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 세상의 빛] 177. 복음과 사회교리 (「간추린 사회교리」 415항)
대중매체는 인간 공동체의 건설과 유지에 이용돼야 한다
친교의 도구로 대중화된 게임
건강한 성장의 동력인지 살피고
일상에서의 친교 의미 성찰해야
바오로: 제 친구가 프로게이머가 되려 하는데 주변에서 많이 걱정하고 있어요.
마리아: 성공 확률도 낮고, 굉장히 열악한 환경이라고 하던데요?
미카엘: 하지만 성공한 프로게이머도 있고 엄연히 각광받는 직업이에요!
베드로: 좋아하는 게임을 계속할 수 있으니 좋은 일 아닐까요?
스텔라: 게임에 소질이 있는지, 이 길이 인생을 걸 만한 직업인지와 공부나 생업을 해야 하는데 그게 싫어서 현실도피를 하는지 잘 식별해 봐야 해요.
이 신부: 함께 이야기 나눠 보아요!
■ 대중화된 디지털 게임
게임이란 친교나 유흥을 위한 오락 활동입니다. 전자오락, 카드 게임, 스마트폰 게임과 여러 놀이들이 게임에 해당되지요. 오늘날은 디지털 게임 문화와 e스포츠가 대중화된 시대이고 유명한 프로게이머에 열광하는 수많은 팬들이 있고 그래서 프로게이머가 되려는 이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있고, 직업으로서의 프로게이머의 현실은 이상과 매우 다르다고 합니다.
그러나 게이머라는 직업의 타당성을 게임의 오락성과 유흥성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왜냐하면 고된 시련과 결과적 성패의 여부는 다른 직업도 마찬가지이고 많은 게이머들이 열과 성을 다해 진정성을 보이기도 하며, 게이머로서의 그의 삶이 많은 이들에게 선한 꿈과 용기, 건강한 동기들을 주기 때문입니다.
■ 열매맺음을 보아야
전문 게이머는 아니지만 게임에 과하게 몰입하는 것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생업이나 본연의 과업을 내팽개치고, 가족이나 이웃에게 소홀한 채 현실도피와 자기만족만을 위한 것이면 비판받아 마땅할 것입니다. 더욱이 그의 삶에 성실한 노력, 건전한 인간관계, 봉사와 나눔, 신앙과 덕행의 증진이라는 선한 열매들이 맺어지지 않는다면 게임은 그에게 무익한 혹은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그런데 게임하는 당사자에게만 책임이 있지 않습니다. 가정과 학교, 성당 등에서 대화나 정상적 인간관계가 결여되거나, 과도한 경쟁이 이뤄지는 학업 및 사회 환경, 그 속에서 사랑이 약해지거나 상실된 현실, 어린이·청소년·약한 이웃들에게 따스한 마음을 갖지 못하고 사랑받지 못하는 이들이 많아진 현실이라면, 그에 대해 우리 모두에게도 책임이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런 현실이 게임에 빠지게 되는 계기를 만들지 않았을까요?
■ 냉정한 식별이 필요
저도 보좌신부 시절 가끔 청년들과 PC방이나 보드 게임방을 갔었고, 명절에는 신자들과 윷놀이를, 친척들과 고스톱을 치기도 했습니다. 게임을 하며 서로 대화하고 친교를 이룹니다. 하지만 게임이 목적은 아니었습니다. 게임은 친교를 위한 수단일 뿐이지요. 그 친교란 서로 온전히 사랑하고 존중하는 것이며, 하느님께로 인도하고 나아가는 상호 노력이고 게임에서만이 아니라 일상 곳곳에서 항상 이뤄져야 합니다.
전 세계 수십억 명이 즐기고 친교의 도구가 되는 게임도 하나의 대중매체가 됐습니다. 게임 그 자체에 대한 식별도 필요하고, 그 매체를 통해 얻어지는 유익은 무엇인지, 개인과 사회가 건강한 발전과 성장을 이루는지 다 같이 식별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 삶의 자리가 서로 대화하고, 사랑하고 사랑받는 곳인지도 성찰해야 합니다.
“대중매체는 인간 공동체의 여러 분야, 곧 경제, 정치, 문화, 교육, 종교에서 인간 공동체를 건설하고 유지하는 데에 이용되어야 한다.”(「간추린 사회교리」 415항)
이주형 요한 세례자 신부 (서울대교구 사목국 성서못자리)