다. 꿀잠을 이용하는 해고노동자들은 인간으로서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꿀잠은 건물 자체로 의미가 큰 곳입니다.”
한국사회에서 최초로 비정규직 해고노동자들을 위한 숙소 제공을 위해 설립된 (사)꿀잠 이사장 조현철 신부(예수회)는 철거 위기에 놓인 꿀잠 건물이 존치돼야 하는 이유로 꿀잠 건물이 갖는 ‘공공재적’ 성격을 강조했다.
꿀잠이 위치한 서울 영등포구 신길 2구역 재개발조합이 지난해 3월 설립 인가를 받고 재개발을 추진하자 꿀잠은 대책위원회 ‘꿀잠을 지키는 사람들’을 만들어 영등포구청에 의견서를 내고 구청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는 등 꿀잠을 지키기 위한 운동에 나섰다. ‘꿀잠을 지키는 사람들’에는 서울대교구 사회사목담당 교구장 대리 유경촌 주교, 각 교구 정의평화위원회, 남녀 수도회, 노동·인권단체 등이 폭넓게 참여하고 있다.
“꿀잠을 개소하기까지 종교계와 노동, 인권단체 등이 모금운동을 벌였고 우리 사회 원로들이 전시회를 열어 수익금을 기부했습니다. 이뿐 아니라 개소 비용을 줄이기 위해 100일 동안 연인원 1000여 명이 참여해 재능기부로 건물 리모델링에 동참했습니다.”
조 신부는 꿀잠 건물에 설치돼 있는 빗자루를 타고 하늘을 나는 여성 청소노동자 조형물을 관심 있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 신부는 “청소노동자, 그중에서도 여성은 가장 힘든 일을 하면서도 가장 낮은 대우를 받는 분들”이라면서 “여성 청소 노동자가 빗자루를 타고 하늘을 나는 듯한 모습을 표현한 조형물은 꿀잠 설립 취지에 공감한 어느 예술가가 기증한 것인데 꿀잠이 노동자들의 권익과 지위를 높여 준다는 의미를 표현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조 신부는 꿀잠이 지니는 공공재로서의 상징성을 이유로 꿀잠의 존치를 요구하는 것이 단지 꿀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재개발 지역 주민 중 재개발 후에도 같은 지역에 사는 비율은 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재개발이 수익의 논리로만 이뤄지기 때문이다. 조 신부는 “꿀잠을 지키는 것은 공공의 이익을 따라 재개발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신길 2구역은 ‘2종 일반 거주지역’으로 재개발 인가를 받았다. 처음에는 7층까지 짓겠다고 하다가 15층까지 짓는 것으로 계획을 바꿨다. 이어 재개발조합은 ‘3종 일반 거주지역’으로 변경해서 30층까지 건축하겠다는 입장이다. ‘3종 일반 거주지역’으로 신길 2구역 재개발 계획이 변경 확정되면 꿀잠 존치가 더 어려워진다.
“지역 재개발 사업이 돈을 좇아가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대장동 재개발’이 언론에 자주 오르내렸지만 한국사회에서 대장동은 흔한 현상입니다. 우리 사회 가장 약한 자를 위해 세워진 꿀잠 건물을 지키는 것은 곧 공공재를 지킨다는 상징성이 있습니다. 교회와 시민사회의 힘을 모아 꿀잠을 지켜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습니다.”
박지순 기자 beatles@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