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과잉(人口過剩) 또는 인구 폭발(爆發)하는 소리가 저개발국에서만 크게 떠들고 있는데 주목할만 하다. 민족과 고장에 따라서 비교적 다산(多産)인데가 없지 않다. 허나 출산(出産)이 급작이 증가한 것도 아닐진대 새삼 인구과잉을 문제삼는 연고를 구태어 지적한다면 의약 의술 및 위생장비가 발달됨에 따라 사망율(死亡率)이 현저히 내렸음을 쳐들 수 있다.
병균의 박멸 기타 보건시설의 혜택으로 인간 수명이 극적으로 연장되었다. 이 사망율의 출생에 대한 비율은 저개발국에 있어서도 비약적으로 높아져가고만 있다.
어떤 이유에서 비롯했음을 불문하고 인구 증가에 수반하여 곧 고려되어야 할 일은 생산의 증가이다. 인구 증가를 따르는 경제 성장을 도모하지 않는다면 생활 수준을 유지해 갈 수 없다. 또 이 생활수준이란 것은 계산해 낼 수 없으리 만큼 미묘한 것이다.
생활수준은 곧잘 경제성장과도 관계 없이 무턱대고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요는 경제성장을 높이는 열이 긴급하겠는데 가령 외자(外資)를 도입하고 외국차관을 해가면서 혹은 무상원조를 바라지만 그것만으로는 실질적인 성장을 성취해 갈 수 없다.
자본(資本)이 본질적인 경제성장의 여건(與件)이라면 그것을 내부적(內部的)으로 저축(貯蓄)해가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에 저축은 절약(節約)과도 같은 뜻이 된다. 경제성장은 정치적 안정과도 긴밀한 관계에 있다. 정치적으로 불안할 때 필연적으로 사회적 불안정을 재래하고 치명상(致命傷)을 입을 혁명의 요인이 장만되는 법이다.
공산주의자들은 항상 이런 것을 노린다. 공산주의자들은 사회불안에 조량한다. 그들은 사회안정을 바라지 않고 그것을 이용하러 들 것이다. 문제는 인구 증가와 경제성장은 동시에 고려할 문제이요 서로 분리시킬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인구를 억제한다. 혹은 조절한다는 것이 경제성장에 이바지 할 수 있는가. 여기 우리는 중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단지 교리나 윤리적 이유만을 가지고 인구 억제의 수단 방법을 비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가령 「옥스포드」대학의 인구학자(人口學者) 콜린클라크교수는 많은 인구는 경제성장을 자극(刺戟)한다는 원리를 강조하고 있다. 인구가 조밀한 곳보다 인구의 드문 곳이 비교적 생활수준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생활수준을 반드시 경제성장과 비겨서 말할 수는 없다. 인구의 증가와 감소는 서로 뒤섞여 나가고 있다. 그 원인을 과학적으로 해명할 수 없다고 한다. 구라파에서 비교적 가난한 나라 즉 이태리 그리스 스페인 아일란드 같은 곳의 경제적 형편을 여러 갈래로 설명하지만 그러나 그 원인을 인구 증가에 돌리는 경제분석은 아무도 듣지 못했던 것이다.
만일 방금 구라파에서 논의되고 있는 구라파 공동시장(共同市場)이 완전히 실현되는 날에는 그들은 응분의 혜택을 받게 될 것이다.
교회는 일부 사회 과학자들이 말하는 일방적인 학설이나 이론같은 것과 정면으로 논쟁할 생각은 없다. 과학 기술을 동원해서 경제성장을 도모하자는데 전폭적인 성원을 아끼지 않겠지만 과학 기술의 힘을 빌려 인구억제를 실현하겠다는 데는 가차 없는 반박을 보내면서 인구억제가 경제성장을 도우리라는 이론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보고 있다. 그것은 한 가설(假說)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실험적 가설 밑에 가혹한 인구억제의 방법이 여러 가지 실행된다는 것은 참으로 비참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인구억제의 방법으로 가족계획이 실행되고 있는데 각국에서 그 선예(先例)가 없지 않지만 한국에서와 같이 정부가 뒷받침하는 조직적인 장려는 그 예를 찾아 보기 어려울만한 것이다.
교회가 인구조절을 맹목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인구조절의 최선의 방도가 되는 이민사업(移民事業)을 위해서는 그것을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바티깐성청 안에는 이민국(移民國)이 있고 또 이민을 받아들이는 곳 및 각국의 주교회의 상설기구(常設機構)에는 이민의 실무를 담당하는 실행기관이 마련되어져 있다.
인구문제에 대한 교회의 태도는 낙관적(樂觀的)인 편이다. 지금까지 인류가 살아온 역사에 비추어 볼 때 인구문제로 인류가 멸망한 사건은 없었다. 인구문제가 직접 전쟁의 원인이 된 적도 없었다. 역사는 인구문제에 낙관적인 것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농산물 과잉 또는 생산 과잉으로 경제적 파탄을 겪고 있는 실정은 얼마든지 열거할 수 있다. 한편에서는 굶고 있는데 한편은 농산물 과잉으로 그 가격을 조절할 목적으로 그것을 사장(死藏)해야 하는 모순은 오직 이 방면의 발달된 정책을 요구하고 있을 뿐이다.
인구의 억제가 경제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없고 오히려 그 방법에서 오는 윤리적 퇴폐는 사회불안을 선동하고 말 것이다. 사회적 불안정은 경제성장에 막대한 지장을 준다는 것은 앞서 지적했음과 같다. 경제성장을 꾀한다는 이유로 막연히 인구 억제책을 쓴다는 것은 불과 5년 전도(前途)를 관망하지 못하는 단견(短見)이다.
교회는 이 방면에 적극적이요 건설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성청은 FAO(유엔 食糧農業)에 상임 「옵서버」를 파견하고 그 활동을 돕고 있다. 식량을 비롯한 경제성장에 과학적이요 조밀한 대책을 수립하는 동시에 그와는 너무나 원인(遠因)이 되는 인구억제를 마치 직접 경제대책처럼 여기고 거기 국가적 인원과 재정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크게 본말을 그르치며 정책의 빈곤을 노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